목소리의 형태 7 - 완결
오이마 요시토키 지음 / 대원씨아이(만화) / 201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책 즐겨읽기 613



모든 소리를 들어 보렴

― 목소리의 형태 7

 오이마 요시토키 글·그림

 김동욱 옮김

 대원씨아이 펴냄, 2015.10.31. 5500원



  오이마 요시토키 님 만화책 《목소리의 형태》(대원씨아이,2015)는 모두 일곱 권으로 마무리를 짓습니다. 이 만화책은 열너덧 살부터 읽을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 만화책에서 흐르는 이야기는 열너덧 살이 넘는 아이들이 중·고등학교에서 마주하는 일일 뿐 아니라, 초등학교에서도 흔히 마주하는 일이 되리라 느낍니다.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아이들 이야기요,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짓으로 아프거나 슬픈 아이들 이야기이거든요.



‘진정한 ‘우리’는 어디로 가는 걸까. 진정한 ‘모두’는 다 죽고 마는 걸까.’ (7쪽)


“난 이제 괜찮아. 그럭저럭. 그러니까 그런 표정 짓지 말고. 나도 한마디 할게. 니시미야. 니시미야. 미안해.” (28∼29쪽)


“내 딴에는 네 목소리를 듣는다고 들었지만, 사실은 착각이었어. 그럴수밖에. 얘기해 주는 게 전부일 리가 없는데 그게 그 사람의 전부라고 착각하고.” (30쪽)



  한때 다른 동무를 따돌리거나 괴롭히던 아이 가운데 하나는 어느 날 갑자기 따돌림을 받거나 괴롭힘을 받는 아이로 바뀝니다. 어느 한 아이를 함께 따돌리거나 괴롭히던 수많은 아이들은 어느 날부터 갑자기 ‘그냥 착하고 얌전한 아이’인 척을 합니다. 어른들 앞에서는 갑자기 이처럼 겉모습을 바꾸더니 어른들이 없는 뒤에서는 ‘새로운 아이’를 짓궂으면서 끔찍하게 따돌리거나 괴롭히는 짓을 해요.


  다만 이 만화책 《목소리의 형태》는 만화가 스스로 지어낸 이야기입니다. 참말로 벌어진 일을 만화로 담지는 않았습니다. 그렇지만 이 만화책에 흐르는 이야기와 엇비슷한 수많은 ‘따돌림·괴롭힘’ 이야기가 일본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널리 있다고 느낍니다.


  ‘왕따’나 ‘이지메’나 ‘집단 따돌림’이란 말이 없던 내 국민학교 적을 돌아보아도, 그무렵에 ‘반 따돌림’이나 ‘학교 따돌림’을 받는 아이가 있었어요. 집이 가난해서 차림새가 꾀죄죄하다든지, 얼굴이 못생겼다든지, 힘이 여리면서 너무 순둥이 같은 아이라든지, 이런 아이들이 반이나 학교에서 참말로 아프게 따돌림을 받았어요. 게다가 이렇게 따돌림을 받는 아이들한테 부드러이 다가서서 돕거나 말을 섞으면 이런 아이도 따돌림을 받았지요. 나는 ‘반 따돌림’이나 ‘학교 따돌림’을 받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따돌림을 받는 아이한테 부드러이 다가서다가 놀림이나 따돌림을 받은 일이 꽤 잦았습니다. 그리고 따돌림을 받는 아이한테 부드러이 다가선 뒤에 ‘나를 다시 본 아이들’도 더러 있었어요.



“울어서 될 일이면, 울었으면 좋겠어. 나한테 오늘 이후로 꼭 해야 할 일이 있다면 좀더 모두와 함께 있고 싶어. 많은 걸 얘기하고, 또 놀고도 싶어. 그걸 도와줬으면 좋겠어, 네가. 살아가는 걸 도와줬으면 좋겠어.” (38∼39쪽)


‘오늘부터 제대로 모두의 얼굴을 보고 인사하자. 그리고 듣자. 모두의 목소리를. 좋은 소리든 싫은 소리든.’ (65쪽)



  내 어릴 적을 더 더듬어 봅니다.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받는 아이들은 학교랑 집 사이에서 늘 혼자 다녔어요. 하루 내내 늘 혼자 책상맡에 조용히 앉아서 지내요. 체육 시간에도 혼자 바깥에서 맴돌고, 낮밥을 먹는 때에도 그야말로 고개를 폭 숙이고 조용히 수저질만 해요.


  내가 왜 그렇게 했는지 나로서도 잘 모르겠지만, 나는 ‘혼자 구석진 곳에 있는 아이’를 그냥 지나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 아이를 불러서 함께 밥을 먹는다든지, 동무들하고 도시락을 들고 책상을 붙여서 함께 밥을 먹는다든지, 체육을 할 적에 이 아이를 우리 편에 끼우고 내가 공받이를 해 주거나 일부러 이 아이하고 쉽게 죽거나 한다든지,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 좀 멀어지지만 이 아이네 집 언저리까지 함께 걸어가 보거나 하곤 했어요. 그냥 그러고 싶었어요. 그리고 이런 일을 국민학교 여섯 해 동안 퍽 자주 하면서 한 가지를 느꼈어요.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받는 아이들은 그야말로 더없이 착한 아이들이고 집에서 여러모로 어머니 아버지를 도와서 살림을 많이 맡기도 하고 집에서 동생들을 얼마나 아끼고 살뜰히 보살피는지 몰라요. 게다가 이 동무들은 집에서는 ‘학교에서 보여주지 않는’ 엄청나게 해맑은 낯빛으로 웃음을 지으며 재잘재잘 수다쟁이로 지내더군요.



“고민이라고? 자기가 하고 싶은 거랑 어머니가 바라는 거랑 둘 중 어느 쪽으로 할지? 그야 자기가 하고 싶은 걸 해야지. 안 그랬다간 후회할걸. 나도 전력으로 응원할게.” (122∼123쪽)


“엄마는 왜 이 일을 할 생각을 했어?” “재밌을 것 같아서.” (144쪽)



  나는 만화책 《목소리의 형태》를 일곱 권째 읽는 동안 한 권마다 퍽 오랫동안 찬찬히 삭였습니다. 나는 어릴 적에 반이나 학교 동무를 얼마나 아끼는 아이였는가 하고 돌아보았습니다. 따돌림을 받는 아이하고 때로는 툭탁거리며 싸움질을 하기도 했고, 싸움질을 그친 뒤에는 서로 마음을 풀고 예전보다 사이좋게 어깨동무를 하기도 했어요.


  이때에 내가 느낀 한 가지가 있다면, 누군가를 따돌리는 아이는 집에서 그리 사랑받지 못하는 하루를 누리는구나 싶었어요. 누군가한테서 따돌림을 받는 아이는 집에서는 학교와 달리 밝으면서 홀가분하게 동생을 따스히 이끌었어요.


  어릴 적에는 노느라 바빠서 여기까지만 얼핏 느끼고는 거의 잊었습니다. 이러다가 《목소리의 형태》라는 만화책을 천천히 읽고 되새기면서 ‘동무와 동무 사이’를 새삼스레 생각해 보았습니다. 누가 동무이고, 동무를 사귀는 마음이 무엇인가 하고 생각해 보았어요. 내가 아끼는 동무는 누구이고, 나를 아끼는 동무는 누구인가 하고 생각해 보았지요.



‘중학교 시절, 나 자신의 미래는 보잘것없는 것이 되리라고 상상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 상상 속의 미래도 몹시 눈부셔 보인다. 아찔하리만치 희망으로 가득하다. 내가 옛날 니시미야를 싫어했었던 것처럼, 이 문 너머에 있는 것은 분명 쓰라린 과거일 것이다. 그래도 또 하나 있는 것이 있다. 가능성이다. 그것은 언제든 열 수 있다. 살아 있는 한.’ (186∼187쪽)



  나는 국민학교라는 곳을 마친 지 거의 서른 해가 되었습니다. 내 어릴 적 동무뿐 아니라 나도 참 나이를 먹었습니다. 우리 집 아이들은 내가 신나게 뛰놀던 어릴 적 나이를 누리며 무럭무럭 자랍니다.


  우리는 서로 어떤 사이가 되어야 즐거울까요? 우리는 왜 누군가를 따돌리거나 누군가한테서 따돌림을 받아야 할까요? 즐겁게 어우러지면서 어깨동무를 하면 안 될까요? 모든 목소리를 고루 들으면서 다 함께 아끼는 마음이 되면 아름답지 않을까요?


  얼굴이 이쁘장해야 아름다운 사람이 아니라, 마음이 착할 때에 아름다운 사람이리라 느낍니다. 동무들 목소리를 꾸밈없이 고루 들을 뿐 아니라, 바람과 구름과 풀과 나무와 꽃과 잠자리와 참새와 지렁이 목소리도 두루 들을 수 있을 때에 비로소 고우면서 슬기로운 마음이 되리라 느낍니다.


  오늘 나는 우리 아이들한테 속삭입니다. 얘들아, 우리 사랑스러운 아이들아, 우리를 둘러싼 수만은 아름다운 숨결이 우리한테 베푸는 소리를 들어 보렴. 개구리뿐 아니라, 빗물뿐 아니라, 바람뿐 아니라, 나무뿐 아니라, 우리가 아직 잘 모르는 어마어마하게 많은 수많은 숨결이 나누어 주는 소리를 함께 들어 보자. 2016.7.12.불.ㅅㄴㄹ


(숲노래/최종규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