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무명의


 무수한 무명의 의인들 → 숱한 이름 모를 의인들 / 숱한 들꽃 같은 의인들

 무명의 작곡가 → 안 알려진 작곡가 / 덜 알려진 작곡가 / 새내기 작곡가

 무명의 헌신 → 소리 없는 헌신 / 조용한 도움 / 수수한 도움

 무명의 청년 → 이름 안 난 젊은이 / 흔한 젊은이 / 수수한 젊은이


  ‘무명(無名)’은 “1. 이름이 없거나 이름을 모름 2.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지 않음”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름 없는”이나 “이름 모를”이나 “이름 안 난·이름이 안 알려진”처럼 알맞게 갈라서 쓸 적에 한결 나으리라 느낍니다.


  이름이 그리 알려지지 않았다면 ‘수수한’이나 ‘흔한’이나 ‘여느’ 같은 말마디를 쓸 만합니다. 때로는 “들꽃 같은”이나 “들풀 같은” 같은 말이 어울립니다. 어느 자리에는 ‘새내기’나 ‘풋내기’가 어울릴 테고요. 2016.7.4.달.ㅅㄴㄹ



수많은 무명의 사람들

→ 이름 없는 수많은 사람들

→ 들풀 같은 수많은 사람들

→ 수많은 여느 사람들

→ 수수한 수많은 사람들

《가지무라 히데키/이현무 옮김-한국사입문》(백산서당,1985) 121쪽


무명(無名)의 구체적이고 살아 있는 성찰인 것이다

→ 이름 없는 이들이 온몸으로 부대낀 살아 숨쉬는 깨달음이다

→ 들풀 같은 사람들이 온몸으로 살면서 얻은 깨달음이다

→ 수수한 사람들이 삶으로 누리면서 얻은 깨달음이다

《레오나르도 보프/김수복 옮김-해방신학 입문》(한마당,1987) 26쪽


무명의 버나드 쇼

→ 풋내기 버나드 쇼

→ 새내기 버나드 쇼

→ 아직 덜 알려진 버나드 쇼

→ 아직 이름이 안 난 버나드 쇼

《김정란-말의 귀환》(개마고원,2001) 168쪽


그 구절은 무명의 깊은 바닷속에 침몰한 채 영영 물 밖으로 떠오르지 못한다

→ 그 글월은 이름 없이 깊은 바닷속에 잠긴 채 끝내 물 밖으로 떠오르지 못한다

→ 그 대목은 조용히 깊은 바닷속에 처박힌 채 그예 물 밖으로 떠오르지 못한다

→ 그 글은 말없이 깊은 바닷속에 가라앉은 채 다시 물 밖으로 떠오르지 못한다

《폴 콜린스/홍한별 옮김-식스펜스 하우스》(양철북,2011) 270쪽


하늘빛이 된 무명의 사람들

→ 하늘빛이 된 이름 없는 사람들

→ 하늘빛이 된 수수한 사람들

→ 하늘빛이 된 들꽃 같은 사람들

《곽효환-슬픔의 뼈대》(문학과지성사,2014) 33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