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한 폭의


 한 폭의 동양화 → 동양화 한 폭

 한 폭의 수채화 같은 → 마치 수채화 같은


  ‘폭(幅)’은 “1. = 너비 2. 자체 안에 포괄하는 범위 3. 하나로 연결하려고 같은 길이로 나누어 놓은 종이, 널, 천 따위의 조각 4. 하나로 연결하려고 같은 길이로 나누어 놓은 종이”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길이를 잴 적에는 ‘너비’로 쓰면 되고, 천이나 종이를 살필 적에는 ‘조각’이나 ‘자락’으로 쓰면 돼요. 그리고 “그림 한 폭”이나 “그림 두 폭”처럼 쓸 수 있을 테지요.


  흔히 쓰이는 말투 “한 폭의 그림 같다”를 헤아리면 “아름답게 그린 그림과 같다”이지 싶습니다. 단출히 손보자면 “그림 한 폭 같다”처럼 쓸 만합니다. 여기에서 생각을 펼쳐 본다면 “그림처럼 아름답다”라든지 “그림같이 아름답다”처럼 말할 만해요. 더 단출하게 “아름다웠다”나 “곱다”나 “멋지다”나 “훌륭하다”처럼 말할 수 있고요. 2016.7.3.해.ㅅㄴㄹ



나무들은 한 폭의 그림처럼 둘러서서 아무 행동도 하지 못하고 참고 있었다

→ 나무들은 마치 그림처럼 둘러서서 아무 짓도 하지 못하고 참았다

→ 나무들은 그저 그림처럼 둘러서서 아무 짓도 하지 못하고 참기만 했다

《윌리엄 스타이그/서애경 옮김-도미니크》(아이세움,2003) 187쪽


한 폭의 그림 같았다

→ 그림 한 폭 같았다

→ 그림과 같았다

→ 그림 같았다

→ 그림같이 아름다웠다

→ 그림처럼 아름다웠다

→ 그림을 보듯 아름다웠다

→ 그림으로 그려지듯 아름다웠다

→ 아름다운 그림과 같았다

→ 아름다운 그림이라고 느꼈다

→ 아름다웠다

《이하영-열다섯 살 하영이의 스웨덴 학교 이야기》(양철북,2008) 146쪽


한 폭의 아름다운 그림이 만들어졌다

→ 아름다운 그림 한 폭이 나왔다

→ 아름다운 그림을 이루었다

→ 아름다운 그림을 빚었다

→ 아름다운 그림을 지었다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편집부 옮김-하늘에서 본 한국》(새물결) 332쪽


창문을 열면 한 폭의 들판이 풍경화가 되던 집

→ 창문을 열면 한 폭 들판이 풍경화가 되던 집

→ 창문을 열면 들판이 마치 풍경그림이 되던 집

《여림-비 고인 하늘을 밟고 가는 길》(최측의농간,2016) 29쪽


(숲노래/최종규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