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별도의


 방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습니다

→ 방이 따로 마련되었습니다

→ 방을 따로 마련했습니다

 이 문제는 별도의 기구에서 다룰 예정

→ 이 일은 다른 곳에서 다루려 함

→ 이 일은 다른 자리에서 다룰 생각

 입학금을 마련하기 위해 별도의 적금을 들어 두었다

→ 입학금을 마련하려고 따로 적금을 들어 두었다

 별도의 잣대

→ 새로운 잣대 / 다른 잣대 / 또 다른 잣대

 별도로 생각해 볼 문제

→ 새롭게 생각해 볼 일 / 따로 생각해 볼 일 / 더 생각해 볼 일


  한자말 ‘별도(別途)’는 “1. 원래의 것에 덧붙여서 추가한 것 2. 딴 방면”을 뜻한다고 하는데, ‘추가(追加)’는 “나중에 더 보탬”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한국말사전 말풀이는 겹말입니다. “더 붙이거나 넣을” 적에 ‘별도’를 쓰는 셈입니다. 이러한 뜻을 헤아리면 ‘별도’는 ‘더’나 ‘딴’이나 ‘다른’을 가리키는 셈입니다. ‘더 보태는’이나 ‘덧붙이는’을 가리킨다고도 할 만합니다.


  곰곰이 따지면, ‘별도’는 ‘다를 別 + 길 途’입니다. “다른 길”을 한자로 옮겼을 뿐입니다. 한국말로는 처음부터 ‘다른(다르다)’인 셈이고, 이 같은 얼거리를 찬찬히 읽는다면 ‘별도 + 의’처럼 쓸 일이 없으리라 느낍니다.



별도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 다른 말이 있을 때까지

→ 더 말이 있을 때까지

→ 따로 얘기가 있을 때까지

《류춘도-벙어리새》(당대,2005) 66쪽


40%의 별도의 자아를 가지고 있다

→ 40%는 다른 넋이다

→ 40%만큼 다른 숨결이 있다

→ 40%는 따로 움직이는 넋이다

→ 40%는 딴 마음이 있다

→ 40%는 또 다른 넋이 있다

《권윤주-to Cats》(바다출판사,2005) 41쪽


 별도의 책을 만들지

→ 책을 따로 만들지

→ 책을 새롭게 만들지

→ 책을 더 만들지

《레몽 드파르동/정진국 옮김-방랑》(포토넷,2015) 116쪽


서로 겹쳐 있는 것임에도 종종 별도의 것으로 느껴집니다

→ 서로 겹쳐서 있지만 가끔 다른 것으로 느낍니다

→ 서로 겹치지만 더러 다르다고 느낍니다

→ 서로 겹치는데도 때때로 다르다고 느낍니다

《쓰지 신이치·가와구치 요시카즈/임경택 옮김-자연농, 느림과 기다림의 철학》(눌민,2015) 166쪽


별도의 서문이 왜 필요한지 궁금한 분도

→ 따로 머리말이 왜 있어야 하는지 궁금한 분도

→ 새 머리말을 왜 써야 하는지 궁금한 분도

《질베르 리스트/최세진-경제학은 과학적일 것이라는 환상》(봄날의책,2015) 5쪽


이 대목에 대해서는 심화된 별도의 독서가 필요하다

→ 이 대목을 놓고는 더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 이 대목은 더욱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 이 대목을 말하려면 한결 깊이 책을 읽어야 한다

《장정일-장정일의 악서총람》(책세상,2015) 270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