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고려 考慮


 아직 고려 중이다 → 아직 생각해 본다

 진지하게 고려를 좀 해 줘 → 차분하게 생각을 좀 해 줘

 전혀 고려되지 않은 → 조금도 살피지 않은

 현실을 고려해서 계획을 세우다 → 현실을 헤아려서 계획을 세우다


  ‘고려(考慮)’는 “생각하고 헤아려 봄”을 뜻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한국말사전을 더 들추면 ‘생각하다’를 “사람이 머리를 써서 사물을 헤아리고 판단하다”로 풀이하고, ‘헤아리다’를 “짐작하여 가늠하거나 미루어 생각하다”로 풀이해요. ‘판단(判斷)’은 “사물을 인식하여 논리나 기준 등에 따라 판정을 내림”으로 풀이하는데, ‘인식(認識)’은 “사물을 분별하고 판단하여 앎”으로 풀이하고, ‘판정(判定)’은 “판별하여 결정함”으로 풀이하며, ‘판별(判別)’은 “옳고 그름이나 좋고 나쁨을 판단하여 구별함”으로 풀이합니다. 자, 이러한 말풀이를 살피면 ‘고려 = 생각하기 + 헤아리기 = 헤아리기 + 판단 + 헤아리기 = 헤아리기 + 판단 + 판정 + 생각하기’인 꼴입니다. 더우기 ‘판단·인식·판정·판별’까지 돌림풀이로 빙글빙글 어지럽습니다.


  한국말사전에는 ‘고사(考思)’라는 한자말도 싣는데, “고사 = 고려(考慮)”로 풀이해요. 곰곰이 돌아본다면, ‘고려·고사’를 비롯해서 ‘판단·인식·판정·판별’은 거의 덧없다고 할 만하지 싶습니다. ‘생각하다’와 ‘헤아리다’를 알맞게 쓸 노릇이고, ‘살피다·가누다·가리다·가늠하다·보다·판가름하다·돌아보다’ 같은 낱말을 찬찬히 쓰면 돼요. 2016.2.26.쇠.ㅅㄴㄹ



헨리에게 고려해 달라고 했지만

→ 헨리한테 봐주라고 했지만

→ 헨리한테 헤아려 달라고 했지만

→ 헨리한테 살펴 달라고 했지만

《피터 싱어/김상우 옮김-모든 동물은 평등하다》(오월의봄,2013) 206쪽


식물을 맛볼 때 고려할 또 다른 것은

→ 풀을 맛볼 때 헤아릴 또 다른 것은

→ 풀을 맛볼 때 생각할 또 다른 대목은

→ 풀을 맛볼 때 살필 또 다른 대목은

《팸 몽고메리/박준신 옮김-치유자 식물》(샨티,2015) 181쪽


전문가가 결코 고려하지 않는 것은

→ 전문가가 조금도 살피지 않는 것은

→ 전문가가 하나도 헤아리지 않는 것은

→ 전문가가 거의 생각하지 않는 것은

→ 전문가가 도무지 돌아보지 않는 것은

《웬델 베리/이승렬 옮김-소농, 문명의 뿌리》(한티재,2016) 151쪽


(최종규/숲노래 - 우리 말 살려쓰기/말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