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아주 많은 달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91
루이스 슬로보드킨 그림, 제임스 서버 글, 황경주 옮김 / 시공주니어 / 199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629



“꽃을 잘라도 그 자리에 또 새 꽃이 피잖아”

― 아주아주 많은 달

 제임스 서버 글

 루이스 슬로보드킨 그림

 황경주 옮김

 시공주니어 펴냄, 1998.1.30. 7500원



  보름달이 뜹니다. 이 달 참으로 곱네 하고 노래하면서 올려다봅니다. 여느 달에 뜨는 보름달도 밝지만, 설날이 지난 뒤에 찾아오는 보름달은 그야말로 밝습니다. 여느 달에 보름달이 뜨면 시골마을 밤하늘을 가득 채우는 뭇별도 제법 볼 수 있는데, 한 해에 두 차례 큰보름달이 뜨는 날에는 다른 별이 잘 안 보입니다. 참말로 ‘큰보름달’이네 하는 생각이 들어요. 올 큰보름에는 저녁에 빗방울이 듣고 밤에 구름이 잔뜩 끼었는데에도, 큰보름달빛은 구름까지 꿰뚫고 환하게 퍼집니다.



왕이 공주에게 말했습니다. “네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가져다 주마. 갖고 싶은 게 있느냐?” 공주가 대답했습니다. “달을 갖고 싶어요. 달을 가질 수만 있다면 곧 나을 것 같아요.” (6쪽)



  제임스 서버 님이 글을 쓰고, 루이스 슬로보드킨 님이 그린을 그린 《아주아주 많은 달》(시공주니어,1998)을 읽습니다. 1943년에 처음 나온 그림책이라 하니, 1998년에 한국말로 나왔어도 무척 오래된 이야기책이에요. 지구별 여러 나라에서는 일흔 해 넘게 사랑받는 그림책이요, 한국에서도 스무 해 가까이 사랑받는 그림책입니다. 마침 달빛이 고운 큰보름날이기에 《아주아주 많은 달》을 더 재미나게 들여다봅니다.



“달은 48만 킬로미터나 떨어져 있사옵니다. 달은 동전처럼 둥글고 납작하며, 석면으로 되어 있고, 크기가 이 나라의 절반만 하옵니다. 더군다나, 하늘에 꼭 붙어 있사옵니다. 그러므로 누구도 달을 구해 올 수는 없사옵니다.” 왕은 이번에도 불같이 화를 내며 공중 수학자를 멀리 보내 버렸어요. (18쪽)




  이 그림책 《아주아주 많은 달》에는 여러 사람이 나옵니다. 먼저 공주님이 나오고, 임금님이 나옵니다. 공주님은 어느 날 갑자기 몸을 앓아요. 왜 앓는지 아무도 모릅니다. 임금님은 이녁 딸아이가 걱정스러워서 ‘부디 몸이 낫기를 바라’요. 딸아이가 몸이 나을 수 있다면 무엇이든 해 주겠노라 말합니다.


  몸을 앓던 공주님은 아버지(임금님) 말을 듣고는 불쑥 한 마디를 해요. “달을 갖고 싶어요.”


  하하하. 얼마나 사랑스러운 딸아이인가 하고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달을 갖고 싶니? 그럼 달을 따 주지. 해를 갖고 싶니? 그럼 해를 따 주어야지. 아마 온누리 모든 아버지 어머니는 ‘눈에 넣어도 아플 수 없는’ 아이들 꿈을 모두 오롯이 이루어 주려고 온힘을 다하리라 생각합니다.


  이리하여, 임금님은 임금님답게(?) 신하를 부릅니다. 아무래도 시골지기 아닌 임금님이니까요, 손수 달을 따러 가지는 않고 신하를 불러서 심부름을 맡길 테지요.


  그런데, 임금님이 거느리는 신하들은 임금님이 맡기려는 온갖 심부름을 여태 다 해냈지만, ‘달 따기’만큼은 안 되겠다고 손사래를 칩니다. 이 신하도 저 학자도 저 사람도 모두 고개를 젓습니다.



“제가 곧 달을 가져다 드릴게요. 그런데 공주님, 공주님은 달이 얼마나 크다고 생각하세요?” “내 엄지손톱보다 조금 작아. 내가 달을 향해 엄지손톱을 대 보면 딱 가려지거든.” 공주가 대답했어요. “그러면 달은 얼마나 멀리 있나요?” “내 방 창문 밖에 있는 큰 나무만큼도 높이 있지 않아. 어떤 때는 나뭇가지 꼭대기에 달이 걸려 있기도 하니까.” (24쪽)




  슬픔에 잠기기도 하고, 부아가 나기도 하는 임금님입니다. 그렇다고 임금님 스스로 뾰족한 수를 내지도 못합니다. 이럴 때야말로 임금님이 슬기를 뽐내어 달을 따올 수 있으면 좋을 텐데, 임금님은 커다란 걸상에 앉아서 푸념을 늘어놓을 뿐입니다.


  이때 궁전 어릿광대가 임금님 곁으로 찾아가서 근심걱정을 들어 주어요. 그러더니 문득 임금님한테 여쭈어요. 공주님이 달을 갖고 싶다 한다면 바로 공주님한테 여쭈어서 ‘달이 어디에 있’고 ‘달이 어느 만큼 큰가’ 하는 대목을 이야기로 들으면 되지 않겠느냐고 하지요.


  번뜩이는 좋은 생각을 내놓은 어릿광대는 어려운 수수께끼를 풀어냅니다. 공주님은 ‘달’이 창밖에 있다고 말해요. 어릿광대는 공주님한테 슬쩍 한 가지를 더 여쭈기도 했어요. ‘달은 무엇으로 이루어졌느냐’고 여쭈지요. 이때에 공주님은 어릿광대한테 ‘달’은 마땅이 ‘금’으로 이루어졌으리라 하고 말해요.



“말씀해 주세요, 레노어 공주님. 공주님의 목에 달리 걸려 있는데, 어떻게 하늘에서 또 달이 빛날 수 있죠?” 공주는 어릿광대를 바라보고 웃었습니다. “그건 간단하지, 이 바보야. 이를 빼면 그 자리에 새 이가 나잖아, 안 그래?” 궁중 어릿광대가 말했습니다. “물론이죠. 유니콘이 숲에서 뿔을 잃어 버려도 이마 한가운데에서 새 뿔이 자라죠.” “맞아, 궁중 정원사가 정원에 있는 꽃을 잘라도 그 자리에 또 새 꽃이 피잖아.” (42∼44쪽)




  그림책 《아주아주 많은 달》을 읽으면서 가만히 생각에 잠깁니다. 달은 하늘에도 있고, 우리 마음에도 있습니다. 내가 오늘 이곳에서 보는 달이 있고, 이웃님이 저 먼 다른 고장에서 보는 달이 있습니다. 밤에 아이들하고 나들이를 다니면, 아이들은 달이 우리를 따라온다면서 웃습니다. 아이들이 저마다 바라보는 달이 있고, 내가 따로 바라보는 달이 있어요.


  어릿광대가 달을 하나 따서 공주님한테 선물로 드렸으면, 다른 곳에서 새롭게 뜨는 달이 또 있어요. 공주님은 “꽃을 잘라도 그 자리에 또 새 꽃이 피잖아(44쪽).” 하고 이야기하면서 새근새근 잠이 듭니다. 공주님이 바란 것은 ‘달’이면서 ‘이야기를 나눌 동무’였구나 하고 느낍니다. 임금님이든 신하이든 학자이든 누구이든, 공주님을 알뜰히 섬기거나 돌보려는 마음에서 그치지 말고, 살가운 말벗이요 삶벗으로 여길 수 있다면, 공주님은 한결 튼튼하고 씩씩하면서 슬기롭게 자랄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우리 아이들도 모두 이와 같으리라 느껴요. 아이들은 어버이 사랑을 바라요. 어떤 대단한 선물이나 금은보화가 아니라, 따사로이 어루만지는 사랑스러운 손길을 바라요. 진수성찬이 아니라 즐겁게 함께 먹는 밥 한 그릇을 바라요. 수많은 책이나 학원이나 교육이 아니라 기쁨으로 살림을 짓는 너그러운 마음결을 바라요.


  꽃송이가 잘려도 다시 새로운 꽃이 돋아나듯이, 우리 마음에도 언제나 새롭게 꿈이 자라리라 봅니다. 힘들거나 고단한 하루가 지나가면, 앞으로 기쁘면서 넉넉한 새 하루가 찾아오리라 봅니다. 큰보름달을 바라보면서 가만히 춤을 춥니다. 밤새 아이들 이불깃을 여미면서 오늘 하루도 즐거운 살림살이를 이루자고 다짐합니다. 2016.2.23.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