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조선학교 - 3.11대지진 이후 도후쿠, 후쿠시마의 '우리 학교' 이야기
김지연 지음 / 눈빛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삶으로 삭힌 사진책 105



무너져도 일어나서 씩씩하게 새로 배운다

― 일본의 조선학교

 김지연 사진

 눈빛 펴냄, 2013.8.6. 17000원



  사진가 김지연(1971∼) 님은 2000년에 《연변으로 간 아이들》을 선보입니다. 이 사진책을 보면, 나고 자란 고향나라인 북녘을 떠나야 하면서 중국에서 꽃제비로 지내며 배를 곪고 외로운 아이들 삶을 곁에서 지켜보고 어루만지면서 선보인 이야기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이 사진책은 ‘우리 이야기’와 ‘우리 아이들’과 ‘우리 사진’을 어떠한 눈길과 손길로 담아낼 수 있는가 하는 실마리를 새롭게 열었다고 할 만합니다. ‘한국 다큐사진’에 새길을 살며시 보여주었다고 할 만합니다.


  김지연 님은 이윽고 2001년에 《노동자에게 국경은 없다》를 선보입니다. 이주노동자가 아닌 똑같은 노동자라는 대목을 짚으면서,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사람이 얼마나 사람답게 사는가 하는 대목을 사진으로 밝히지요. 2005년에는 《러시아의 한인들》을 선보이면서 ‘사진으로 들려줄 수 있는 삶과 사람’을 새롭게 갈무리했습니다.


  ‘한국 다큐사진’을 일구는 다른 ‘김지연(1948∼)’ 님도 있지요. 1948년에 태어난 김지연 님은 전북 진안에서 계남정미소공동체를 일구다가 전북 전주로 옮겨서 서학동사진관을 꾸립니다. 나이는 달라도 이름은 같은 두 김지연 님은 ‘다큐사진’, 그러니까 ‘이야기를 담아서 삶을 비추는 사진’을 저마다 다르면서 곱게 보여줍니다. 한 분은 한국 시골마을에서 터를 잡고서 시골이웃을 사진으로 담아서 이야기를 엮고, 다른 한 분은 지구라는 테두리에서 한겨레를 바라보고 이웃을 마주하는 손길로 사진을 담아서 이야기를 엮어요.


  《일본의 조선학교》(눈빛,2013)는 지구라는 테두리에서 한겨레를 바라보고 이웃을 마주하는 김지연(1971∼) 님이 선보인 사진책입니다. 일본 후쿠시마에서 큰 지진이 일어난 뒤에 ‘일본에 있는 조선학교’는 그 지진 피해 앞뒤로 어떤 배움살이를 하는가를 돌아본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그 어느 때보다 과학문명의 혜택을 신나게 누리며 살고 있는 21세기에 고운 치마저고리를 입고 예쁘게 입을 모아 통일된 조국의 그리움을 노래하며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니 이 어찌 놀랍지 않은가? 그것도 고난과 원한의 눈물로 얼룩진 일본 땅에서 말이다. (5쪽)



  사진책 《일본의 조선학교》를 살피면 ‘조선학교’가 나옵니다. 이 조선학교는 ‘북조선 학교’가 아닙니다. 남녘과 북녘으로 갈리기 앞서 ‘그냥 조선’이라는 이름을 쓰던 그 ‘조선학교’입니다. 북녘에 매이지도 않고 남녘에 얽히지도 않은 채 ‘한겨레 삶과 사랑’이 무엇인가를 가르치고 배우는 터전입니다.


  한때 북조선에서 조선학교를 돕는 손길을 내밀기도 했지만, 이 손길이 끊어진 지 퍽 오래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남녘에서는 일본 조선학교에 제대로 손길을 내민 적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고 합니다. 이러면서 일본에서는 ‘일본에 있는 교육시설’ 가운데 하나인 조선학교를 돕는 손길을 내밀지 않을 뿐더러 억누르거나 괴롭히는 손길을 뻗는다고 해요.


  일본에서 사는 ‘조선인’은 누구일까요? 일본에서 살아야 하는 ‘조선인’은 ‘한겨레’일까요, 아닐까요? 일본 정부한테서 따돌림이나 괴롭힘을 받는 조선인은 남·북녘 모두한테서도 똑같이 따돌림을 받아야 할까요, 아니면 남·북녘 모두한테서 따스한 손길과 사랑을 받아야 할까요?





도호쿠 조선초중급학교는 1965년에 개교하여 1973년에는 860여 명의 학생이 있었던 번성기를 누렸지만, 지금은 20여 명의 학생만 학교를 지키고 있다. (사진 4)


가까운 곳에서 먼 곳에서, 지진으로 끊긴 도로를 우회하며 도착한 동포들의 첫마니는 “늦어서 미안합니다.” (사진 11)



  사진책 《일본의 조선학교》는 일본에 있는 조선학교를 꾸밈없이 보여줍니다. 조선학교를 다니며 배우는 아이들을 보여주고, 조선학교에서 가르치는 어른들을 보여줍니다. 북녘말도 남녘말도 아닌 ‘조선말’, 그러니까 ‘한겨레 말’을 가르치고 배우는 사람들 삶을 가만히 보여주어요. 총부리를 맞대고 으르렁거리는 두 나라가 아니라, 어깨동무를 하면서 함께 웃고 노래하고 춤추고 사랑할 살림살이를 생각하는 배움살이를 고요히 보여줍니다.


  마땅한 이야기가 되어야 할 텐데, 남녘 사회가 북녘 사회를 미워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북녘 사회도 남녘 사회를 싫어해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남·북녘이 서로 으르렁거리거나 전쟁무기를 내세워서 윽박질러야 할 일이 없습니다. 서로 돕고 아끼면서 평화로운 삶을 이룰 노릇이라고 느낍니다. 왜냐하면, 싸움은 언제나 싸움으로 이어지고, 평화는 한결같이 평화로 이어지며, 사랑은 늘 사랑으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 전쟁무기는 전쟁무기를 새로 낳는 길로만 갈 뿐이고, 사랑 어린 손길은 서로 돕고 아끼는 어깨동무로 가기 마련입니다.




“우리학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살다가 온 사람들이 만든 학교가 아닙니다. 어쩔 수 없이 끌려와 살게 된 땅에서 우리 민족교육을 하고자 만든 학교가 왜 이런 차별을 받아야 합니까?” (사진 48)



  조선학교도 일본학교도 한국학교도 똑같은 배움터입니다. 조선학교에서도 일본학교에서도 한국학교에서도 똑같이 평화를 가르치고 배울 때에 아름다우리라 생각합니다. 조선, 일본, 한국, 이렇게 서로 엇갈리는 이름이 되기보다는 지구라는 테두리에서 서로 이웃이 되는 길을 찾아야 하리라 생각합니다.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는 즐거운 길을 헤아릴 노릇이요, 잘잘못을 가리기보다는 어루만지고 얼싸안으면서 따스히 보살피는 길을 생각할 노릇이지 싶어요. 배움터는 그저 배움터일 뿐이고, 삶터는 그예 삶터일 뿐이니까요.


  사진 한 장이나 사진책 한 권이 일본 사회를 바꿀 수 있거나 한국 사회를 바꿀 수 있는지는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사진 한 장은 ‘오늘도 일본 어느 곳에 조선학교가 있다’는 대목을 보여줍니다. 사진책 한 권은 일본 후쿠시마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면서 수많은 사람이 죽거나 다친 뒤에도 이 무너진 터전에서 씩씩하게 다시 일어나서 학교를 추스르는 손길이 있다는 대목을 밝혀요. 사진을 한 장 한 장 그러모아서 엮은 사진책 한 권은, 오래된 데에다가 큰 지진이 닥쳐서 더욱 허름해지고 만 건물이라 하더라도 마음과 몸은 언제나 해맑고 씩씩한 어른하고 아이가 조선학교라는 터전에서 기쁨을 짓는다는 대목을 알려주어요.





“우리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사진 117)



  일본에 있는 조선학교에서는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꿈꾸는” 길을 가르치고 배운다고 합니다. 그러면, 한국에 있는 한국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칠까요? 한국에서도 사람이 사람답게 살 수 있는 아름다운 길을 가르칠까요? 일본에 있는 일본학교에서는 무엇을 가르칠까요? 일본에 있는 여느 학교에서도 이웃을 아끼고 사랑하면서 함께 사랑을 짓는 길을 가르칠까요?


  우리 어른들은 어떤 교과서를 지어서 아이들한테 어떤 살림살이를 가르칠 때에 서로 웃을 만할까 하고 생각해 봅니다. 사진책 《일본의 조선학교》에 나오는 어른하고 아이는 함께 웃으면서 가르치고 배우는데, 이처럼 함께 웃으면서 가르치고 배울 자리가 힘겨운 살림에 허덕이지 않을 수 있기를 빌어요. 무너진 자리에서도 씩씩하게 일어서는 사람들이 아름다운 꿈과 사랑을 가르치고 배울 수 있기를 빌어요.


  일본에서도 한국(남·북녘 모두)에서도 지구별 어느 곳에서도, 그야말로 아름다운 삶터가 되고 사랑스러운 배움터가 될 수 있기를 빕니다. 사진 한 장은 언제나 사진 한 장인데, 이 사진 한 장이 깃든 사진책을 넘기는 동안, 상냥한 사람들이 이웃을 바라보며 밝게 웃는 숨결을 살그마니 나누어 주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4349.1.25.달.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6 - 사진책 읽는 즐거움/사진비평)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