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숲 시골빛 삶노래

― 맛있게 먹는 밥 한 그릇



  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밥을 맛있게 먹으면 맛있습니다. 삶을 즐겁게 누리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삶을 즐겁게 누리면 즐겁습니다. 이웃을 사랑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이웃을 사랑하려 하면 이웃을 사랑할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말장난 같으나, 참말 이와 같은 삶 얼거리입니다. ‘어떻게 해야 하지?’ 하고 묻기만 해서는 실마리를 못 찾아요. ‘어떻게 하면 될까?’ 하고 스스로 수수께끼를 내고는 이 실마리를 따라서 나아가야 비로소 실마리를 엽니다.


  삶이 따분하거나 고단하다고 여기는 사람은 스스로 따분한 삶하고 고단한 삶을 끌어들인다고 할 만합니다. 삶이 재미있거나 아름답다고 여기는 사람은 재미와 아름다움을 늘 스스로 끌어들인다고 할 만합니다. 왜 그러한가 하면, 스스로 생각하는 대로 스스로 삶을 짓기 때문입니다. 환경이 어떻고 터전이 어떻고 하는 얘기는 나중 얘기입니다. 왜냐하면, 웃는 사람은 어디에서나 웃고, 우는 사람은 어디에서나 울거든요. 돈이 많은 어버이를 두어야 아이들이 웃지 않아요. 웃는 어버이를 둔 아이들이 웃어요. 돈이 없는 어버이를 둔 아이들이 울지 않아요. 우는 어버이를 둔 아이들이 울어요.


  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자, 이제는 우리 스스로 깨달아야 합니다. 스스로 밥을 맛있게 짓고, 맛있게 차리며, 맛있게 수저를 들면, 우리 밥상은 언제나 맛있습니다. 남이 차려 주기에 맛있는 밥이 아닙니다. 비싼 밥을 바깥에서 사다가 먹으니 맛있는 밥이 아닙니다. 스스로 삶을 즐겁게 다스리면서 기쁜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하루가 될 때에 비로소 맛있는 밥을 먹어요. 편의점 도시락이든 집밥이든 호텔 밥이든 모두 같아요. 어떤 마음인가에 따라 밥맛이 바뀌어요.


  아침저녁으로 밥상을 차리며 사는 틈틈이 《치킨로드》(책과함께,2015)라는 책을 읽습니다. 이 책을 쓴 앤드루 롤러 님은 ‘닭’ 아닌 ‘닭고기’가 어떻게 수백 억 마리나 우글거리면서 지구별 곳곳을 넘나드는가 하는 수수께끼를 풀려고 합니다. 오늘날 지구별에서 사람들은 닭을 얼마나 괴롭히면서 고기하고 알을 얻는가 같은 뒷얘기도 파헤치고, 먼먼 옛날부터 지구별 여러 나라와 겨레에서 닭이라는 짐승을 어떻게 바라보았는가 하는 이야기도 들려줍니다.


  “닭은 고대 이집트에서 희귀하고 신분 높은 새였는데, 이 사실은 1923년이 되어서야 비로소 세상에 알려졌다(54쪽).”고 하는 이야기를 읽으면서 가만히 돌아봅니다. 이러한 이야기가 요즈음 들어서야 비로소 알려졌을까요? 아마 그러할는지 모릅니다. 다만, 이집트라는 나라에서는 예부터 닭이 ‘희귀하고 신분 높은 새’인 줄 잘 알았을 테지요.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잘 몰랐어도 말입니다. 곰곰이 따지면, 한국이나 중국이나 일본도 닭을 함부로 다루지 않았어요. 아시아 여러 나라도 닭을 아무렇게나 다루지 않았지요. 평화를 사랑하는 수수한 사람들은 오랜 옛날부터 닭을 비롯해 돼지도 소도 말도 다른 모든 짐승도 함부로 다루거나 아무렇게나 부리지 않았습니다. 시골에서 조촐히 살림을 지으면서 수수하게 삶을 가꾸던 사람들은 닭을 비롯한 모든 짐승을 알뜰히 보살피고 고이 돌보았어요.


  닭이 낳는 알 하나를 고맙게 받아들였고, 닭 한 마리를 오래오래 키웠습니다. 어미 닭이 알을 품어서 병아리가 까도록 했습니다. 어미 닭이 지낼 둥우리를 사람들이 정갈하게 엮어 주었고, 살림집하고 닭우리는 한울타리에 깃들었어요. 추운 겨울에는 사람하고 닭이 한지붕 밑에서 잠을 잤다고 했습니다.


  “이 섬(이스터 섬)의 원주민들은 거대한 석상을 조각하지 않을 때에는 곡식을 재배하고 닭을 돌보는 정교한 방식에 따라 닭장을 지은 듯하다. 수백 개에 달하는 닭장이 섬 전체에 퍼져 있다. 이 닭장은 빈틈없이 쌓아올린 돌무더기인데, 닭장마다 돌문이 달린 자그마한 입구가 있다(109쪽).” 같은 이야기를 읽으며 새삼스레 돌아봅니다. 닭을 알뜰히 돌보던 겨레는 모두 평화롭습니다. 닭을 고이 보살피던 수수한 사람들은 전쟁무기 따위를 만들지 않았습니다. 이와 달리, 오늘날 산업 사회에서는 닭을 공장이나 감옥 같은 곳에 잔뜩 가두어서 달포도 채 안 되는 동안에 ‘고기닭’으로 살찌워서 내다 팔아요. ‘공장 축산’이 널리 퍼진 오늘날 산업 선진국마다 군대와 전쟁무기가 어마어마하며, 산업 선진국(과 산업 후진국) 어디나 군대와 전쟁무기를 없앨 뜻이 없어 보입니다. 평화로 나아가지 않는 모든 나라는 고기닭도 고기돼지도 고기소도 아주 끔찍한 곳에서 무시무시하게 ‘뽑아’냅니다.


  닭 한 마리를 알뜰히 아끼면서 돌보던 지난날에는 닭 한 마리가 열 해도 살고 스무 해도 살았습니다. 이무렵에는 고기 한 점을 함부로 먹지 않았어요. 고기 한 점을 아주 고맙게 먹었을 뿐 아니라, 기쁘게 먹었지요. 오늘날에는 수수한 평화가 가뭇없이 사라지면서 ‘고기를 날마다 먹어’도 고마움이나 기쁨을 느끼거나 누리는 사람도 함께 사라지고 말았지 싶습니다.


  그러니까, 고기를 먹느냐 안 먹느냐는 대수롭지 않습니다. 이른바 채식이냐 육식이냐는 대수롭지 않아요. 아시아를 이룬 수수한 시골마을 시골사람이 키운 짐승은 모두 ‘풀을 먹고 자랐’습니다. 풀을 먹고 자란 짐승 살점은 ‘고기’라 하지만, 막상 이 집짐승 살점은 ‘풀로 이루어졌’어요. 수수한 시골마을 시골사람이 고기를 먹을 적에는 그냥 풀을 먹는 삶하고 같습니다. 이와 달리 오늘날 산업 사회에서는 ‘닭도 돼지도 소도’ 풀을 못 먹어요. 오직 사료와 항생제와 촉진제만 먹는 오늘날 ‘고기짐승’입니다. 고이 사랑스레 가꾸어 고맙고 반가운 밥(풀이든 고기이든)을 누리는 삶이 사라지면서, 오직 돈으로 재거나 따지는 문명과 문화예요.


  “오늘날의 양계 산업은 예전에 전혀 시도하지 않았던 규모와 범위로 실험을 하고 있다. 오염된 수로, 노동자에게 위험한 환경, 식품 안전에 관한 우려, 형편없는 동물 복지 문제 등은 활기찬 국제무역의 그림자 속에 대부분 은폐되어 있다(399쪽).” 같은 이야기는 미국과 유럽과 한국 모두 똑같다고 할 만합니다. 아름다움이 사라지면서 산업이 되고, 사랑스러움이 사라지면서 문명이 됩니다. 기쁨이 사라지면서 경제발전이 되고, 즐거움이 사라지면서 현대사회가 됩니다.


  나는 아침저녁으로 손수 밥을 차려서 곁님하고 아이들하고 밥상을 누리는 자리에서 늘 스스로 묻습니다. 오늘 하루도 맛있는 밥인가? 오늘 하루도 기쁜 밥인가? 오늘 하루도 노래하는 밥인가? 오늘 하루도 웃음잔치 같은 밥인가? 이 물음에 스스로 고개를 끄덕이면 언제나 맛있는 밥입니다. 이 물음에 스스로 고개를 젓는다면 아무래도 맛없는 밥이 되고 맙니다. 언제나 나 하기에 달린 일입니다. 언제나 내 마음먹기에 따라 달라지는 삶이요 하루입니다. 4348.12.13.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에서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