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미 버튼 - 문명을 거부한 소년
앨릭스 바즐레이 지음, 제니퍼 우만.발레리오 비달리 그림, 김서정 옮김 / 다섯수레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587



‘야만스러운 원시인’한테 ‘진보 문명’ 가르치기

― 제미 버튼, 문명을 거부한 소년

 엘릭스 바즐레이 글

 제니퍼 우만·발레리오 비달리 그림

 김서정 옮김

 다섯수레 펴냄, 2013.6.25. 12000원



  그림책 《제미 버튼, 문명을 거부한 소년》(다섯수레,2013)은 1830∼1832년에 있던 일을 담았다고 합니다. 그무렵 영국에서는 비글호라는 배가 남미로 떠났고, 남미 끝자락에 있는 티에라델푸에고라는 섬에 닿았으며, 이때에 ‘영국 선원’은 ‘섬사람’을 ‘야만스러운 원시인’으로 여겼다고 합니다. 이리하여, 영국 선원은 이곳 섬사람 가운데 ‘오룬델리코’라는 아이를 영국으로 데려가서 ‘영국 신사’로 키우기로 합니다. 이 아이 어버이한테 진주로 빚은 단추를 주고 아이를 데려가요. 이때부터 영국에서는 이 아이를 ‘제미 버튼’이라는 이름으로 불렀다고 합니다.


  섬마을 아이는 영국에서 영국 상류사회 교육을 받았고 1832년에 섬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고 해요. 자, 섬마을 아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영국에서 ‘영국 상류사회 교육’을 받아 ‘영국 신사’가 되도록 이태 남짓 이것저것 배운 아이는 고향 섬마을로 돌아가서 무엇을 했을까요?



먼 옛날, 아주 먼 섬에 소년이 살았습니다. 소년은 밤이면 섬에서 가장 높은 나무의 가장 높은 가지로 올라가 별을 보았습니다. 파도가 흥얼거리는 소리를 들으며, 바다 건너편 세상에서 살면 어떨까 상상하기도 했습니다. (2쪽)



  우리 집 아이들은 학교나 학원에 다니지 않습니다. 큰아이는 여덟 살을 살며 학교도 학원도 발을 한 차례조차 디디지 않습니다. 학교나 학원을 안 다니는 우리 집 두 아이는 ‘학교 사회’나 ‘여느 사회’ 굴레를 쓸 일이 없습니다. 우리 집 아이들은 교과서를 배우지 않고, 텔레비전을 보지 않습니다. 신문도 잡지도 따로 보지 않으며, 인터넷으로 퍼지는 온갖 정치 얘기나 사회 얘기나 경제 얘기를 듣지 않고, 스포츠 얘기나 연예인 얘기도 듣지 않아요. 우리 집 아이뿐 아니라 나도 요즈음 연예인이나 가수 이름을 하나도 모릅니다.


  나는 시골에서 살며 시골사람으로서 늘 고무신을 신습니다. 우리 마을 할매와 할배도 늘 고무신을 신지만, 읍내로 마실을 가실 적에는 깔끔하게 차려입고 구두를 신으셔요. 그래서 우리 식구는 마을 어르신을 읍내에서 뵐 적에는 좀처럼 못 알아봅니다. 마을에서 뵐 적하고 차림새나 입성이 너무 다르기 때문입니다.


  나이가 지긋한 시골 어르신은 마을이나 면이나 읍에서도 으레 시골말을 씁니다. 나이가 젋은 시골 어른은 마을에서는 시골말을 써도 면이나 읍이나 도시로 나가면 시골말이 아닌 표준말로 바꾸어서 쓰려고 합니다. 나이가 어린 아이들이나 푸름이는 시골에서도 시골말을 잘 안 쓰려 하고, 학교에서는 으레 서울 표준말을 쓸 뿐 아니라, 시골을 떠나서 다른 고장으로 가면 시골말을 꽁꽁 가두고 서울 표준말을 ‘얌전히’ 쓰려고 애씁니다.




방문객들은 바다 건너 멀리 있는 자기들 나라로 소년을 초대했습니다. “우리와 함께 가서 우리 말을 배우고 발달된 문명 세계를 경험해 보렴.” (6쪽)



  그림책 《제미 버튼》에 나오는 ‘제미 버튼’은 섬마을을 떠나서 새로운 곳으로 나가 보고 싶다는 꿈을 품었습니다. 이러한 꿈대로 섬마을 아닌 먼먼 곳으로 배를 타고 갈 수 있어요. 섬마을에서는 ‘영국사람이 말하는 옷’을 입지 않고 살았으나, 배에서 내려 영국에 닿으니 그곳에 있는 사람들은 ‘양복’이라 일컫는 옷을 점잖게 빼입고 돌아다녀요.


  섬마을 아이 제미 버튼은 다른 영국사람하고 똑같이 양복을 갖추어 입고 모자를 쓰고 구두를 꿰고 지팡이를 한손에 걸치기로 합니다. 영국 상류사회 사람들이 가는 극장에 가서 오페라 같은 노래도 듣고, 영국 여왕와 국왕도 만납니다. 영국사람이 쓰는 말(영국말 또는 영어)을 배우고, 영국 사회를 이모저모 둘러봅니다. 아이는 섬마을 사람다운 살빛이 차츰 사라지면서 영국사람하고 똑같은 말을 쓰고 생각을 나누는 삶이 됩니다.




사람들은 제미 버튼을 태양보다 밝은 빛이 있는 곳에도 데려가고, 파도 소리만큼 달콤한 음악이 있는 곳에도 데려갔습니다. 그곳에는 아름다운 꽃보다 더 화려하게 꾸민 왕과 왕비도 있었습니다. (26∼30쪽)



  학교에 안 다니는 우리 아이들을 두고 이웃에서는 ‘앞으로 사회 생활을 어떻게 시키려고 그러느냐?’ 하고 묻곤 합니다. 이때에 나는 가볍게 대꾸합니다. ‘아이가 왜 꼭 사회 생활을 해야 하느냐?’ 하고 되묻지요. 아이가 앞으로 도시에서 회사원이 되어 월급을 꼬박꼬박 받는 삶으로 가야 하느냐고 되묻습니다. 아이한테 꿈을 심어서 꿈을 이루는 길을 스스로 슬기롭고 즐겁게 가도록 할 때에 삶이 즐거울는지, 아니면 서울에 있는 손꼽히는 대학교를 마쳐서 서울에 있는 연봉 높은 큰 회사에 들어가서 월급을 잘 받아야 즐거운 삶이 될는지 되묻습니다. 아이가 어릴 적에 마음껏 뛰놀면서 흙을 밟고 구름을 노래하는 삶을 누리지 못한다면, 아이가 어릴 적에 놀이가 아닌 학원 공부와 교과서 시험공부만 해야 한다면, 이 아이한테 삶이란 무엇이 될는지 넌지시 물어봅니다.


  삶을 가르치는 학교라면 얼마든지 아이하고 함께 이 학교를 다닐 만하다고 느낍니다. 사랑을 들려주는 학교라면 얼마든지 아이하고 같이 이 학교에서 배울 만하다고 느낍니다. 꿈을 키우는 학교라면 얼마든지 아이하고 나란히 이 학교에서 오순도순 생각을 키울 만하리라 느껴요.


  임금님 이름을 외거나 전쟁 발자취를 살피는 일이 ‘역사 공부’라고 느끼지 않아요. 문법을 배워야 ‘말’을 배운다고 느끼지 않아요. 사람이 살아온 길을 돌아보고, 사람이 살아갈 길을 내다보는 눈길을 틔울 때에 비로소 공부라고 느껴요. 씨앗을 심어서 돌보고, 나무를 살뜰히 아끼며, 보금자리를 알뜰히 가꾸는 삶일 때에 비로소 사람이 사람답게 거듭나는 공부라고 느껴요.




제미 버튼은 가장 높은 나무의 가장 높은 가지에 올라가 파도가 흥얼거리는 소리를 들었습니다. 바람 냄새를 맡고 나뭇가지 사이를 스쳐 가는 바람 소리를 들었습니다. 물 저쪽을 가만히 바라보며 바다 건너 세상을 떠올렸습니다. 그리고 부드럽게 속삭였습니다. “잘 자.” (42쪽)



  그림책 《제미 버튼》에 나오는 아이는 1830년에 고향 섬마을을 떠난 뒤 1832년에 고향 섬마을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영국 사회에서는 이태 남짓 이 아이한테 영국말을 가르치고 영국 문화와 문명과 사회를 가르쳤으니, ‘야만스러운 원시인’ 티를 벗고, 섬마을 다른 사람들한테 ‘진보한 문명’을 퍼뜨리는 길잡이가 되겠거니 하고 여겼다고 해요.


  제미 버튼은 배를 타고 영국을 떠나 고향 섬마을에 닿아서 배에서 내린 뒤, 맨 처음에 옷부터 벗어던졌다고 합니다. 이태 남짓 이 아이 몸을 감싸던 ‘영국 양복’은 가볍게 벗어던지고 맨몸(알몸)으로 돌아갔다고 해요. 그러고 나서 영국말을 버리고 ‘섬마을 사람들 말’을 되찾으려고 애썼다고 합니다. ‘진보한 영국 문화와 문명과 사회’를 퍼뜨리는 일은 한 가지조차 안 하면서, ‘야만스러운 원시인’ 모습으로 고스란히 돌아가려 했다고 해요.


  그림책을 덮으며 생각에 잠깁니다. 문명과 문화란 무엇일까요? 야만이나 원시란 무엇일까요? 교육이란 무엇이고, 진보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아이들한테 무엇을 가르쳐야 할까요? 우리 곁에 있는 이웃한테 무엇을 보여주거나 가르치거나 들려줄 적에 서로 아름다운 삶이 될까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어떤 사람’으로서 ‘슬기로운 몸짓’을 보여주거나 가르친다고 할 만할까요? 한국 사회는 ‘진보한 문화나 문명이나 사회’라고 할 수 있을까요? 한국 아이들은 한국 어른들한테서 즐거운 삶이나 고운 사랑이나 푸른 꿈을 배울 수 있을까요? 4348.12.5.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