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브르 이야기 - <곤충기>를 쓴 파브르의 특별한 삶
매튜 클라크 스미스 지음, 줄리아노 페리 그림, 홍수원 옮김 / 두레아이들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573



사랑스레 지켜보고 사랑스레 노래하기

― 파브르 이야기

 매튜 클라크 스미스 글

 줄리아노 페리 그림

 홍수원 옮김

 두레아이들 펴냄, 2015.9.30. 11000원



  2015년에 ‘글’이라는 낱말을 한국말사전에서 살피면 “1. 생각이나 일 따위의 내용을 글자로 나타낸 기록 2. 학문이나 학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논문(論文)’이라는 낱말을 한국말사전에서 살피면 “어떤 것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자기 의견이나 주장을 적은 글”이라고 풀이합니다.


  1940년에 나온 《조선어사전》(문세영 엮음)을 살피면 ‘글’을 “모든 사물의 감상·경험 및 온갖 현상을 글자로 쓴 것의 총칭”이라고 풀이하고, ‘논문’을 “1. 글을 평론하는 것 2. 의견을 논술한 글”이라고 풀이합니다.


  한국 사회를 돌아보면, 학문을 하는 사람이 쓰는 글은 으레 따로 ‘논문’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이름을 따로 붙여서 쓴다고 할 적에는 ‘글’하고 ‘논문’을 다르게 바라본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논문집이든 학술서적이든 전문서적이든, ‘체계적으로 의견이나 주장을 적은 글’을 실은 책에 간기를 붙일 적에는 언제나 ‘글 : 아무개’처럼 밝힙니다. 논문을 쓰든 시를 쓰든 동화를 쓰든 ‘글을 쓴 사람’은 누구나 ‘글쓴이’입니다.


  요즈음 한국 사회에서는 영어 ‘텍스트(text)’를 퍽 넓게 쓰려 합니다. ‘글’이라고 하는 한국말을 즐겁게 쓰거나 넓게 쓰려고 하는 사람은 차츰 줄어든다고 할 만합니다. 쉬운 말이 자취를 감추면서 쉬운 글도 자취를 감춘다고 할 만해요.



이 노인은 햇볕이 가장 뜨거운 한낮에는 땡볕 아래 쪼그리고 앉아 딱정벌레가 땅에 구멍을 파는 모습을 지켜보았습니다. 캄캄한 밤에는 숲 속에서 몸을 웅크린 채 거미들이 거미줄 치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5쪽)



  매튜 클라크 스미스 님이 글을 쓰고, 줄리아노 페리 님이 그림을 그린 《파브르 이야기》(두레아이들,2015)를 읽으면서 ‘글’이란 무엇인가 하는 대목을 곰곰이 돌아봅니다. 그동안 ‘파브르 이야기’는 참으로 많이 나왔다고 할 텐데, 요즈막에 새로 나온 《파브르 이야기》는 이제껏 나온 ‘파브르 이야기’하고 살짝 다른 눈길로 파브르를 바라보면서 다룹니다. 벌레 이야기(곤충기)를 훌륭하게 쓴 사람이라는 테두리보다는, 작고 수수한 이웃을 작고 수수한 눈길로 사랑스레 바라보면서 ‘작고 수수한 마음결’이 되어서 ‘작고 수수한 글’로 이야기를 빚은 파브르라고 하는 사람을 다루는 그림책입니다.



날이 어두워지면 (어린) 파브르는 세찬 바람소리와 늑대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잠이 들었습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그곳이 온통 바위와 늪, 쇠똥투성이에 비가 그치지 않는 그저 거칠고 우중충한 곳처럼 비쳤겠지만, 파브르에게는 작은 놀라운 세상이었습니다. (12∼13쪽)




  새삼스럽지 않습니다만, 장 앙리 파브르 님은 ‘노벨 문학상 후보’로 오른 적이 있습니다. 다른 노벨상이 아니라 ‘노벨 문학상’입니다.


  저는 노벨상을 잘 모릅니다만, 파브르라고 하는 사람을 빼고 ‘학자가 학문을 하면서 쓴 글’로 노벨 문학상을 받거나 후보에 오른 사람이 더 있는지 궁금합니다. 파브르 님은 노벨 문학상을 받지는 못하고 후보에만 올랐지 싶은데, 후보에만 올랐다고 하더라도 식물학자나 곤충학자나 조류학자나 어류학자 ……, 참으로 많은 숱한 학자 가운데 ‘학문하는 글’로 노벨상 가까이 다가선 사람으로 누가 더 있을까요?


  자연과학을 하는 이들 가운데 ‘과학에 남긴 발자국이나 보람’ 때문이 아니라 ‘과학을 밝힌 글’로 노벨상 가까이 다가선 사람이 있을까요? 사상이나 철학을 하는 이들 가운데, 또 인문학이나 온누리 온갖 학문을 하는 이들 가운데 ‘글’로 노벨상이든 문학상이든 받을 만큼 쉽고 수수하면서 사랑스럽게 이야기를 풀어낸 사람이 있을까요?



열여섯 살이 되자 파브르는 집을 떠나 혼자 생활하기로 결심했습니다. 그 뒤로 파브르는 철도원으로도 일하고, 시장에서 레몬을 팔기도 하고, 가끔 철길 옆에 있는 과수원에서 슬쩍 딴 포도 몇 송이로 끼니를 때우며 살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눈길이 닿는 곳마다 작고 놀라운 세계가 파브르를 사로잡았어요. (17쪽)




  그림책 《파브르 이야기》는 ‘파브르 할아버지’가 할아버지 나이에 이르도록 언제나 이녁 둘레를 따사로운 눈길로 바라보면서 사랑스레 보듬을 줄 아는 마음이었다는 대목을 잘 짚어서 보여줍니다. ‘파브르 눈길이 닿는 곳’에서 벌어지는 ‘작고 놀라운 숨결’을 언제나 사랑스레 마주했다는 대목을 잘 드러내어 보여줍니다.


  왜 아이들은 ‘파브르 곤충기’나 ‘파브르 식물기’를 그토록 많이 읽을까요? 왜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파브르 곤충기나 파브르 식물기를 꾸준하게 읽히려 할까요? 곤충이나 식물을 살피는 ‘지식’이나 ‘정보’로만 놓고 본다면, 요즈음 새로 쓰는 책이 훨씬 낫다고 여길 만합니다. 오래도록 새롭게 쌓이거나 밝힌 지식이나 정보는 바로 ‘요즈막에 나온 책’이 더 나을 테니까요.


  요즈막에 나오는 수많은 ‘학자’와 ‘전문가’와 ‘교수’가 쓰는 책이나 논문이 덜떨어지거나 아쉽다고는 느끼지 않습니다. 다만, 파브르 님이 ‘글’을 쓰던 마음에 닿지 못하는 대목이 있어요. 파브르 님은 ‘글’에 사랑을 담아서 이야기를 빚는 마음이었으나, 오늘날 학자와 전문가와 교수는 ‘논문’에 지식과 정보를 더 담으려고 하는 마음일 뿐입니다. 파브르 님은 누구나 곤충 이야기와 식물 이야기를 읽고 즐기며 나눌 수 있는 길을 열려고 온힘을 기울였다면, 오늘날 학자와 전문가와 교수는 ‘누가 읽을 수 있는지 알기 어려운 논문’ 얼거리에서 아직 헤어나지 못한다고 할 만합니다.



오랜 세월이 지나 파브르는 마침내 평생 동안 간직해 온 꿈을 이룰 수 있는 돈을 마련했습니다. 그리고 조그만 시골 마을에 있는 분홍색 집을 찾아냈습니다. 높은 담과 플라타너스에 둘러싸인 아늑한 집이어서 안성맞춤이었어요. 파브르는 바로 이 집에서 곤충들의 천국을 만드는 일을 했습니다. (31쪽)





  사랑스레 지켜보고 사랑스레 노래합니다. 사랑으로 바라보고 사랑으로 꿈꿉니다. 파브르 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우리더러 전문가가 되라고 하지 않’습니다. 파브르 님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우리가 작은 벌레나 짐승이나 꽃이나 풀하고 ‘이웃’이나 ‘동무’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보여줍니다.


  곤충 전문가나 들꽃 전문가가 되는 일은 나쁘지 않아요. 전문가로 되려고 한다면 전문가로 되면 될 뿐입니다. 그러나, 전문 지식은 있되 이웃이나 동무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으면 어떻게 되는가 하는 대목을 살필 수 있기를 바라요. 뛰어난 지식이나 정보를 갖추었으나 사랑스러운 마음이 없는 사람들이 이 지구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를 돌아볼 수 있기를 바라요.


  식물학자도 물리학자도 ‘전문 지식’만 갖추어야 하지 않습니다. 시장과 군수뿐 아니라 대통령과 공무원도 ‘전문 지식’에 머물지 말고 ‘착한 마음’과 ‘사랑스러운 마음’과 ‘고운 마음’으로 삶을 보듬을 수 있어야 합니다.


  ‘파브르 곤충기’와 ‘파브르 식물기’를 읽는 아이들은 벌레와 푸나무하고 얽힌 이야기를 읽으면서 언제나 ‘이웃사랑’을 함께 헤아릴 수 있습니다. 《파브르 이야기》는 바로 이 대목을 찬찬히 짚어 줍니다. 파브르 님은 ‘곤충학자’나 ‘전문가’나 ‘위인’이 아니라, 우리 곁에서 ‘사랑’이라고 하는 마음을 수수하고 작게 들려주는 슬기로운 ‘글님’이었다고 느낍니다. 4348.10.17.흙.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