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이 들고 싶은 마음



  두 아이하고 밤마실을 한 바퀴 돌고 나서 집으로 돌아온 뒤 작은아이 이를 닦이고 자리에 눕습니다. 한참 자장노래를 부릅니다. 다친 오른무릎이 아직 많이 아파서 끙끙거리며 누운 몸인데, 자장노래를 부를 적에는 아픔을 잊습니다. 노래만 생각하며 부르니 아픈 줄 모릅니다. 그렇지만 노래를 부르다가도 곧잘 ‘아야’ 하는 느낌이 들고, 노래 한 가락을 마치고 숨을 고를 적에도 오른무릎이 참으로 아프네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이래서는 도무지 안 되겠구나 싶어서 아픈 다리를 이끌고 옆방으로 건너갑니다. 허리를 펴고 반듯하게 앉아서 이십 분 남짓 숨쉬기를 합니다. 아픈 데를 생각하지 않고, 오직 내 넋만 헤아리면서 바람이 내 몸으로 드나드는 동안 내 마음이 고요하고 차분하게 흐를 수 있도록 숨쉬기를 합니다.


  숨쉬기를 이십 분쯤 하고는 방바닥에 엎어집니다. 몸이 힘들어서 더 하지 못합니다. 그러나 이십 분 동안 숨쉬기를 했기에 오른무릎 아픔이 많이 가십니다. 문득 생각해 보는데, 자꾸 아프네 아프네 하고 생각하고 입으로도 말이 터져나오니 그저 아프기만 하지 않느냐 싶어요. 나 스스로 ‘튼튼하네 튼튼하네, 나는 눈부시게 튼튼하네’ 하고 생각하고 입으로도 말이 터져나와야 비로소 튼튼하면서 씩씩한 몸으로 거듭나리라 느낍니다.


  다시 잠자리에 들기 앞서 아이들 사진을 들여다봅니다. 여덟 살 큰아이가 마음껏 달리면서 바람을 가르는 사진을 오랫동안 바라봅니다. 나도 바로 우리 집 큰아이처럼 바람을 가르는 튼튼하고 씩씩한 어버이라는 대목을 마음에 아로새기려 합니다. 즐겁고 재미나게 하늘을 가르며 노는 꿈을 꾸려고, 아이들하고 함게 하늘을 가르고 구름을 타는 신나는 꿈을 꾸려고, 눈부시게 튼튼한 몸을 그리면서 비로소 몸과 마음을 함께 달래고 타이릅니다. 4348.9.20.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삶과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