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넋·삶 76 무엇
이름을 모르기에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무엇인지 모르니, 무엇을 알려고 마음을 기울여 바라봅니다. 그런데, 무엇인지 모를 때에는 무엇을 바라보는지조차 모릅니다. 무엇인지 모르기에 무엇을 보아야 하는지마저 모릅니다. 그래도, 내가 모르는 무엇을 찾고자 만나고자 알고자 이루고자 마음을 기울입니다. 이리하여, 나는 내가 모르기에 볼 수조차 없던 무엇을 처음으로 봅니다. 처음으로 보면서 이 새로움에 놀라 그만 아무 말이 안 나오고 아무것도 하지 못하지만, 가만히 ‘새로운 무엇’을 바라보다가 첫 마디가 터져나옵니다. 이 첫 마디는 내가 처음으로 만난 ‘새로운 무엇’을 가리키는 이름입니다. 온누리 모든 말은 이렇게 태어납니다. 처음 만난 무엇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가만히 바라보면서 이 무엇이 참으로 무엇인가를 생각한 끝에 비로소 무엇인지 마음으로 느끼고는, 이 무엇한테 ‘첫 이름’을 ‘첫 말’로 붙여서 부릅니다.
‘무엇’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기에 아직 모릅니다. ‘무엇’이라는 말로밖에는 나타낼 길이 없으니 아직 알지 못합니다. 그리고, 아직 모르기에 앞으로 알려고 합니다. 아직 모르기에 이 새로운 것을 알아서 내 삶으로 받아들이려 합니다. 아직 알지 못하고 이름조차 붙이지 못하는 것에 내가 스스로 새로운 이름을 붙여서 내 기운을 실으려 합니다. 내 손길을 타고 내 기운이 실린 ‘무엇’은 비로소 내 둘레를 이루는 수많은 것 가운데 하나가 되고, 꽃이며 풀이며 나무이며 흙이며 해이며 별이며 바람이며 사람이며 사랑이며, 맨 처음(꽃등)에는 ‘무엇’이었을 뿐이지만 ‘사람이 붙인 이름’을 얻으면서 바야흐로 아름다운 숨결로 다시 태어납니다.
‘무엇이라는 것’이 ‘무엇’으로만 있을 적에는 아무 뜻이 없고 넋도 숨도 없지만, 이 ‘무엇이라는 것’이 ‘무엇’으로 남지 않고 ‘내가 붙인 이름’으로 새롭게 부를 수 있을 때부터, 새로운 뜻과 넋과 숨이 흐릅니다.
내가 바라보며 알아채고 마주하면서 손을 뻗어 만질 때에 꽃입니다. 내가 들여다보며 알아내고 맞이하면서 온몸으로 껴안을 때에 나무입니다. 내가 찾아보며 알아보고 받아들이면서 온마음으로 사랑할 때에 사람입니다.
무엇 하나 없던 고요누리에, 무엇이든 새롭게 깃듭니다. 무엇 하나 없던 ‘하얀밤’에, 무엇이든 처음으로 흐릅니다. 무엇보다, 삶은 재미있고 즐거우며 아름답습니다. 4348.3.9.달.ㅎㄲㅅㄱ
(최종규/숲노래 . 2015 - 람타 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