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안 써야 우리 말이 깨끗하다
(2266) 출신의
양반 출신의 학자 → 양반 집안인 학자
서울 출신의 가수 → 서울내기인 가수
어디 출신의 사람일까 → 어디에서 온 사람일까
독일 출신의 배우 → 독일에서 태어난 배우
한자말 ‘출신(出身)’은 “1. 출생 당시 가정이 속하여 있던 사회적 신분 2. 어떤 지방이나 파벌, 학교, 직업 따위에서 규정되는 사회적인 신분이나 이력 관계”를 뜻한다고 합니다. 이 같은 한자말은 “부자 출신”이나 “시골 출신”처럼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자 집안”이나 “시골내기”처럼 손질할 만합니다.
부자나 양반 같은 신분이란 ‘집안’이 어떠한가를 가리킵니다. 어느 고장이나 마을이나 나라에서 태어났는가 하는 대목이란 ‘내기’를 가리킵니다. 그러니, 처음부터 한국말로 알맞게 쓰면 돼요.
‘출신’이라는 한자말을 그대로 쓰려 한다면, “양반 출신인 학자”나 “네덜란드 출신인 사업가”처럼 쓰면 됩니다. “독일 출신인 배우”나 “남부 수단 출신인 똑똑한 흑인 학생”처럼 쓰면 되지요. ‘출신’이라는 한자말을 쓰든, ‘집안’이나 ‘내기’라는 한국말을 쓰든, 이러한 말 뒤에는 ‘-의’가 아니라 ‘-인’을 붙여야 올바릅니다. 4348.7.19.해.ㅅㄴㄹ
사업을 구상하고 주도한 사람은 네덜란드 출신의 사업가 빌럼 얀 홀스보어였다
→ 일을 꾀하고 이끈 사람은 네덜란드 사업가 빌럼 얀 홀스보어였다
→ 이 일을 생각하고 이끈 사람은 네덜란드 사람인 빌럼 얀 홀스보어였다
《노시내-스위스 방명록》(마티,2015) 373쪽
북부 수단의 이슬람 정부군의 습격과 파괴가 시작되자, 남부 수단 출신의 똑똑한 흑인 학생은 모두 살해되었다
→ 북부 수단 이슬람 정부군이 쳐들어와서 짓밟자, 남부 수단에서 온 똑똑한 흑인 학생은 모두 목숨을 빼앗겼다
《벤슨 뎅,알폰시온 뎅,벤자민 아작/조유진 옮김-잃어버린 소년들》(현암사,2008) 44쪽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