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091) 바래다 (바램)
그것은 우리의 바램이었어
→ 그것은 우리 바람이었어
→ 우리는 그것을 바랐어
‘바란다’고 할 적에는 ‘바람’처럼 명사형(이름씨꼴)을 삼습니다. ‘바랜다’고 할 적에는 ‘바램’처럼 명사형을 삼지요. ‘바라다(바란다)’는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되어 달라고 생각하다”를 뜻하고, ‘바래다(바랜다)’는 “볕이나 바람이나 물 때문에 빛깔이 바뀌거나 허옇게 되다”를 뜻합니다.
바라다 - 바라요 - 바람 (꿈)
바래다 - 바래요 - 바램 (빛을 잃다)
그런데 방송이나 무대에 서서 노래를 부르는 수많은 ‘어른’들은 ‘꿈’을 이야기하려 하면서 으레 ‘바람’이 아닌 ‘바램’을 말해요. 꿈이 빛을 잃기를 바라기 때문일까요? 꿈이 제 빛을 잃지 않고 맑고 밝게 드리우기를 바란다면 ‘바램’이 아닌 ‘바람’으로 노랫말을 쓰고 노래를 불러야 올발라요.
방송이나 무대에 서는 어른들은 으레 ‘사람들이 ‘바램’으로 알거나 생각하니까 ‘바람’으로 쓰기 어렵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방송이나 무대에 서는 어른들이 ‘바램’이 아닌 ‘바람’이 맞다고 꾸준히 얘기하면, 사람들은 고개를 끄덕이면서 ‘그래, 이제껏 잘못 알았네’ 하고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꿈’을 ‘바램’으로 잘못 아는 사람들이 꽤 많다고 하더라도 이를 핑계로 삼아서 엉터리로 노랫말을 붙여서 불러도 되지 않습니다. 방송이나 무대에 서는 사람일수록 옳고 바르게 말하면서, 사람들한테 옳고 바른 말을 즐겁고 사랑스레 나누거나 퍼뜨리는 몫을 맡을 수 있어야 합니다. ‘바라다’를 ‘바람’으로 노래할 적에 잘못 알아듣겠구나 싶어서 걱정스러우면 ‘꿈’이라는 한국말을 곱게 쓰면 됩니다. 4348.6.30.불.ㅅㄴㄹ
더 살펴보기 : 바라다 (바램)
저희의 한결같은 바램이기도 합니다
→ 저희로서는 한결같은 바람이기도 합니다
→ 저희는 한결같이 바랍니다
자신의 바램을 밝히기도 했다
→ 제 바람을 밝히기도 했다
→ 제 꿈을 밝히기도 했다
→ 제 뜻을 밝히기도 했다
잘 풀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 잘 풀리기를 바랍니다
→ 잘 풀리기를 빕니다
바램이 있다면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 바람이 있다면 한말씀 하셔요
→ 바라는 일이 있다면 한말씀 하셔요
→ 꿈이 있다면 한말씀 들려주셔요
※ 방송이나 신문에서 ‘바람’을 ‘바람’대로 말하지 못하거나 적지 못하는 일이 퍽 잦습니다. ‘바람’을 ‘바람’대로 알맞고 바르게 말하거나 적는 사람도 많습니다. ‘바라다’를 ‘바람’으로 적어야 하는 줄 잘 모르겠으면 ‘꿈’이라 하면 되고, ‘빌다(빎)’라는 낱말을 쓸 수 있습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