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1088) 드리다 (감사드리다, 축하드리다, 인사드리다)


 선물 감사드려요

→ 선물 고마워요



  한자말 ‘감사(感謝)’는 “1. 고마움을 나타내는 인사 2. 고맙게 여김. 또는 그런 마음”을 뜻한다 하고, ‘감사하다’는 동사와 형용사로 씁니다. 말뜻을 살피면 한국말은 ‘고마움·고맙다’입니다. 영어는 ‘thank’이고, 한자말은 ‘感謝’이며, 한국말은 ‘고맙다’예요.


  ‘드리다’는 ‘주다’를 높이는 낱말입니다. “할머니 짐을 들어 주렴”을 “할머니 짐을 들어 드리렴”처럼 씁니다. “차려 주다”나 “선물을 주다” 같은 말투일 때에 ‘드리다’를 넣습니다. 그러니, 말꼴로 보자면 “감사 주다”나 “부탁 주다”나 “인사 주다”나 “사과 주다”나 “축하 주다”처럼 쓰지 않기 때문에, 이런 말씨에 ‘드리다’를 붙이는 말씨는 올바르지 않습니다. 다만, 오늘날에는 관용구로 ‘드리다’를 붙여서 쓸 뿐입니다.


  관용구는 ‘옳은 말씨’가 아니라 ‘널리 쓰는 말씨’입니다. 옳지 않아도 널리 쓰기에 관용구라고 합니다. 그러니, 관용구일 적에는 안 써야 한다고 할 수 없으나, 쓰라고도 할 수 없습니다. 그저 쓸 뿐입니다. 그리고, 관용구이기에 굳이 써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2012년부터 ‘감사드리다’를 표준말로 받아들입니다. 관용구이지만 ‘널리 써서 굳어진 말씨’라고 여겨서 표준말로 삼은 셈입니다. 그러나, ‘감사’는 ‘내가 고맙게 느끼거나 여긴다’는 뜻이니, ‘감사’를 ‘드릴’ 수 없습니다. 말법에 어긋납니다. ‘감사하다’를 높이려면 ‘감사합니다’로 써야지요. ‘드리다’가 높이려는 뜻으로 쓰는 말씨이기에 ‘감사’나 ‘부탁’ 같은 한자말 뒤에 붙이는 관용구가 생겼으나, ‘높임’을 나타내려 했대서 ‘드리다’를 아무 데나 붙일 수 없습니다. 그리고, ‘감사’를 주거니 받거니 하려고 ‘감사드리다(감사주다)’처럼 말하지는 않을 테지요? 4348.6.30.불.ㅅㄴㄹ



여러 동료들에게도 감사를 드린다

→ 여러 동료들한테도 고맙다

《앤디 그룬드버그·줄리아 스쿨리/강용석 옮김-윌리암 이글리스톤과 조엘 메이어뤼쯔》(해뜸,1986) 7쪽



※ 한문을 쓰던 조선 사회에서도 ‘감사’라는 한자말을 썼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문을 쓰던 얼마 안 되는 양반과 지식인만 이 한자말을 썼을 뿐, 한겨레를 이룬 거의 모든 사람은 ‘고맙다’라는 한국말을 썼어요. ‘감사’라는 한자말은 일제강점기부터 갑작스레 널리 퍼졌습니다. ‘감사하다’ 같은 말마디도 얼마든지 쓸 수 있습니다만, 한국사람이 먼 옛날부터 즐겁게 주고받던 ‘고맙다’라는 말마디가 있어요. 일제강점기부터 널리 퍼졌든 옛 지식인이 한문을 다루면서 썼든, 한겨레한테 오랜 말인 ‘고맙다’를 알뜰히 사랑한다면 ‘감사드리다’ 같은 엉뚱한 관용구는 생기지 않습니다.


  한국말은 ‘한자로 이루어진 말’이 아니라 ‘한국사람이 쓰는 말’입니다. 한국말을 올바로 바라보면서 생각한다면 ‘고맙다’라는 말마디를 알맞게 쓸 테고, ‘축하드리다·사과드리다·부탁드리다’는 ‘축하하다·사과하다·부탁하다’로 올바로 쓰리라 봅니다.


  ‘인사드리다’ 같은 말투는 ‘인사 올리다’로 고쳐써야 올바릅니다. 예부터 웃사람한테 인사나 말을 여쭐 적에는 ‘올리다’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인사 올리다”나 “말씀 올리다”처럼 씁니다.


  무엇보다도 말은 ‘틀로 짠 높임말’만 써야 높이려는 뜻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우리 마음이 ‘서로 아끼고 높이려는 숨결’일 때에 ‘여느 말(평상말)’을 쓰더라도 높이려는 뜻이 퍼집니다. ‘감사드리다’ 꼴처럼 ‘드리다’를 붙여야 높임말이지 않습니다. 서로 아끼고 높이려는 숨결을 담아서 이야기를 나누려고 할 때에 참답게 높임말이 됩니다.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