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33] 삶노래


  아름다운 이웃님이 빚은 멋진 동시집이 있기에, 이 책을 펼쳐서 아이들하고 ‘노래를 부르곤’ 합니다. 왜 동시를 노래로 부르는가 하면, 참말 동시는 언제나 노래처럼 읽을 만하기 때문입니다. 우리 집 아이들은 동시집에 나오는 글도 아버지가 쪽종이에 적어서 건네는 글도 모두 아이 나름대로 가락을 입혀서 노래로 부릅니다. 아이들이 모든 글을 노래로 부르면서 노는 모습을 오래도록 지켜보다가 문득 생각합니다. 우리가 쓰는 글이 모두 노래가 된다면, 우리가 쓰는 글은 언제나 ‘글’이면서 ‘노래’라는 뜻입니다. 여러 가지 무늬와 결로 종이에 글씨를 입히니 글이지만, 이 글을 입으로 읊으면 말입니다. 말은 글이 되고, 글은 말입니다. 그러니, 글이 노래라고 한다면 말이 노래라는 뜻이요, 사람들이 서로 주고받는 말도 언제나 노래라는 뜻이에요. 더 헤아리면, 처음에는 글이 없이 ‘말’만 있었어요. 처음에는 모든 사람이 서로 말만 나누었고, 말에는 생각이나 느낌이 담겨 ‘이야기’로 거듭납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에 곱게 가락을 입히니 ‘노래’입니다. 이제 하나씩 돌아봅니다. 오늘날 많은 분들이 ‘문학’을 하려고 ‘시’를 씁니다. 시를 한글로 ‘시’라고만 적으면 멋이 없다고 여기기도 하기에 ‘詩’처럼 쓰는 분이 있고, 영어로 ‘poem’처럼 쓰는 분이 있습니다. 이리하여, 나는 이 땅에서 오래도록 살아온 무늬와 결을 살피면서 ‘삶노래’라는 이름을 하나 새로 빚습니다. 사람들이 나누는 말은 ‘내 생각과 느낌을 담은 이야기’인데, 이러한 이야기는 바로 우리 ‘삶’입니다. 그래서 ‘삶말’이고, 이를 글로 옮기면 ‘삶글’이 되며, 이를 늘 즐겁게 부르면서 ‘삶노래’입니다. 삶노래를 곱게 지어서 기쁘게 부르는 사람들은 모두 ‘삶노래님’입니다. 시인도 가수도 모두 삶노래님이요, 삶노래지기이고, 삶노래꾼이면서, 삶노래장이입니다. 4348.6.11.나무.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