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책빛 먹기

25. 교과서는 책인가



  학교에서는 교과서를 가르칩니다. 학교에서는 교과서를 바탕으로 시험을 치릅니다. 초등학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모두 교과서를 씁니다. 교과서에 나오는 지식이어야 시험 문제로 다룰 만하고, 시험 문제를 잘 외워서 맞출 수 있어야 ‘공부를 잘 한다’고 여깁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서는 과목에 따라 한 권씩 있습니다. 한 학기에 교과서 한 권을 떼기도 하고, 한 해에 교과서 한 권을 떼기도 합니다. 열 과목이나 스무 과목을 학교에서 배워야 한다면, 짐짓 많아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 학기나 한 해에 열 권이나 스무 권에 이르는 교과서를 배운다고 한다면,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서는 대단히 적습니다. 한 해에 교과서 열 권을 뗀다면 한 달에 한 권도 못 떼는 셈이요, 한 해에 교과서 스무 권을 뗀다면 한 달에 한 권 반쯤 겨우 떼는 셈이기 때문입니다.


  학교 바깥쪽을 헤아리면, 날마다 새로 나오는 책이 무척 많습니다. 우리는 날마다 새로 나오는 책을 모두 다 읽지 못합니다. 그런데 책은 날마다 꾸준하게 새로 나와요. 학교 안쪽을 들여다보면, 교과서 아닌 책을 볼 틈을 내기가 만만하지 않습니다. 학교 안쪽에서는 시험 문제 때문에 교과서를 단단히 붙잡아야 하고, 학교 바깥쪽에서는 학원에서 교과서를 더 깊이 붙잡도록 이끕니다.


  조지 카치아피카스 님이 쓴 《아시아의 민중봉기》(오월의봄,2015)라는 책이 있습니다. 800쪽 가까이 되는 책으로, 필리핀·버마·티베트·중국·타이완·방글라데시·네팔·인도네시아에서 어떤 ‘민중봉기’가 있었는가를 들려주는 책입니다. 800쪽짜리 책이라고만 여기면 두툼할는지 모르나, 아시아 여러 나라 이야기를 갈무리한 책이라고 여기면 ‘얇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 나라 이야기만으로도 얼마든지 더 두툼할 테고, 한 나라에서 일어난 어느 한 가지 이야기만으로도 얼마든지 두툼한 책 몇 권을 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아의 민중봉기》를 읽으면 “19세기 말 스페인 제국이 몰락하면서 미국이 필리핀에 대해 권리를 주장했다. 미국인들의 ‘명백한 운명’에 복종하기를 거부했다는 이유로, 독립운동이 분쇄되기 전까지 미국은 약 20만 명의 원주민을 학살했다(80쪽).” 같은 이야기가 아무렇지 않게 흐릅니다. ‘20만 명 원주민 학살’이 필리핀에서 있었다는데, 학교에서 가르치거나 배우는 교과서에 이런 이야기가 나올는지 궁금합니다. 한국에서 쓰는 역사(세계사) 교과서에서는 필리핀 이야기를 어느 만큼 다룰까요?


  “경제적 기능이 마비 상태인 버마는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국내에서 철거민 수십만 명이 빈궁한 생활을 한다. 최고 군사 지도자들은 엄청난 재산을 축적하는 반면, 90퍼센트의 버마인들은 하루 1달러 이하로 살아간다(166쪽).” 같은 이야기도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한국에서 어린이와 푸름이가 배우는 역사 교과서에서는 버마 이야기가 어느 만큼 나올까요? 버마가 군사독재 때문에 모진 아픔을 겪어야 했고,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군홧발에 짓눌린 채 가난과 굶주림에 허덕인다는 이야기를 학교에서 교과서로 배우거나 듣거나 엿볼 수 있을까요? 버마뿐 아니라 다른 아시아 이야기도 매한가지입니다. 아시아 이야기뿐 아니라 한국 이야기도 매한가지예요. 우리가 학교에서 가르치거나 배우는 교과서에서는 ‘한국에서 가난하고 힘겹게 살면서 굶주리는 이웃’ 이야기를 얼마나 다룰까요? 교과서에서는 우리 역사나 사회나 문화 이야기를 어떻게 다룰까요?


  곰곰이 돌아보면, 교과서에서 민중봉기 이야기를 다루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민중봉기 이야기를 시험 문제로 내기도 어려울 수 있습니다. 군사독재나 쿠테타나 학살 이야기를 교과서나 시험 문제로 똑똑히 다루는 일은 매우 드물다고까지 할 수 있습니다.


  교과서는 우리를 둘러싼 수많은 이야기 가운데 몇 가지를 간추려서 담습니다. 교과서 한 권에는 모든 이야기를 담지 못합니다. 학교에서 교과서를 찬찬히 익힌다면, 어떤 지식을 놓고 큰그림을 그린다든지 테두리를 잡는다든지 할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교과서로는 속살을 샅샅이 파고들지는 못합니다. 어느 때에는 교과서로 겉훑기조차 제대로 못할 수 있습니다.


  문학 교과서에서는 시를 몇 꼭지나 실어서 읽힐까요? 문학 교과서는 소설을 한 권이라도 차근차근 다룰 수 있을까요? 과학 교과서는 우주 물리학이나 양자 물리학을 얼마나 짚을까요? 국어 교과서는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을 얼마나 잘 쓰거나 헤아리도록 북돋울까요?


  《아시아의 민중봉기》라는 책은 “민중이 들고일어날 때, 그들의 용감한 행동은 춤·시·산문·연극으로 신화화했다. 그러나 오만한 권력 앞에서 침묵한다면, 승리한 폭군의 내실 외에 어디에서도 그들을 찬양하지 않는다(332쪽).” 같은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민중’은 ‘오만한 권력’ 앞에서 고개를 꺾거나 돌리지 말아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민중은 언제나 씩씩하고 기운차게 일어나서 아름답고 사랑스러운 길을 걸어야 한다는 이야기입니다.


  민중은 누구일까요? 바로 우리입니다. 우리는 누구나 민중입니다. 민중은 어디에 있을까요?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우리가 모두 민중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사람’이라면 옳고 바르면서 착하고 참답게 살아야 사람입니다. ‘사람’일 때에는 슬기롭게 생각하고 사랑스레 꿈을 꾸어야 사람입니다. ‘사람’이기에 서로 어깨동무를 하고 이웃을 아낍니다. ‘사람’인 만큼 아름답게 노래하고 곱게 웃으면서 기쁘게 삶을 짓습니다.


  교과서는 교과서입니다. 학교에서 학생한테 기초 지식을 알려주려고 쓰려고 엮는 교과서입니다. 그러니, 학교를 다니면서 교과서로 배우는 동안, ‘교과서 아닌 책’을 늘 곁에 둘 수 있어야 합니다. 스스로 눈길을 틔워야 하고, 스스로 생각을 가꾸어야 합니다. 스스로 눈높이를 북돋아야 하고, 스스로 마음을 일구어야 합니다.


  교과서는 교과서일 뿐, 책은 아닙니다. 교과서는 어린이와 푸름이가 ‘책으로 가는 길’을 알려주는 길잡이 구실을 합니다. 문학 교과서가 시나 소설을 드문드문 몇 가지만 살짝 추려서 보여줄 수밖에 없는 까닭은, 문학 교과서는 바로 ‘문학책으로 가는 길’을 가만히 보여주면서 우리가 스스로 기쁘게 나아가도록 도우려 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교과서도 온갖 지식을 맛보기로만 가볍게 보여줍니다. 학문을 하든 살림을 돌보든 사랑을 하든, 우리는 저마다 스스로 수많은 책을 품에 안으면서 너른 바다를 헤엄칠 줄 아는 숨결로 거듭나야 합니다. 삶에서 이야기를 짓고, 삶에서 보람을 찾으며, 삶에서 뜻을 이룹니다. 학교에서 시험성적이 덜 나오더라도 교과서에 덜 매이면서 ‘책’을 읽을 줄 알아야 합니다. 시험성적만 잘 나오는 몸짓으로 학교를 마치면, 사회에서도 삶에서도 ‘눈뜬 장님’이 되기 일쑤입니다. 4348.6.2.불.ㅅㄴㄹ


(최종규/숲노래 . 2015 - 청소년 책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