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음표 한자말 209 : 고택古宅



추사 고택으로 가는 길 끝이 없는 / 밭고랑에 납빛 적의를 번쩍이며 / 잔설들이 잠복해 있다

〈추사 古宅 길〉, 《노향림-후투티가 오지 않는 섬》(창작과비평사,1998) 70쪽


 추사 고택으로 가는 길

→ 추사 옛집으로 가는 길

 추사 古宅 길

→ 추사 옛집 길



  이 보기글을 보면, 시에 붙인 이름에는 ‘古宅’이라 적고, 싯말에는 한글로 ‘고택’이라 적습니다. 시에 이름을 붙일 적에는 한자를 드러내어야 그럴듯해 보인다고 여길 수 있고, 싯말에서는 굳이 한자를 안 드러내어도 된다고 여길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름이든 싯말이든 모두 쉽고 정갈하게 한국말로 ‘옛집’이라 적을 수 있습니다.


  이 싯말을 살피면 ‘적의’와 ‘잔설’과 ‘잠복’ 같은 한자말이 잇달아 나옵니다. 이 낱말은 모두 한글로 적습니다. 한자를 안 밝힙니다.


  한자말이기에 한자를 밝혀서 적어야 할는지 생각해 볼 노릇입니다. ‘赤衣/翟衣’나 ‘殘雪’이나 ‘潛伏’으로 한자를 밝혀서 적으면 시가 될까요? 한글로 적으면 시가 될까요? 한자도 한글도 아닌 한국말로 ‘붉은옷/납빛으로 붉은 옷’이나 ‘남은 눈’이나 ‘숨다’로 적으면 시가 될까요?


 옛집 . 낡은 집 . 오래된 집 . 묵은 집


  집은 집입니다. 오래된 집은 “오래된 집”이면서 “옛집”입니다. 새로 지은 집은 “새로 지은 집”이면서 “새집”입니다. 옛집이기에 ‘옛집’이라 하고, 새집이기에 ‘새집’이라 합니다. 이를 구태여 ‘古宅’이나 ‘新宅’이라 적을 까닭이 없습니다. 4348.4.16.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추사 옛집으로 가는 길 끝이 없는 / 밭고랑에 납빛 옷을 번쩍이며 / 남은 눈이 숨었다


“납빛 적의”에서 ‘적의’는 ‘赤衣’일까요, ‘翟衣’일까요? 아무래도 불교에서 쓴다는 ‘赤衣’이지 싶은데, 그러면 “붉은 납빛 옷”이나 “납빛으로 붉은 옷”으로 고쳐써야지 싶습니다. 그냥 “납빛 옷”으로 적을 수도 있어요. ‘잔설(殘雪)’은 ‘남은 눈’으로 손질하고, “잠복(潛伏)해 있다”는 “숨었다”로 손질해 줍니다.



고택(古宅) : 옛날에 지은, 오래된 집


..


묶음표 한자말 210 : 호구虎口



서른넷 으젓한 나이를 도끼로 삼고 / 평생의 적수와 호젓하게 만나는 / 虎口의 바람으로 간다

《복거일-五丈原의 가을》(문학과지성사,1988) 33쪽


 虎口의 바람으로 간다

→ 범 아가리 바람으로 간다

→ 범 아가리에 바람으로 간다

 …



  ‘虎口’라는 한자말에서 ‘虎’와 ‘口’는 모두 한국말이 아닙니다. ‘tiger mouth’에서 ‘tiger’도 ‘mouth’도 한국말이 아닙니다. 한국말은 무엇일까요? 한국말은 ‘범’과 ‘입’입니다. 그리고, ‘입’은 사람한테만 쓰고, 새한테는 ‘부리’라 하고, 짐승과 물고기한테는 ‘주둥이’라 합니다. ‘아가리’는 구멍을 가리키는 자리에서도 쓰고, ‘입’을 가리키는 자리에서도 씁니다. 그래서, 이 보기글에 나오는 ‘虎口’는 한국말로 “범 아가리”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다만, 시를 쓴 분이 한자나 한문을 좋아해서 일부러 썼다면, 어찌할 수 없겠지요. 아마 어떤 이는 한자나 한문이 아닌 영어를 좋아해서 ‘tiger mouth’ 같은 영어를 쓸 수 있고, ‘wind of tiger mouth’처럼 시를 쓸 수 있어요.


 호구에 들어가다

→ 범 아가리에 들어가다

 순순히 널 따른다고 날 호구로 아니

→ 고분고분 널 따른다고 날 바보로 아니


  시를 쓰는 자리이든 여느 자리이든 외국말을 쓰고 싶다면 쓸 수 있습니다만, 한국사람이 읽을 시라면 굳이 외국말까지 빌어야 할까 궁금합니다. 4348.4.16.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서른넷 의젓한 나이를 도끼로 삼고 / 평생 맞잡이와 호젓하게 만나는 / 범 아가리에 바람으로 간다


‘적수(敵手)’는 ‘맞잡이’나 ‘맞들이’나 ‘맞수’로 손볼 수 있습니다. ‘평생(平生)’은 그대로 두어도 되고, ‘온삶’으로 손보아도 됩니다.



호구(虎口)

1. 범의 아가리라는 뜻으로, 매우 위태로운 처지나 형편을 이르는 말

   - 호구에 들어가다 / 호구를 벗어나다.

2. 어수룩하여 이용하기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호구를 잡다 / 순순히 널 따른다고 날 호구로 아니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