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량한 말 바로잡기

 (1662) 응시


그냥 보라! 응시하라. 관념을 보려 하지 말고 보이는 세계를 그냥 보라

《앤소니 드 멜로/이현주 옮김-행복하기란 얼마나 쉬운가》(샨티,2012) 26쪽


 그냥 보라! 응시하라

→ 그냥 보라! 바라보라

→ 그냥 보라! 그저 보라

→ 그냥 보라! 똑바로 보라

 …



  우리는 보면 됩니다. 무엇이든 바라보면 됩니다. 이 생각을 하거나 저 생각에 기울지 않는 몸짓으로 “그냥 보면” 됩니다. 그저 보는 모습이 ‘바라보기’요, 이 한국말을 한자말로 옮기니 ‘응시’입니다. 다시 말하자면, 이 보기글은 겹치기로 쓴 셈입니다. 하나는 한국말로 쓰고, 다른 하나는 한자말로 쓴 셈이에요.


 천장의 한 곳을 응시만 하고 있었다

→ 천장에서 한 곳을 바라보기만 했다

→ 천장 가운데 한 곳을 보기만 했다

 선생님의 응시를 피했다

→ 선생님 눈길을 거슬렀다

→ 선생님이 보자 눈길을 돌렸다

 응시를 계속할 따름이었다

→ 자꾸 바라볼 뿐이었다

→ 그대로 볼 뿐이었다

 허공을 응시하다

→ 하늘을 바라보다

 멍하니 바깥을 응시하고 있었다

→ 멍하니 바깥을 보았다

→ 멍하니 바깥을 바라보았다


  우리가 늘 쓰는 말도 제대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우리가 늘 쓰는 말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기에 잘못 쓰기 일쑤입니다. 말 한 마디를 제대로 살필 수 있을 때에, 내 뜻과 넋을 제대로 담아서 이야기합니다. 글 한 줄을 제대로 돌아볼 수 있을 때에, 내 마음과 꿈을 제대로 실어서 이야기합니다. 4348.3.20.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냥 보라! 바라보라. 생각을 보려 하지 말고, 보이는 곳을 그냥 보라


‘관념(觀念)’은 ‘생각’이나 ‘뭇생각’으로 다듬고, ‘세계(世界)’는 ‘곳’으로 다듬습니다.



응시(凝視) : 눈길을 모아 한 곳을 똑바로 바라봄

   - 천장의 한 곳을 응시만 하고 있었다 /

     그는 선생님의 응시를 피했다 / 응시를 계속할 따름이었다 /

     허공을 응시하다 / 멍하니 바깥을 응시하고 있었다


..



 알량한 말 바로잡기

 (1665) 내심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네. 그리고 사실은 자네도 내심 내 말에 동감한다는 걸 아네

《요한 크리스토프 아놀드/원마루 옮김-아이들의 이름은 오늘입니다》(포이에마,2014) 95쪽


 내심

→ 속으로

→ 마음으로

→ 속으로는

→ 마음으로는

→ 막상

→ 정작

 …



  한국말 ‘속마음’을 한자로 옮겨서 적으니 ‘내심’이 됩니다. ‘속(內) + 마음(心)’인 셈입니다. 그러니까, 한국사람은 처음부터 ‘속마음’이라 말하면 되고, ‘속내’라 말하면 돼요. 더 헤아리면, ‘마음’은 속에 있을 뿐, 겉에 있지 않습니다. 그러니 ‘마음’이라고만 말해도 되고, ‘마음속’이라 말해도 됩니다.


 내심으로 쾌재를 부르다

→ 속으로 기뻐하다

→ 속으로 기쁘게 외치다

 내심으로 기뻐하다 

→ 속으로 기뻐하다

→ 속마음으로 기뻐하다

 내심을 드러내다

→ 속내를 드러내다

→ 속마음을 드러내다


  ‘속-’이라는 앞가지를 살려서 ‘속생각’이나 ‘속사랑’ 같은 말을 쓰기도 합니다. 이러한 말틀을 헤아리면 ‘속빛’이나 ‘속뜻’이나 ‘속넋’ 같은 말을 쓸 수 있고, 이런 말도 제법 두루 씁니다. ‘속이야기’라든지 ‘속꿈’이라든지 ‘속말’ 같은 말도 쓸 만하고, ‘속삶’이나 ‘속기운’ 같은 말을 쓸 수도 있어요. 4348.3.20.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네. 그리고 막상 자네도 속으로는 내 말을 받아들일 줄 아네


‘사실(事實)은’은 ‘알고 보면’이나 ‘막상’이나 ‘정작’으로 다듬고, “동감(同感)한다는 걸”은 “같은 줄”이나 “같이 생각하는 줄”이나 “받아들일 줄”로 다듬습니다.



내심(內心)

1. = 속마음

   - 내심으로 쾌재를 부르다 / 내심으로 기뻐하다 / 내심을 드러내다

2. [불교] ‘마음’을 외상(外象)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