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푸공의 아야 2
마르그리트 아부에 지음, 이충민 옮김, 클레망 우브르리 그림 / 세미콜론 / 2011년 2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할 일이 없을 때에 사람들은

― 요푸공의 아야 2

 마르그리트 아부에 글

 클레망 우브르리 그림

 세미콜론 펴냄, 2011.2.18.



  할 일이 없을 때에, 사람들은 참말 할 일이 없어서 무엇이라도 하려고 합니다. 그 일이 옳은지 그른지 좋은지 나쁜지 아름다운지 안 아름다운지 따지지 않습니다. 너무 따분하고 재미없고 심심한 나머지 어떤 일이라도 하려고 합니다.


  할 일이 있을 때에, 사람들은 참말 할 일이 있어서 아무 일이나 하려고 들지 않습니다. 할 일이 있는 사람은 제 할 일을 합니다. 아주 마땅하지요. 스스로 즐겁게 할 일이 있는데 왜 아무 일이나 건드릴까요.


  ‘할 일’이란 ‘직업’이 아닙니다. ‘할 일’이란 ‘돈 되는 일’이 아닙니다. ‘할 일’이란 스스로 삶을 새롭게 바라보면서 기쁘게 짓는 일입니다. ‘할 일’은 언제나 새롭게 마주하면서 웃음과 노래로 누리는 아름다운 일입니다.



- “자네 정말 괜찮은 사람이야. 시골의 친척들을 잊지 않고. 마을을 떠나면 마음도 떠나는 게 보통인데 말이야. 자네와 가족들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비네.” “감사합니다, 아저씨. 속담에도 있잖아요. 파리는 아무리 급해도 똥이 나오기를 기다리는 법이죠!” (12쪽)

- “아주아, 누가 보비의 진짜 아버지인지 그냥 실토해. 간단하잖아.” “그게 그렇게 쉬운 줄 알아?” “아주아, 넌 인생을 뭐 하러 그렇게 복잡하게 살아?” “빈투, 네 일 아니라고 그렇게 쉽게 말하지 마.” “아주아, 빈투 말이 맞아. 보비는 지나가다 자꾸 들르는 그 사람 닮았잖아.” “아야, 돌려 말할 것 없어. 그냥 마마두라고 해.” (19쪽)





  마르그리트 아우에 님이 글을 쓰고, 클레망 우브르리 님이 그림을 그린 《요푸공의 아야》(세미콜론,2011)라는 만화책 둘째 권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코트디브아르라는 나라에서 사는 사람들 이야기가 흐르는 만화라고 해서 가만히 눈여겨봅니다. 그런데 이 만화에 나오는 사람들은 다들 ‘할 일’이 없습니다. 커다란 회사를 꾸리는 사람이든, 커다란 회사에서 어느 지사장을 맡는 사람이든, 그저 빈둥거리는 사람이든, 도시에서 일자리를 얻는 사람이든, 길거리에서 먹을거리를 구워서 장사하는 사람이든, 참말 다들 ‘할 일’이 없습니다. 이러면서 ‘돈’을 바라고 ‘놀이’를 바랍니다. ‘새로운 일’이 아니라 ‘뭔가 짜릿한 어떤 일’을 바랍니다.



- “얘는 왜 이렇게 시도 때도 없이 우는 거야?” “배고파서 그래. 불쌍한 것. 업어 줘야겠다. 근데 넌 어디 가는데?” “나 파리지앵이랑 약속 있어.” “빈투! 그 남자는 또 어디서 만났어?” (35쪽)

- “너 좀 맘에 든다?” “귀찮게 좀 하지 마. 요푸공 남자들은 왜 하나같이 이렇게 야만적이야?” “뭐? 왜 사람을 무시하는 건데?” “야, 나는 이런 동네 남자들과는 볼일 없어. 나는 파리에서 온 것들만 상대한단 말이야.” “아, 그래? 그래서 뭐, 파리에서 온 차라도 있다는 거냐?” “넌 귀가 먹었냐? 애인이 파리에서 왔다고. 날 파리로 데려가서 같이 살 거라고! 그러니 넌 그냥 찌그러져 있어!” “음, 파리만 상대한다, 사람한텐 찌그러져라. 무서운 여자네.” (65쪽)




  코트디브아르라는 나라는 언제부터 이런 모습이었을까요? 프랑스라는 나라가 없을 적에도 이런 모습이었을까요? 서양사람이 전쟁무기를 앞세워서 문명이라는 허울을 붙인 온갖 종교와 교육을 들이밀 적부터 이런 모습이 되었을까요?


  손수 밥을 지어서 먹는 사람한테는 늘 ‘할 일’이 있습니다. 손수 밥을 짓는 사람은 손수 옷을 짓고, 손수 옷을 짓는 사람은 손수 집을 짓습니다. 이리하여 밥과 옷과 집을 손수 짓는 사람은 언제나 삶을 손수 짓습니다.


  ‘할 일’은 남이 나한테 주지 않습니다. 나는 남이 시키는 일을 하지 않습니다. 나는 내 삶을 가꿀 만한 일을 스스로 찾습니다. 나는 내 숨결을 아끼면서 사랑으로 밝힐 일을 스스로 일굽니다.


  어느 만큼 나이가 찬 가시내랑 사내가 살을 섞어야 재미있지 않습니다. 여기에서 살을 섞고 저기에서 살을 섞을 때에 재미나지 않습니다. 남이 차려 주는 밥을 먹어야 기쁘지 않고, 남이 갖다 바치는 옷을 입어야 신나지 않아요.



- “여자애가 그렇게 데리고 다니기 부끄러운 애야? 오빠는 어떻게 여자를 한 번도 집에 안 데려와?” “양파 썩는 거나 신경 쓰고 나는 좀 내버려둬.” “걱정 마. 보비와 나는 어떻게든 헤쳐나갈 테니까. 보비가 있는 게 다행인 줄 알아. 아이 앞이라 욕 안 하고 참는 거라고. 얘가 얼마나 순진한지 알아? 들쥐처럼 남들 눈을 피해 다니는 놈들하고는 다르다고!” “아주아, 너 지금 뭐라고 했어?” “그 쥐새끼가 썩으면 냄새가 진동하게 될걸!” (98쪽)





  스스로 ‘할 일’이 없으니 제자리를 잃고 떠돕니다. 떠도는 사람들은 제 할 말을 잊거나 잃습니다. 제 할 말을 잊거나 잃기에 거치거나 쓸쓸한 말이 튀어나옵니다. 내가 스스로 나를 아끼지 못하기에, 내 살붙이와 이웃과 동무한테 따사롭게 말을 건네지 못합니다.


  지구별에서 어느 나라가 아름다운 삶을 누릴까 궁금합니다. 번쩍거리는 자가용을 몰고, 번쩍거리는 넓은 시멘트 아파트에서 살면 아름다울까요? 온갖 전쟁무기를 갖춘 엄청난 군대가 나라를 지켜 주는 곳에서 살면 평화로울까요? 국민투표로 뽑힌 정치 일꾼이 모든 법을 이녁 마음대로 지어서 온갖 세금을 주무르면서 경제개발을 하고 스포츠와 영화를 키우면 재미있을까요?


  사랑이 사랑을 낳습니다. 꿈이 꿈을 낳습니다. 이야기가 이야기를 낳습니다. 사랑이 없는 곳에서는 사랑이 흐르지 않습니다. 꿈이 없는 곳에서는 꿈이 흐르지 않습니다. 이야기가 없는 곳에서는 이야기가 흐르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알록달록 눈부신 옷을 차려입더라도, 마음에 사랑이나 꿈이 없으면 아무런 이야기가 없습니다. 겉치레로 번드레레하고 꾸미는 말은 이야기가 되지 않습니다. 삶을 가꾸지 않으면서 입만 놀리는 말로는 아무런 이야기가 되지 않습니다.


  사랑이 없이 살을 섞으니 ‘바람둥이’가 되고, 서로 바람둥이로 하루를 지새우니 아름다운 노래가 없습니다. 만화책 《요푸공의 아야》는 현대문명과 물질문명과 도시문명이 치닫는 막다른 벼랑을 낱낱이 보여주는구나 하고 느낍니다. 4348.2.26.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시골에서 만화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