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87] 딛고 밟는 땅

― 보금자리와 집과 삶터



  내가 딛는 곳이 내 삶터입니다. 내가 두 다리로 딛는 곳이 내 보금자리가 됩니다. 내가 즐겁게 딛는 곳을 내 집으로 삼고, 내가 가장 오랫동안 두 다리로 딛고 서서 움직이는 자리에서 삶이 피어납니다.


  사람들이 도시에서 가장 많이 몰려서 사는 까닭은 도시에서 하려는 일이 가장 많고, 도시에서 하고 싶은 일이 가장 많으며, 도시에서 할 수 있는 일이 가장 많다고 여기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시골에서 하려는 일이 많다면 아주 마땅히 시골에서 살 테며, 사람들이 시골에서 할 수 있는 일이 많다고 여기면 아주 저절로 시골에서 보금자리를 찾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사람들은 시골에서 삶자리나 일자리나 놀자리를 헤아리지 않습니다. 오늘날 사람들은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첫발을 떼는 날부터 ‘도시바라기’가 됩니다. 도시사람도 도시바라기요, 시골사람도 도시바라기입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모두 시골에서 납니다. 쌀밥이든 보리밥이든 시골 논에서 거둡니다. 콩을 즐기든 나물을 즐기든 채식을 하든 육식을 하든, 돼지와 닭과 소도 모두 시골에서 기릅니다. 도시사람은 채식이나 육식을 따로 가리지만, 시골사람은 이것저것 굳이 가리지 않아요. 시골사람은 스스로 먹을 밥을 스스로 가꾸고 돌보며 아끼면서 얻습니다.


  도시사람이 채식이나 육식을 가리면서 ‘이것이 좋’거나 ‘저것이 안 좋’다고 가르는 까닭은, 손수 삶을 짓지 않기 때문입니다. 손수 흙을 짓지 않는 삶이니 ‘좋아하는 밥’이 따로 있습니다. 손수 집을 짓지 않는 삶이기에 ‘보금자리’가 아닌 ‘부동산(재산)’을 바라봅니다.


  도시가 나쁘다는 뜻이 아닙니다. 도시에 깃들면서 삶을 짓는 하루하고 너무 크게 동떨어진다는 뜻입니다. 채식을 하고 싶으면 밭을 가꾸면 됩니다. 육식을 하고 싶으면 짐승우리를 치면 됩니다. 그뿐입니다. 손수 나아가려는 길을 손수 갈고닦으면 됩니다.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를 보면, 시골이든 도시이든, 모든 아이를 도시로 보내서 도시에서 회사원이나 공무원이나 전문가나 학자로 키우려고만 합니다. 시골학교에서 시골아이를 시골지기로 키우지 않습니다. 도시학교에서 도시아이를 시골지기로 가르치지 않을 뿐 아니라, 도시학교에서조차 시골지기를 이웃으로 보여주지 못합니다.


  우리 집 아이들이 뛰놀며 밟고 딛는 땅을 아이들과 함께 바라봅니다. 이 땅이 우리 보금자리입니다. 이 터가 우리 삶터입니다. 이곳이 우리 집입니다. 나는 삶을 지으려고 곁님과 아이들하고 시골에서 삽니다. 4348.2.26.나무.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고흥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