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670) 임자말 자리 1


취미가 직업이 되고 취향이 삶이 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김종휘-너, 행복하니?》(샨티,2004) 72쪽


 이러한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 우리는 이러한 때에 산다

→ 이러한 때에 산다

 …



  이 보기글을 보면 임자말 ‘우리는’이 글 사이에 끼어들었습니다. 서양말이나 서양 말법이라면 임자말을 홀가분하게 이곳저곳에 넣을 만할는지 모르나, 한국말에서는 임자말을 아무 자리에나 끼워넣지 않습니다. 한국말에서는 임자말을 글월 첫머리에 넣거나 아예 뺍니다. 이 보기글에서는 임자말 ‘우리는’을 맨 앞으로 옮기거나 아예 빼야 올바릅니다. 4339.12.27.물/4348.2.26.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우리는 취미가 직업이 되고 취향이 삶이 되는 때에 산다

우리는 즐거움을 일로 삼고 기쁨을 삶으로 짓는 때에 산다

우리는 재미있게 일하고 좋아하는 대로 산다


‘시대(時代)’는 ‘때’로 손보고, “살고 있다”는 “산다”로 손봅니다. “취미(趣味)가 직업(職業)”이 되고는 그대로 둘 만하지만, “즐거움을 일로 삼고”나 “재미있게 일하고”로 손볼 수 있습니다. “취향(趣向)이 삶이 되는”도 그대로 둘 만하지만, “기쁨을 삶으로 짓고”나 “좋아하는 대로 살고”로 손볼 수 있어요.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92) 임자말 자리 2


비밀 정원으로 가는 길을 나는 알고 있다. 골목과 골목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를 지나 나는 그곳으로 간다. 그러다 활처럼 휘어지는 언덕길을 올라가면 초록 대문이 나오고, 나는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비밀 정원에 들어선다 … 교문을 들어서며 별이에게 내가 물었다

《김옥-청소녀 백과사전》(낮은산,2006) 158, 162쪽


 정원으로 가는 길을 나는 알고 있다

→ 나는 꽃밭으로 가는 길을 안다

→ 뜰로 가는 길을 안다

교문을 들어서며 별이에게 내가 물었다

→ 나는 교문을 들어서며 별이한테 물었다

→ 교문을 들어서며 별이한테 물었다

 …



  이 보기글을 가만히 보면 “나는 두근거리는 마음으로”처럼 글머리를 열기도 합니다. 그러나 다른 자리에서는 임자말 ‘나는’을 글월 사이에 함부로 넣습니다. 글흐름을 본다면, 이 보기글에서는 ‘나는’을 모두 덜 만합니다. 이 보기글은 ‘내’가 임자가 되어 이야기를 이끄니까, 굳이 ‘나는’이라는 임자말을 안 넣어도 됩니다. 굳이 ‘나는’을 넣고 싶으면 글월 첫머리로 옮겨 줍니다. 4340.1.30.불/4348.2.26.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나는 숨은 뜰로 가는 길을 안다. 골목과 골목 사이, 사람과 사람 사이를 지나 그곳으로 간다. 그러다 활처럼 휘어지는 언덕길을 올라가면 푸른 대문이 나오고, 두근거리는 마음으로 숨은 뜰에 들어선다 … 나는 교문을 들어서며 별이한테 물었다


“비밀(秘密) 정원(庭園)”은 “숨은 뜰”이나 “숨은 꽃밭”으로 다듬고, “알고 있다”는 “안다”로 다듬습니다. “초록(草綠) 대문”은 “푸른 대문”으로 손봅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93) 임자말 자리 3


저는 라디오 방송을 처음 하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야외의 낭독회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어느 정도의 해방감을 저는 느낍니다

《김수영-퓨리턴의 초상》(민음사,1976) 212쪽


 어느 정도의 해방감을 저는 느낍니다

→ 저는 어느 정도 해방되었다고 느낍니다

→ 저는 이럭저럭 해방되었다고 느낍니다

→ 저는 제법 홀가분하다고 느낍니다

→ 꽤 홀가분합니다

 …



  글월 첫머리에서 ‘저는’이라고 밝힌 만큼, 이 다음부터는 ‘저는’이라는 임자말을 굳이 안 넣어도 됩니다. 따로 힘주어 말하려는 뜻이라면 ‘저는’을 넣을 만합니다. 다만, 글월 사이에 임자말을 넣을 수 없는데, 이 보기글은 글이 아닌 말을 옮겨서 적었기에, 말을 하다가 ‘저는’이라고 하는 말마디를 깜빡 잊었구나 싶어서 뒤늦게 넣을 수 있어요. 그러면, 이 보기글은 “그래도 어느 정도의 해방감을, 저는 느낍니다”처럼 사이에 쉼표를 넣어서 앞뒤를 끊어야 올바릅니다. 그리고, 이렇게 말을 했어도 글로 다시 옮길 적에는 임자말 ‘저는’을 앞으로 빼 주면 한결 매끄럽지요. 왜냐하면 말을 할 적에는 살짝 더듬거나 깜빡 차례를 잊거나 잘못 쓸 수 있으니, 글로 옮기면서 이런 대목을 손볼 수 있어요. 그래서, “그래도 저는, 어느 정도의 해방감을 느낍니다”처럼 보기글을 다시 쓸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임자말 자리를 제대로 추스른 뒤, “해방감을 느낍니다” 같은 겹말을 손질하고, “어느 정도의”에 붙은 ‘-의’를 손질합니다. 4340.1.30.불/4348.2.26.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저는 라디오 방송을 처음 하는 사람입니다. 이것이 밖에서 하는 낭독회는 아닙니다만, 그래도 이럭저럭 홀가분하다고 느낍니다


“야외(野外)의 낭독회(朗讀會)”는 “밖에서 하는 낭독회”나 “밖에서 하는 글잔치”로 손볼 수 있습니다. “어느 정도(程度)의 해방감(解放感)을 느낍니다”는 “어느 만큼 해방되었다고 느낍니다”나 “이럭저럭 홀가분하다고 느낍니다”나 “제법 홀가분합니다”로 손질합니다. ‘해방감’에서 ‘感’은 ‘느낌’을 뜻하니, “해방감을 느낍니다”처럼 적으면 겹말입니다.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