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랑 놀자 112] 똥손
“말이 씨가 된다”는 옛말이 있습니다. 무척 오래된 말입니다. 우리가 입으로 읊는 말대로 이루어진다는 뜻이고, 입으로 읊지 않고 생각에 담기만 해도 어떤 일이 나타난다는 뜻입니다. 그러니, 아무 말이나 입밖에 내지 않도록 다스릴 삶이면서, 어떤 말이건 스스로 사랑스레 꿈을 짓는 말을 나눌 삶입니다. 내가 어떤 일이 서툴다고 할 적에 내가 스스로 ‘똥손’이라 생각하거나 말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나는 언제나 어떤 일에 서툴면서 아무것도 못할 테지요. 내가 이제껏 어떤 일에 서툴었어도 ‘아, 이제부터 괜찮아. 다 할 수 있어.’ 하고 생각하거나 말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참말 이제부터 다 괜찮으면서 씩씩하게 할 테지요. 손놀림이 서툴면 서툴 뿐입니다. 몸놀림이 익숙하지 않으면 아직 안 익숙할 뿐입니다. 즐겁게 하면서 기쁘게 누리면 됩니다. 내가 나한테 할 말은 ‘똥손’이 아닙니다. 더러 ‘똥손’이라는 말이 튀어나왔다면, 똥처럼 흙을 살리고 풀과 나무를 가꾸는 손이네, 하고 스스로 새롭게 다시 말할 수 있어야지 싶어요. 내 손은 ‘별손’이고 ‘해손’입니다. 내 손은 ‘바람손’이고 ‘사랑손’입니다. 내 손은 ‘고운손’이면서 ‘밝은손’입니다. 4348.2.7.흙.ㅎㄲㅅㄱ
(최종규/함께살기 . 2015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