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집배움자리 2. 학교에서 온 전화


  큰아이를 제도권학교에 보낼 마음이 없다. 아이를 낳기 앞서부터 생각했다. 나와 곁님은 한마음이다. 우리는 우리 스스로 보금자리를 배움자리로 지어서 함께 배우고 가르치기로 했다. 우리 집이 곧 학교이고, 우리가 가꾸는 도서관이 바로 학교이며, 우리가 깃든 마을이 언제나 학교이다. 그리고, 우리 땅을 앞으로 마련해서 우리 땅을 숲으로 일구어 이곳에 한결같이 학교가 되도록 누릴 생각이다. 이런 뜻에서 ‘초등학교 입학거부’를 하는 셈인데, 관청에서 행정서류를 꾸리는 자리에서나 이런 이름일 뿐, 우리 집 네 사람은 늘 ‘삶을 읽고 지으면서 쓰는 하루’를 누린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 나라에서는 모든 사람이 주민등록을 하고 행정서류에 몸이 매이는 터라, 큰아이를 놓고 관청하고 얘기를 해야 한다. 면사무소와 초등학교 두 군데를 놓고 얘기를 하는데, 면사무소 일꾼은 얼마나 답답한지 말이 안 나온다. 그렇다고 이런 공무원하고 싸울 마음이란 없다. 뭣하러 싸우는가. 즐겁게 아이와 삶을 배우려는 뜻인데. 그래서 초등학교에 새롭게 전화를 걸어서 차분하게 말을 여쭈었고, 우리 아이는 ‘정원 외 관리’가 되도록 처음부터 신청서류를 쓰고 싶다고 말했다. 이러고서 이틀이 지나니 면소재지 초등학교에서 전화가 온다. ‘입학유예’만 말했으면 이쪽에서 아마 ‘왜 학교를 안 보내느냐?’ 하고 따졌을는지 모르나, 서울에 있는 민들레 출판사 분한테 먼저 여쭌 뒤 행정사항을 모두 꿰고 나서 초등학교로 차분하게 물으니, 초등학교에서도 차분하게 이야기를 해 준다. 우리 집에서는 일찍부터 이렇게 하려고 모든 것을 챙겼고, 이곳 고흥 시골에서 도서관을 열어서 꾸리면서 차근차근 배움길을 닦았다고 말했다. 아무튼 1월 6일에 예비소집일이 있다고 하니 그날 일찍 오시라 하기에, 그날 일찍 가서 서류를 쓰고 돌아와야지. 초등학교에 아이를 맡길 다른 어버이 눈에 뜨이지 않도록 조용히. ㅎㄲㅅㄱ

(최종규 . 20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