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의 자존감 - 부모에게 상처받은 이들을 위한 치유서
댄 뉴하스 지음, 안진희 옮김 / 양철북 / 2013년 9월
평점 :
품절
사랑하는 배움책 28
아이와 나무를 심는 어버이
― 부모의 자존감, 부모에게 상처받은 이들을 위한 치유서
댄 뉴하스 글
안진희 옮김
양철북 펴냄, 2013.9.9.
요즈음 아침저녁으로 우리 집 나무한테 인사합니다. 앞마당과 뒤꼍에 있는 나무한테 찾아가서, 나무 앞에 섭니다. 나무는 늘 그 자리에 서서 지내니, 내가 나무한테 찾아갑니다. 나무 앞에서 춤을 추기도 하고, 나무 둘레에서 노래를 부르기도 합니다. 나뭇가지를 살살 쓰다듬는다든지, 겨울을 앞두고 찬찬히 돋는 겨울눈을 어루만집니다.
우리 집 나무가 있어 인사할 수 있으니 무척 기쁩니다. 우리가 돌보는 나무가 있을 뿐 아니라, 그늘을 누리는 나무요, 열매를 얻는 나무이니, 더없이 반갑습니다. 우리 집 나무는 누구보다 우리한테 맑고 푸른 숨결을 베풉니다.
저녁에 아이들을 재우기 앞서 마당과 뒤꼍에서 나무한테 인사하다가 생각합니다. 나는 어릴 적에 ‘우리 집 나무’를 누리지 못했습니다. 처음 태어난 뒤에도, 열 살이 지난 뒤에도, 스무 살을 넘고, 서른 살이 흐르도록 ‘우리 집 나무’를 누리지 못했어요.
.. 건강하지 않은 통제는 평생토록 손실을 남긴다. 이러한 양육 방식은 아이를 우울, 불안, 자기 비하, 중독, 자기 파괴적 행동, 그리고 스트레스와 관련된 건강 문제 등에 시달릴 위험에 빠뜨린다 … 몇 대에 걸쳐 내려온 통제의 패턴에 대해 탐색하는 일은 절대 남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일이 아니다. 오히려 책임 전가를 멈출 수 있는 첫걸음이다. 당신은 가정 안의 건강하지 않은 통제의 패턴들을 살펴봄으로 이 패턴들을 대물림하지 않을 수 있다. 부모는 할 수 없었던 혹은 하고 싶지 않았던 중대한 선택을 바로 당신이 내리는 것이다 … 부모와 달리 당신에게는 선택권이 있다. 당신은 상처를 무시하거나 숨는 대신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 .. (8, 19, 20쪽)
나무가 없는 삶은 싱그럽지 않습니다. 나무가 없는 삶은 즐겁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넋이 깃든 몸뚱이는 늘 숨을 쉬는데, 우리 몸뚱이가 숨을 쉬려면 나무가 있어야 합니다. 나무가 없으면 어느 누구도 숨을 못 쉽니다. 숨을 못 쉬면 몸뚱이는 목숨을 잃고, 우리 넋은 갈 곳이 없습니다.
시골에서 살든 도시에서 살든 나무를 누려야 합니다. 나무를 누리지 못한다면 삶을 못 누립니다. 나무를 누릴 때에 비로소 삶이고, 나무와 함께 있을 적에 바야흐로 사랑이 깨어납니다.
그러면, 내 어버이는 왜 나한테 ‘우리 집 나무’를 베풀지 못했을까요. 내 어버이는 왜 나한테 ‘우리 집 나무’를 누리도록 이끌지 못했을까요.
.. 완벽주의 가정의 가장 유해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부모들이 아이들의 외모 관리와 수행 능력을 지적하는 데 그치지 않고 아이들의 감정 또한 완벽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슬픔, 의심, 비탄, 분노, 두려움과 같은 완벽하지 않은 감정은 허용되지 않는다 … 사회·정치 집단 혹은 회사에서 유명한 가정 또한 광신도적 성향을 띤다. 유명한 부모의 얼굴에 먹칠을 하거나 사회·정치적으로 지위가 높아질 수 있는 부모의 기회에 누를 끼치는 일은 큰 죄로 여긴다 .. (63, 74쪽)
제아무리 돈을 많이 벌어도 나무가 없으면 목숨이 없습니다. 제아무리 값진 옷을 입거나 넓은 집에 깃들어도 나무가 없으면 목숨이 없습니다. 제아무리 온갖 학교를 나왔거나 갖은 책을 읽었어도 나무가 없으면 목숨이 없습니다.
사람 몸뚱이는 바람과 볕과 빗물, 이 세 가지를 반드시 받아들여야 합니다. 지구별은 바람과 해와 물, 이 세 가지가 밑바탕이 되어 모든 물질이 태어납니다. 우리가 먹는 밥은 무엇일까요? 바로 바람과 해와 물이 어우러진 먹을거리입니다. 쌀 한 톨이든 고기 한 점이든 모두 바람과 해와 물로 이루어집니다.
아이를 낳아 돌보려는 어버이라면, 우리 몸을 이루는 바탕과 우리가 먹는 밥을 이루는 바탕을 잘 헤아려야지 싶어요. 몸을 살찌우면서 마음을 가꾸는 길을 알아야 하고, 몸을 다스리면서 넋을 북돋우는 길을 깨달아야지 싶어요.
그래서 나는 어릴 적부터 나무를 그렸지 싶어요. 나무를 그리워 하고, 나무를 바라며, 나무와 함께 살 집을 마음으로 품었어요.
.. 우리는 언어적 학대와 정서적 폭압의 힘을 가볍게 여기기도 한다. 아마 눈으로 볼 수 있는 멍 같은 것이 남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는 매질이 뼈를 부러뜨릴 수 있다는 사실은 알지만 말이 우리를 상처 입힐 수 있다는 사실은 잊어버린다 … 통제적 부모들은 그 자신 또한 어린 시절 트라우마를 겪은 경우가 많다 … 트라우마로부터 최적으로 회복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과 그때 느꼈던 감정을 편하게 이야기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안전한 환경이 필요하다 … 통제적 부모가 된 아이들은 어린 시절에 트라우마로부터 회복하는 여정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 (106, 175, 177, 178쪽)
댄 뉴하스 님이 쓴 《부모의 자존감, 부모에게 상처받은 이들을 위한 치유서》(양철북,2013)라는 책을 읽습니다. 어버이가 물려준 생채기를 고스란히 짊어지는 아이한테 들려주는 이야기책입니다. 어버이한테서 물려받은 생채기를 짊어진 아이들이 자라서 어른이 된 뒤, 이녁 아이를 새롭게 낳을 적에 다시금 생채기를 물려줄 생각인지, 아니면 이 생채기를 이제 끊고 사랑을 물려줄 생각인지 묻는 이야기책입니다.
자, 무엇을 하겠습니까? 아이한테 생채기를 입히겠습니까, 아니면 아이를 사랑하겠습니까.
이 말은, 남이 나를 괴롭히거나 들볶거나 아프게 할 적에도 똑같이 살필 수 있어요. 남이 나를 괴롭혔으면 나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나를 괴롭힌 그이를 죽여야 할까요? 남이 나를 들볶았으면 나는 어찌 해야 할까요? 나를 들볶은 그 녀석을 족쳐야 할까요? 남이 나를 아프게 했으면 나는 어떡해야 할까요? 나를 아프게 한 그놈을 두들겨패야 할까요?
.. 잘못된 감정이란 없다. 감정은 저절로 생기기 때문이다. 우리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할지 통제할 수는 있어도 어떤 감정을 느낄지 통제할 수는 없다. 당신이 통제를 받으며 자랐다면, 감정에 대한 의무 사항을 들으며 자랐을 것이다. 이제 그 의무 사항에서 벗어나야 할 때이다 … 용서하기 위해서는 용기가 필요하다. 더 이상 현실을 부정하지 않고 치유를 시작하게 도와준 역할을 한 ‘상처 입은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놓아 버리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 용서는 자신이 어떻게 상처를 입었고 어떠한 피해를 받았는지에 대한 고통스러운 인식을 버리는 느낌을 줄 수 있다 … 자기 자신을 존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사실을 절대 잊지 말기 바란다 .. (230, 259, 264쪽)
나는 어버이한테서 나무를 물려받지 못했습니다. 퍽 오랫동안 이 대목을 아예 잊은 채 살기도 했습니다. 그렇지만 언제나 내 가슴에 이 이야기가 흘렀어요. 이리하여 나는 마흔 살을 앞두고 ‘우리 집 나무’를 비로소 누릴 수 있었고, 시골마을 우리 보금자리에서 우리 나무를 보듬으면서 하루를 즐길 수 있습니다. 서른 해 남짓 자란 제법 우람한 ‘우리 집 나무’도 있고, 아이들과 함께 심은 ‘우리 집 나무’도 있습니다. 모두 사랑스럽고, 하나같이 애틋합니다. 앞으로 이 나무는 우리 아이들이 자라 어른이 되면 이녁 아이들한테 새롭게 물려줄 만하리라 생각합니다. 물려주고 또 물려주면서, 물려받고 또 물려받으면서, 나무가 크고 사람이 클 테지요. 나무와 함께 보금자리는 한결 푸르게 우거질 테고, 나무는 차츰 가지를 키워 온 마을에 아름다운 이야기를 베풀리라 생각합니다.
.. 당신은 몇 세대에 걸친 문제 때문에 고통 받았을지 모르지만 이제 당신이 게임의 말을 멈추어야 할 때다. 통제의 고통 속에서 연마된 감정들을 이용하라. 당신은 정보도 동맹군도 없는 가혹한 통제 아래에서 세뇌를 당하며 자랐다. 그리고 살아남았다. 이 사실은 당신이 어떠한 역경에도 맞설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 (324쪽)
내 어버이가 나한테 무엇을 물려주든 그리 대수롭지 않습니다. 나는 내 어버이한테서 받은 사랑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 사랑을 곱게 돌보면서 예쁘게 키워, 우리 아이들한테 새롭게 물려주면 됩니다.
내가 이 땅에 서서 하루하루 맞이할 수 있는 몸뚱이야말로 사랑입니다. 오늘 하루 웃고 노래할 수 있는 몸뚱이가 바로 사랑입니다. 이밖에 다른 어떤 사랑이 더 있어야 할까요? 아름답게 태어난 내 몸을 아끼고, 아름다이 맞이하는 새 하루를 품으며, 아름답게 얼싸안을 새로운 우리 아이들을 바라보며 웃습니다.
나는 아이와 함께 나무를 심는 어버이로 살아갈 생각입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한테 ‘나무 심는 어버이’로 곁에 있을 생각입니다. 나를 살리고 살찌우는 길에는 언제나 나무가 있습니다. 4347.11.8.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