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 학교 ㅣ 10대를 위한 책도둑 시리즈 16
홍세화 외 지음, 인권연대 기획 / 철수와영희 / 2014년 10월
평점 :
사랑하는 배움책 27
학교에 갇힌 푸름이한테 인권이란
―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 학교
홍세화·오인연·안수찬·조광제·한재훈·오창익
인권연대 기획
철수와영희 펴냄, 2014.10.9.
오늘날 아이들은 학교에 갇힙니다. 학교에서 벗어날라 치면 학원에 갇힙니다. 학원에서 벗어날라 치면 컴퓨터에 갇힙니다. 컴퓨터에서 벗어날라 치면 아파트 그득그득한 도시에 갇힙니다.
오늘날 아이들은 갈 만한 곳이 없습니다. 학교와 학원과 피시방이 아니면 도무지 깃들 만한 곳이 없습니다. 아이들은 쉴 데가 없어요. 아이들이 갈 만한 공원은 어디에 있나요? 공원이라 할 만한 데가 도시에서 몇 군데나 있나요?
어른들이 가는 술집은 도시이든 시골이든 아주 많습니다. 어른들이 가는 찻집이나 옷집이나 밥집도 도시나 시골에 아주 많습니다. 그렇지만 아이들이 갈 곳은 없습니다. 아이들은 어른들처럼 돈을 마음껏 쓸 수 없으니 가게에 쉬 들어가기도 어렵습니다. 기껏 아이들이 가는 곳은 편의점입니다. 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아이들은 편의점이나 롯데리아 같은 데 빼고는 다리를 쉴 수 없습니다. 도시라는 데에는 다리를 쉴 걸상도 없고, 길바닥은 어른들이 술에 절어 왝왝 뱉은 것들이 곳곳에 널렸을 뿐 아니라 자동차가 쉴새없이 다니니 아무 데나 앉기도 어렵습니다.
.. 조금 전만 해도 같은 택시 기사 출신이라며 반기던 그분은 왜 읽어 보지도 않은 신문을 그렇게 매도했던 걸까요? 제가 올바른 정보를 알린다면 그분의 편견을 바로잡을 수 있었을까요 … 한국 사회에서 학문은 입시와 취업의 도구가 되었어요. 그러다 보니 깊이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배우는 목적이 개인의 인격과 지성을 높이는 데 있지 않아요 … 우리 사회에서 ‘공부를 잘한다’는 의미는 기존의 질서와 체제를 빠르게 인정하고 숙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환경 탓만 할 수는 없잖아요. 학교 분위기가 그렇다 하더라도 여러분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면 희망은 있습니다 .. (16, 22, 23, 31쪽/홍세화)
오늘날 아이들은 학교에서 시험공부만 합니다. 아이들은 제대로 무엇을 배우는 적이 없습니다. 어른들은 아이들한테 무엇 하나 제대로 가르치는 적이 없습니다. 그저 대학입시로 내몰 뿐입니다. 대학입시가 끝난 뒤에는? 네, 어른들은 대학입시 끝난 뒤에 아이들을 풀어놓습니다. 아니, 어른들은 아이들이 학교에 다니는 동안에도 그저 풀어놓았을 뿐이고, 대학교에 들어갈 적에도 풀어놓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삶을 배우는 적이 없고, 아이들한테 사랑을 가르치는 적이 없습니다.
처음 태어나서 초·중·고등학교를 다닌 아이들은 스무 해 내내 사랑을 배운 적이 없이 대학생이 되거나 스무 살을 넘깁니다. 그러고는 저마다 짝꿍을 찾아 헤매는데, 아이들은 ‘사랑’이 아닌 ‘짝꿍’을 찾을 뿐입니다. 마음을 아름답게 살찌울 사랑이 아니라, 살을 섞거나 부빌 짝꿍을 찾을 뿐입니다. 왜냐하면, 사랑이 무엇인지 배운 적 없이 학교에 갇혀서 지냈거든요. 이제 비로소 학교에서 풀려났으니, 아이들은 갑갑한 몸을 풀어내려고 서로서로 살을 섞거나 부빌 짝꿍을 찾을밖에 없습니다.
할 줄 아는 것이 없거든요. 스무 살이 되도록 밥짓기 한 번 제대로 한 적이 없거든요. 옷짓기는 할 수 있을까요? 바느질을 할 줄 아는 스무 살 젊은이는 몇이나 될까요? 토익이나 토플 점수는 잘 받더라도 바느질 하나 못 하는 젊은이는 수두룩하리라 느낍니다. 집짓기는 할 수 있을까요? 스스로 숲에 들어가 나무를 베어 손질한 뒤 기둥을 세울 줄 아는 젊은이는 아예 없다시피 해요. 어떻게든 돈을 벌어서 월세에 전세에 ‘내 아파트’로 나아갈 생각만 겨우 합니다.
.. 자기표현이야말로 민주 시민의 소양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거예요. 자유와 권리는 표현하고 실천하고 다듬어 볼수록 더 커지거든요 … 한국의 자살률은 OECD 1위예요. 인구 10만 명당 31명, 한 해에 1만 5000여 명이 자살합니다. 브라질 사람이 총기 사고로 죽을 확률보다 한국 사람이 자살로 죽을 확률이 높습니다 .. (74, 80쪽/안수찬)
학교는 왜 아이들을 꽁꽁 가둘까요? 우리 어버이는 왜 하나같이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어 꽁꽁 갇히게 할까요? 왜 학교는 아이들을 꽁꽁 가두어 아이들 스스로 밥과 옷과 집을 지어서 삶을 가꾸도록 이끌거나 가르치지 않을까요? 왜 우리 어버이는 아이들한테 밥과 옷과 집을 스스로 가꾸는 삶을 물려주지 못하면서 사랑도 꿈도 아이와 나누지 못할까요?
홍세화·오인연·안수찬·조광제·한재훈·오창익, 이렇게 여섯 사람이 저마다 이야기를 살풋살풋 들려주는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 학교》(철수와영희,2014)를 읽습니다. 인권을 빼앗기거나 짓밟히거나 잃거나 잊은 푸름이한테 인권이란 무엇인가 알려주면서, 푸름이가 스스로 인권을 찾도록 하려면 어떤 길을 걸어야 하는가를 들려주는 이야기책입니다.
.. 생산력이 엄청나게 발전한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리가 여전히 일에 매여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요. 자본은 계속 증식해 나가려고 노동력을 착취합니다. 일을 더 시켜야 생산성을 올릴 수 있잖아요. 개인들은 자발적으로 노동 시간을 연장합니다. 야근, 휴일 근로, 안 하면 돈을 적게 받으니까요 .. (132쪽/조광제)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 학교》를 읽으면, 인권이 걸어온 발자취라든지, 인권이 ‘발명’된 까닭이라든지, 한국 사회에서 인권이 얼마나 짓눌리는가 같은 이야기를 찬찬히 살필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푸름이 누구나 학교를 다니면서 인권이 억눌리는 얼거리를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청소년 인권’에서 우리가 가장 눈여겨볼 대목은 바로 ‘학교’이지 싶습니다. 학교를 다니기만 하면 인권을 빼앗기거나 짓밟히는 얼거리를 바로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아무리 뜻있거나 똑똑한 어른이라 하더라도 학교에서 교사로 일하는 동안 아이들한테 인권을 찾아 주거나 지켜 주기 어려운 얼거리를 또렷하게 바라볼 수 있어야지 싶습니다.
참말 학교를 바르게 살펴야 합니다. 오늘날 도시 문명 사회에서 학교는 ‘배우는 곳’ 구실을 하나도 안 합니다. 오늘날 도시 문명 사회에서 학교는 ‘입시지옥’ 노릇만 합니다. 대학입시와 얽힌 과목만 달달 볶듯이 지식을 머릿속에 집어넣으려 합니다. 언제나 시험공부를 할 뿐입니다. 시험점수와 등수를 따지고, 등급과 성적표를 매깁니다. 아이들한테 사랑을 들려주는 교과목이 없습니다. 아이들한테 사랑을 가르치거나 이야기하는 교사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즐겁게 삶을 노래하는 시나 소설을 이야기하는 국어 교과목이 있는가요? 없습니다. 셈과 넋과 삶이 어떻게 이어지는가를 밝히는 수학 교과목이 있는가요? 없습니다. 영어를 비롯한 외국말을 익히면서 이웃나라 문화와 삶을 살피고 서로 어깨동무하는 아름다운 지구별을 가꾸는 이야기를 북돋우는 외국어 교과목이 있는가요? 없습니다. 가장 굵직하다는 국·영·수조차 올바른 길이 아닙니다.
역사 교과목은 어떠한가요? 왕조 발자국이나 살필 뿐, 지난날 이 나라에서 99퍼센트 남짓 차지하던 여느 시골마을 수수한 시골사람 이야기는 한 줄로도 안 다룹니다.
.. 김상용 시인이 노래한 것처럼 평범한 일상에서도 행복을 느끼며 작은 것에도 만족하며 살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 행복은 사람이 살아가야 할 까닭입니다. 김상용 시인의 시처럼 소박한 것에서 찾아도 좋고, 인류에게 좋은 영향을 미치겠다는 커다란 포부여도 좋아요 … 인권은 사람을 존중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러니 인권은 당연히 자기 존중의 토양에서만 싹틀 수 있습니다 .. (171, 172, 202쪽/오창익)
‘청소년 인권’은 학교 안팎에서 찾아야 합니다. 한창 삶을 배우고 사랑을 맞아들일 푸름이인 터라, ‘학교 울타리’가 아닌 ‘배우는 터전’을 찾아야 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보금자리에서 아름다운 꿈을 키우고, 아이들한테 동무와 이웃이 되는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마을에서 아름다운 사랑을 속삭이도록, 다 같이 힘을 기울여야지 싶습니다.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이 ‘인권’입니다. 사람답게 살아가는 길이란, 서로서로 사랑하고 아끼는 나날입니다. 서로서로 사랑하고 아끼는 나날은 함께 꿈을 꾸고 함께 일과 놀이를 나누며 함께 노래잔치 춤잔치 밥잔치를 빚는 하루입니다. 4347.10.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