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72] 함께 살고 싶은 곳

― 하늘빛



  보름쯤 뒤에 면소재지 고등학교에 찾아가서 그곳 ‘책 동아리’ 아이들과 이야기를 나누기로 했습니다. 책을 읽는 즐거움 한 가지하고 글을 쓰는 재미 두 가지를 놓고 이야기를 나눌 텐데, 두 시간 동안 어떤 생각을 주고받을 때에 서로 아름다운 마음이 될까 하고 곰곰이 짚습니다. 두 시간은 길지도 짧지도 않지만, 이 자리에서 면소재지 고등학교 아이들한테 몇 가지 책을 알려주려고 합니다. 삶을 밝히는 길에 동무가 되는 책, 생각을 가꾸는 삶에 힘이 되는 책, 사랑을 보살피는 하루에 즐거운 노래가 되는 책, 아름답게 꿈꾸는 마음을 살찌우는 책, 눈길을 틔워 올바로 바라보는 매무새를 북돋우는 책, 따사로운 숨결이 흘러 반가운 책, 이렇게 여섯 가지 책을 가만히 고릅니다.


  도시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한테도 이러한 책을 알려주면서 함께 읽고 싶습니다. 시골에서 나고 자라든, 도시에서 나고 자라든, 아이들이 마음밭에 사랑이라는 씨앗을 심어 아름답게 꿈을 꾸도록 도울 수 있는 책을 알려주면서 즐겁게 읽고 싶습니다.


  책은 어디에 있을까요. 교과서도 책이라면 책입니다. 문제집과 참고서도 책 갈래에 넣는다면 억지스럽지만 책꼴을 갖추었습니다. 시집이나 소설책도 책이라 할 테고, 인문책도 책이라 하겠지요. 그러면, 만화책이나 그림책은 어떤 책일까요? 사진책은 아이들한테 아직 어려운 책일까요?


  한편, 시골마을 아이들이기 때문에 이 아이들은 바다를 보고 들을 보며 숲을 봅니다. 바닷일이나 들일이나 숲일을 잘 모른다 하더라도, 늘 가까이에서 마주합니다. 아이들 어버이나 할머니나 할아버지는 옛날부터 시골에서 시골일을 하며 살았습니다. 그러니까, 바다에서 고기잡이와 김말리기를 거든다면, 바다일을 거들며 삶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들에서 나락을 베거나 풀을 뜯으면서 풀포기랑 나물과 남새하고 얽힌 흙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숲에 깃들어 나무를 베거나 그냥 숲길을 걷는다면, 나무가 있어 우리 삶이 얼마나 넉넉하고 짙푸른가 하고 느끼도록 나무책을 읽을 수 있습니다.


  시골마을 ‘책 동아리’ 아이들과 책을 이야기하는 자리에서 무엇보다 “우리 같이 하늘부터 볼까?” 하고 말문을 열 생각입니다. 해를 같이 보자고, 풀벌레 노랫소리를 같이 듣자고, 가을바람이 살결에 어떻게 스미는가 같이 느끼자고 조곤조곤 말길을 틀 생각입니다.


  시골 아이는 고등학교를 마치면, 대학교에 가거나 공장에 가거나 회사에 가거나 하자면, 시골을 떠나야 합니다. 시골에는 대학교도 공장도 회사도 없기 때문입니다. 참말 시골에서는 고등학교를 마칠 무렵이면 아이들이 죄다 시골을 떠나 도시로 가요. 아마 거의 모든 아이들은 다시 시골로 안 돌아오고 도시를 삶자리로 삼을 수 있습니다. 몇몇 아이들은 다시 시골로 돌아와서 이곳을 ‘앞으로도 오래도록 살고 싶은 터전’으로 가꾸고 싶다는 꿈을 키울 수 있습니다.


  아이들한테 이야기해지요. 돈으로 쌀을 사다 먹을 수 있지만, 흙에서 나락을 일구어 손수 키운 쌀을 먹을 수 있다고 이야기해야지요. 도시에서는 전기가 끊어지면 수돗물을 못 마시고 밥도 못 끓여 먹지만, 시골에서는 전기가 끊어져도 냇물을 마시고 싱그러운 바람을 먹으면서, 나무를 때어 얼마든지 밥을 끓여 먹는다고요. 삶을 들려주고 보여주면서 책과 글이란 무엇인가 하고 이야기할 생각입니다. 4347.9.17.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면소재지 고등학교 아이들한테 이야기할 책 6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