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금선 님이 2007년에 선보인 《집시 바람새 바람꽃》을 보았을 적에는 적잖이 아쉬웠다. 유럽에서 흑백필름으로 사진을 찍는 쿠델카 님이 선보이는 빛이나 무늬하고 비슷하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한금선 님이 2014년에 새롭게 선보이는 《바람에 눕다 경계에 서다 고려인》을 본다. 한금선 님은 ‘바람’을 좋아하는구나 싶다. 바람을 따라 사진을 찍고, 바람을 느끼면서 사진을 찾는구나 싶다. 어떤 바람이 불기에 사진에 바람을 담으려 할까. 어떤 바람을 맞으면서 사진에 바람을 녹이려 할까. 사진잡지 〈포토닷〉 2014년 9월치에 난 이야기를 읽으니, 고려인을 취재하면서 방송기사 옆으로 밀리며 사진을 찍기 어려웠다고 밝힌다. 방송기사가 촬영기를 돌릴 적에는 사진기 단추 누르는 소리가 들리면 안 되었고, 촬영기를 다 돌린 뒤에는 취재를 받던 고려인마다 한숨을 돌리면서 풀어지니, 정작 ‘그림다운 그림’을 얻기 어려웠으리라. 그런데, 나는 바로 이 때문에 한금선 님이 비로소 ‘한금선다운 빛과 무늬’가 무엇인지를 애써서 찾거나 느끼려고 한 발자국 나설 수 있었구나 하고 생각한다. 고려인 취재를 한결 수월하게 하면서 사진을 찍을 수 있었으면 어떤 사진을 찍었을까? 아마 《집시 바람새 바람꽃》 느낌과 거의 같거나 더 나아가지 못한 사진에 그치지 않았을까? 사진찍기는 ‘그림 만들기’가 아니다. 사진찍기는 ‘이야기 나누기’이다. 사진기를 손에 쥐고 이야기를 나누기에 ‘사진찍기’를 할 수 있고, 이러한 이야기를 차곡차곡 그러모으면 다큐멘터리가 된다. 이 다음에는 취재가 아닌 ‘이웃’으로서 고려인을 만나면, 한결 새로운 빛과 무늬가 싱그러이 살아서 숨쉬는 사진을 얻을 수 있으리라 본다. 4347.9.1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한 줄 책읽기)
 | 어디 핀들 꽃이 아니랴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 현실문화 / 2006년 1월
23,000원 → 20,700원(10%할인) / 마일리지 1,150원(5% 적립)
|
|
 | 눈 밖에 나다
국가인권위원회 기획, 곽상필.김문호.박영숙.성남훈.안세홍.염중호.이재갑.최민식.한금선 사진 / 휴머니스트 / 2003년 12월
20,000원 → 18,000원(10%할인) / 마일리지 1,000원(5% 적립)
|
|
 | 집시 바람새 바람꽃
한금선 사진 / 눈빛 / 2007년 8월
25,000원 → 23,750원(5%할인) / 마일리지 720원(3% 적립)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