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631) 지니다 3 : 가능성을 지니고 있던 것


쇠로 만든 그릇이 아니라면, 깨질 수 있는 가능성은 처음부터 지니고 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여성농업인중앙연합회-여성 농업인의 삶과 전통문화》(심미안,2005) 23쪽


 처음부터 지니고 있던 것이라고

→ 처음부터 있던 것이라고

→ 처음부터 있었다고

 …



  보기글을 생각합니다. “지니고 있던”은 “있던”으로 다듬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다듬어도 어딘가 얄궂습니다. 말이 안 되는 말입니다. 아니, 말이 안 되지는 않으나 무슨 말을 하려는지 어설픕니다. 글 얼거리가 어수룩합니다.


  ‘가능성’이라는 한자말은 “할 수 있는”이나 “될 수 있는”이나 “그럴 수 있는”을 뜻합니다. “깨질 수 있는 가능성”이라는 글월은 겹말입니다.


  차근차근 살펴서 “처음부터 깨질 수 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로 손질합니다. 다시 “처음부터 깨질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로 손질합니다. 쇠로 만든 그릇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깨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언제라도 깨질 수 있을 테지요. 어느 때라도 깨질 수 있는 셈입니다. 4339.10.19.나무/4347.9.9.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쇠로 만든 그릇이 아니라면, 처음부터 깨질 수 있던 셈이라고 할 수 있다


‘가능성(可能性)이 있던’은 ‘일어날 수 있던’이나 ‘있을 수 있던’으로 다듬습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73) 지니다 4


기사는 언론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고승우-언론 유감》(삼인,1998) 174쪽


 언론에서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 언론에서 한쪽 목소리로 내보낼 뿐이다

→ 언론에서 한쪽 목소리로 내보내기만 한다

→ 언론에서 써서 사람들한테 읽히기만 한다

→ 언론에서 쓰면 사람들은 읽기만 한다

 …



  특성이나 특징이나 성격을 말하려 하면 ‘있다’와 ‘없다’로 나타냅니다. “특성이 있다”나 “특성이 없다”처럼 씁니다. “특성을 지니고 있다”나 “특성을 가지고 있다”처럼 쓰지 않습니다. 잘못 쓰는 번역 말투인데, 어떤 분은 이런 번역 말투를 다시 한자말을 입혀 “특성을 소유(所有)하고 있다”라든지 “특성을 보유(保有)하고 있다”처럼 쓰기까지 합니다. 이런 말투는 아주 엉터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이 보기글은 어떤 이야기를 들려주려 하는지 아리송합니다.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특성’이란 무엇일까요?


  언론에서는 쓰기만 할 뿐이요 듣거나 읽지는 않는다는 소리일까요? 쓰기만 하고 듣거나 읽지는 않으니, 한쪽 목소리만 그저 내보낼 뿐이라는 소리일까요? 말하려는 뜻이 또렷해야 글이 또렷합니다. 말하려는 뜻을 또렷히 밝히려고 해야 글을 또렷하게 쓸 수 있습니다. 4339.12.29.쇠/4347.9.9.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기사는 언론에서 한쪽 목소리로 내보낼 뿐이다


‘일방적(一方的)으로’는 ‘한쪽으로’나 ‘한쪽 목소리로’로 손질하고, ‘제공(提供)하는’은 ‘내보내는’이나 ‘보여주는’이나 ‘주는’으로 손질합니다. ‘특성(特性)’은 이 글월에서 덜어낼 수 있습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921) 지니다 5 : 명석함을 지니다


그는 체스 선수에 필적할 만한 명석함을 지니고 있었다. 수학 선생의 면모를 지닌 그는 자신의 폭넓은 호기심과 교양을 많은 영역에 적용했다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권오룡 옮김-영혼의 시선》(열화당,2006) 94쪽


 명석함을 지니고 있었다

→ 똑똑했다

→ 머리가 좋았다

 수학 선생의 면모를 지닌

→ 수학 선생과 같았던

→ 수학 선생을 닮은

→ 수학 선생처럼 꼼꼼한



  영어를 한국말로 잘못 옮기면 “-을 지니고 있다” 같은 말투가 불거집니다. 영어를 잘하더라도 한국말을 제대로 못하면 번역이 어설픕니다. 영어만 잘하고 한국말은 제대로 못하는 매무새로 외국책을 한국말로 옮기면, 그만 어설픈 말투가 퍼집니다.


  한국문학을 하든 외국문학을 하든 한국말을 슬기롭게 살필 수 있어야 합니다. 물리학을 하든 철학을 하든 한국말을 똑똑히 다룰 줄 알아야 합니다. 정치를 하든 경제를 하든 한국말을 제대로 쓸 수 있어야 합니다. 한국사람으로서 한국말을 알뜰살뜰 건사하지 못하면, 무슨 말을 하려는지 도무지 못 알아듣는 일도 생깁니다. 4347.9.9.불.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그는 체스 선수 못지않게 똑똑했다. 수학 선생 같았던 그는 너른 호기심과 교양을 여러 곳에 써 보았다


“체스 선수에 필적(匹敵)할 만한”은 “체스 선수 못지않게”나 “체스 선수처럼”으로 손보고, ‘명석(明晳)함’은 ‘똑똑함’으로 손봅니다. “수학 선생의 면모(面貌)”는 “수학 선생다운”이나 “수학 선생 같은”으로 손질하고, ‘자신(自身)의’는 덜어냅니다. “많은 영역(領域)에 적용(適用)했다”는 “여러 곳에 썼다”나 “여러 곳에 써 보았다”로 다듬습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