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71] 종이비행기 잔치
― 삶자리
마당에서 마음껏 노는 아이들을 바라보다가, 흙으로 된 운동장을 넓게 누리던 예전 아이들을 떠올립니다. 오늘날에는 ‘더러’ 흙운동장이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아주 빠르게 흙운동장이 사라집니다. 흙운동장에서 놀 수 있는 아이들도 사라지고, 공을 차거나 치는 놀이가 아닌 스스로 온몸을 쓰면서 놀 줄 아는 아이들도 사라집니다.
종이비행기를 날릴 수 있을 뿐 아니라, 연을 날릴 수 있을 만큼 넉넉한 들판이 있어야겠습니다. 아이들이 손수 연을 만들 수 있자면 대나무를 베어서 깎아야 할 테니, 들판 한쪽에는 대나무가 자라야겠고, 아이들이 나무를 타며 놀면 한결 즐거울 테니 들한 다른 한쪽에는 온갖 나무가 우람하게 자라야겠습니다.
모든 땅에 남새를 심어 길러야 하지 않습니다. 모든 들이 논으로 되어야 하지 않습니다. 도시에는 빈터가 있어야 하고, 시골에는 숲과 들이 있어야 합니다. 아이들은 하루 내내 땀을 흘리면서 뛰놀 자리가 있어야 하고, 어른들은 느긋하게 드러누워 쉴 수 있는 자리가 있어야 합니다. 놀 수 있을 때에 일할 수 있어요. 일할 수 있을 때에 놀 수 있어요.
시골에서 아이들이 자꾸 줄어들지만, 시골에 아이들이 다시 찾아오기 어려운 까닭을 시골사람 스스로 깨달아야지 싶습니다. 도시에 아이들이 아주 많지만, 도시에서 아이들이 뛰놀지 못할 뿐 아니라 싱그럽거나 착한 마음으로 자라기 어려운 까닭을 도시사람 스스로 알아차려야지 싶습니다. 삶자리가 놀이터이자 일터가 되지 못한다면, 삶자리가 쉼터이나 만남터이자 이야기터 구실을 하지 못한다면, 아이도 어른도 모두 힘듭니다.
너른 들이 있어야 씨름도 하고 술래잡기도 합니다. 너른 숲이 있어야 숨바꼭질도 하고 새랑 다람쥐하고 동무가 될 수 있습니다. 4347.9.5.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