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도 익혀야지
(525) 안 1 : 기차 안에서
덜컹거리는 기차 안에서 꼬박 새운 다음 맞이하는 아침은 그 시작의 빛을 아주 선명하게 드러낸다
《서갑숙-추파》(디어북,2003) 13쪽
기차 안에서 꼬박 새운 다음
→ 기차에서 꼬박 새운 다음
‘기찻간’이라 말하는 분도 있어요. 이렇게 써도 됩니다. ‘기차 안’은 아니에요. ‘비행기 안에서’나 ‘배 안에서’나 ‘버스 안에서’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비행기에서’와 ‘배에서’와 ‘버스에서’로 바로잡아야 알맞아요. 우리는 “기차를 탄다”고 하지 “기차 안에 탄다”고 하지 않아요. “버스에서 내린다”고 말하지 “버스 안에서 내린다”고 하지 않습니다. 4339.3.23.나무/4347.5.1.나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덜컹거리는 기차에서 꼬박 새운 다음 맞이하는 아침은 그 첫 빛을 아주 또렷하게 드러낸다
“시작(始作)의 빛”은 무엇을 가리킬까요. 밤을 새우고 맞이하는 아침에 보는 빛이니 “첫 빛”이라고 하면 될까요. “하루를 여는 빛”이라고 하면 될까요.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09) 안 2 : 이른 시일 안에
이라크 사태가 이른 시일 안에 수습되기를 바랄 뿐이다
《중앙일보 어문연구소-한국어가 있다 1》(커뮤니케이션북스,2005) 21쪽
이른 시일 안에
→ 하루 빨리
→ 머잖아
→ 어서
→ 곧
…
이 보기글을 쓴 분은, “빠른 시일”이 아니라 “이른 시일”로 써야 알맞다고 이야기합니다. 맞습니다. ‘빠르다’와 ‘이르다’는 올바르게 갈라 써야 합니다. 그렇지만 두 낱말은 써야 할 자리에 올바르게 쓰고 알맞게 써야지, 굳이 안 써도 될 곳에까지 써야 하지는 않아요.
그러니까, 날이나 때를 놓고 “이른 때”나 “이른 날”로 적어야 올바르지만, “이른 시일 안”이나 “이른 때 안”이나 “이른 날 안”처럼 적으면 올바르지 않습니다.
“오늘 안에 끝내라”나 “올해 안에 마칩니다” 같은 말투도 올바르지 않아요. “오늘까지 끝내라”나 “올해에 마칩니다”처럼 적어야 올바릅니다. “어제 안에 끝냈어야 할 일”이 아니라 “어제까지 끝냈어야 할 일”입니다. “일 주일 안에 할 수 있다”가 아니라 “일 주일 동안 할 수 있다”나 “일 주일이면 할 수 있다”예요. 4339.8.25.쇠.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이라크 사태가 하루 빨리 제자리를 찾기를 바랄 뿐이다
‘시일(時日)’은 ‘날’이나 ‘때’를 뜻합니다. ‘수습(收拾)’은 “거두어 정돈함”이나 “어수선한 사태를 거두어 바로잡음”을 뜻합니다. “수습되기를 바랄”은 “제자리를 찾기를 바랄”이나 “바로잡히기를 바랄”로 손볼 수 있습니다. “옛모습을 되찾기를 바랄”로 손보아도 됩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636) 안 3 : 조선 안에서
일본군도 출병하여 7월 말 청·일 양군은 조선 안에서 교전상태에 들어갔고
《정일성-후쿠자와 유키치》(지식산업사,2001) 55쪽
조선 안에서 교전상태에 들어갔고
→ 조선에서 싸움을 벌였고
→ 조선에서 싸웠고
→ 조선 땅에서 싸웠고
…
한국과 중국이 축구 경기를 합니다. 그런데 두 나라는 한국과 중국이 아닌 일본에서 경기를 치릅니다. 잘 생각해 보셔요. 이때 어느 곳에서 경기를 치른다고 말할까요? “일본에서 경기를 치른다”고 하지요? “일본 안에서 경기를 치른다”고 말하지 않아요. 지난날 청나라와 일본 두 나라가 싸움을 벌였을 때에도 이와 같습니다. “조선 안에서”가 아니라 “조선에서”나 “조선 땅에서”라 해야 알맞아요. 서양말에서는 ‘in’을 꼭 붙이겠지만, 한국말에서는 ‘안’을 붙이지 않습니다. 4339.10.28.흙.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일본도 군대를 보내 7월 끝무렵 청·일 두 나라는 조선에서 서로 싸웠고
‘출병(出兵)하여’는 ‘군대를 보내’로 다듬고, ‘양군(兩軍)’은 ‘두 나라’로 다듬습니다. “교전(交戰) 상태에 들어갔고”에서 ‘교전’은 “서로 싸우는 일”을 뜻해요. 그러니까 “청·일 두 나라는 서로 싸웠고”로 손질합니다.
..
우리 말도 익혀야지
(971) 안 4 : 방 안
우리 집 고양이는 / 따듯한 방 안에서 / 알약처럼 동그란 / 사료를 먹지
《김환영-깜장꽃》(창비,2010) 68쪽
따듯한 방 안에서
→ 따듯한 방에서
아이들이 뛰놉니다. 마당에서 뛰놀지 않고 방에서 뛰놉니다. 아이들한테 말합니다. “우리 예쁜 아이들아, 방에서 뛰놀지 말고 마당에서 뛰놀렴.” 따스한 봄날 마당에 밥상을 내놓고 밥을 먹곤 합니다. 부엌에서 밥을 먹기도 하고 마루에서 밥을 먹기도 합니다. 부엌과 마루는 집 안쪽에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부엌 안에서 밥을 먹는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마루 안에서 밥을 먹는다”고도 하지 않습니다.
뒷간에 가서 오줌이나 똥을 눕니다. “뒷간에서 똥을 누”지 “뒷간 안에서 똥을 누”지 않습니다. 고양이는 “따듯한 방에서 사료를 먹”습니다. 4347.5.1.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