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말 ‘존재’가 어지럽히는 말과 삶

 (178) 존재 178 : 올챙이 같은 존재


청소년은 꼭 올챙이 같은 존재다. 사람이면서도 아직 어른이 되지 않았기에 여러 가지로 제약 사항이 많은 존재

《박상률-청소년문학의 자리》(나라말,2011) 17쪽


 올챙이 같은 존재다

→ 올챙이 같다

→ 올챙이 같은 숨결이다

→ 올챙이 같은 모습이다

 …



  옛날에는 ‘청소년’이 없었습니다. 옛날에는 아이 티를 벗으면 어른이라고 했습니다. 열세 살이건 열다섯 살이건, 아이 티를 벗으면 제몫을 단단히 할 줄 아는 어른으로 여겼습니다. 나이는 많지만 제몫을 단단히 하지 못한다면 ‘철부지’라고 했습니다. 아이는 아니지만 철을 모르니 철부지요, 철모르쟁이입니다.


  보기글을 살피면 앞뒤로 ‘존재’가 나타납니다. 앞쪽에서는 ‘존재’를 덜면 됩니다. 뒤쪽에서는 ‘숨결’이나 ‘모습’ 같은 낱말로 손보면 됩니다. 앞쪽과 뒤쪽에 나란히 ‘숨결’이나 ‘모습’을 넣어도 잘 어울립니다. 4347.4.28.달.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청소년은 꼭 올챙이 같다. 사람이면서도 아직 어른이 되지 않았기에 여러 가지로 걸림돌이 많은 숨결


‘제약(制約)’은 “조건을 붙여 내용을 제한함”을 뜻합니다. ‘제한(制限)’은 “일정한 한도를 정하거나 그 한도를 넘지 못하게 막음”을 뜻합니다. “제약 사항(事項)이 많은”이라 할 때에는 “막히는 사항이 많은”을 가리킵니다. 막히는 것이란 사회에서 어른이 청소년한테 막는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걸림돌이 많은”으로 손볼 만합니다.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