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닷 Photo닷 2014.4 - Vol.5
포토닷(월간지) 편집부 엮음 / 포토닷(월간지)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찾아 읽는 사진책 164

 


사진쟁이가 들려주는 노래
― 사진잡지 《포토닷》 5호
 포토닷 펴냄, 2014.4.1.

 


  아침밥을 즐겁게 먹은 아이들이 마당에서 놉니다. 봄비가 그친 아침은 아주 맑습니다. 하늘은 파랗게 빛나고, 들을 덮듯이 새로 돋는 풀은 푸르게 빛납니다. 얼마나 곱게 어우러지는 하늘과 들인가 하고 새삼스레 바라봅니다.


  새로 돋는 풀 둘레에는 지난겨울 시든 풀잎이 누렇게 있습니다. 봄에는 시든 풀빛과 새로 돋은 풀빛이 함께 있습니다. 들은 누런 빛과 푸른 빛이 어우러져요. 이런 들 너머로 멧자락마다 알록달록 새로운 빛입니다. 일찌감치 꽃을 피우는 멧벚나무가 있고 콩배나무가 있어요. 사이사이 진달래와 철쭉이 있습니다. 멧자락 너머로는 파란하늘과 흰구름이 있지요. 전문 그림쟁이가 아니더라도 물감이랑 종이를 챙겨 그림을 그리고 싶은 봄날입니다. 전문 사진쟁이가 아니더라도 사진기나 손전화를 쥐어 사진을 찍고 싶은 봄빛입니다.


  사진잡지 《포토닷》 5호(2014.4.)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포토닷》 5호에 사진쟁이 임재천 님 이야기가 나옵니다. 임재천 님은 곧 제주도를 사진으로 담는다고 합니다. 제주도를 왜 사진으로 찍느냐는 물음에 “관광지 제주가 아닌 제주사람들의 삶과 현재 모습을 풍경과 더불어 보여주는 작업이 될 것(19쪽).”이라고 말합니다. 임재천 님이 느끼기에 제주만큼 빠르게 바뀌는 곳이 없다고 해요.

 

 

 

 


  한국에서 제주가 가장 빠르게 바뀔까요? 어느 모로 보면 그렇습니다. 곰곰이 살피면, 한국에서는 어디를 보나 빠르게 바뀝니다. 서울은 서울대로 빠르게 바뀌고, 부산은 부산대로 빠르게 바뀌어요. 도시는 도시대로 빠르게 바뀝니다. 시골은 시골대로 빠르게 바뀌지요. 관광도시나 관광시골은 관광지인 만큼 빠르게 바뀌고, 관광지가 아닌 도시나 시골은 공장이나 고속도로나 골프장이나 댐이나 발전소가 들어서면서 빠르게 바뀝니다. 정부가 밀어붙이는 4대강사업이 거의 마무리되는 요즈음, 이 나라는 어디를 보나 아주 빠르게 바뀌었어요.


  “전몽각 선생의 《윤미네 집》 사진을 훌륭하게 생각한다. 아마와 프로의 경계가 무너져 있는 사진이다. 아마추어 사진가들도 내가 무엇에 대해 관심을 갖는지를 알아보고 나와 가까이 있는 대상을 촬영했으면 좋겠다(155쪽/서영걸).”와 같은 이야기를 새삼스레 생각합니다. 한강과 낙동강과 금강과 영산강에서만 끔찍한 시멘트공사가 이루어지지 않았어요. 크고작은 시골 읍과 면에서도 시멘트공사가 이루어졌어요. 면소재지에서 벗어난 작은 마을에서까지 시멘트공사가 이루어졌어요.


  시민운동이나 기자는 몇몇 커다란 공사터만 다니면서 사진을 찍고 기록을 하고 반대운동을 했는데, 크고작은 시골에서는 어느 누구도 사진을 찍지 않고 기록을 하지 못하며 반대운동을 하지 못합니다. 시골에서 무언가 할 만한 사람은 거의 다 도시로 갔거든요.


  사진은 우리한테 어떤 이야기를 들려줄 수 있을까요. 사진쟁이는 사진길을 걸어가면서 어떤 넋일까요. “나에게 사진은 ‘놀이’이다. 어머니에게 선물받은 로모 카메라로 사진을 처음 시작했는데 동생을 모델로 많이 찍었다. 생애 첫 카메라를 가지게 된 그날부터 사진은 생활의 일부가 되었고, 지금의 작업은 내가 성장하고 공부하는 과정이 고스란히 녹아 있는 결과물들이다(35쪽/장인아).” 같은 이야기를 가만히 되새깁니다. 사진쟁이 장인아 님한테 사진이란 ‘놀이’이고 ‘삶’이자 ‘일’입니다. 놀이가 되고 삶이 되며 일이 되는 사진은, 장인아 님한테 이야기이고 노래이며 꿈입니다. 이야기이고 노래이며 꿈이 되는 사진은, 장인아 님한테뿐 아니라 다른 사진쟁이한테도 이웃이자 동무이고 사랑이 될 테지요.

 

 

 

 


  우리는 저마다 어디에서 어떻게 살아가면서 사진을 찍거나 읽을까요. “나는 치열하게 살아야 한다는 생각을 매일 하고 있다(57쪽/구본창).” 하는 이야기를 새롭게 돌아봅니다. 누구라도 날마다 불꽃이 튀는 삶을 보내리라 생각합니다. 저마다 다른 불꽃을 저마다 다른 모양새로 피우리라 생각합니다. 더 대단한 불꽃이 없고, 더 놀라운 불꽃이 없습니다. 서로 아름답게 얼크러지면서 피어나는 불꽃이라고 느껴요.


  봄날 들판을 덮는 봄풀과 봄꽃은 작은 잎사귀와 꽃망울이 나란히 어깨동무를 합니다. 이 꽃이 저 꽃을 넘보지 않아요. 이 잎이 저 잎을 가리지 않습니다. 작디작은 풀꽃이 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함께 푸릅니다. 함께 푸르고 함께 빛나며 함께 아름답습니다.


  “이전 나무 작업은 아름다운 배경과 어우러진 나무 사진으로 전시에서 작품이 모두 팔릴 정도로 반응이 좋았지만 점차 소재주의적이지 않은지 돌아보게 되었다. 보기에는 좋지만 사진적인 의미는 부족했던 것 같다(88쪽/윤길중).”와 같은 이야기를 읽습니다. 사진을 찍는 분들은 누구라도 이렇게 느낄 수 있으리라 생각해요. 남들이 보기에 좋은 사진이라고 해서 나쁠 까닭은 없어요. 보기에 좋은 사진은 보기에 좋을 뿐입니다. 언제나 그뿐이에요. 아름다운 사진은 언제나 아름답습니다. 사랑스러운 사진은 언제나 사랑스럽습니다. 따스한 사진은 언제나 따스합니다. 차가운 사진은 언제나 차갑고, 눈물겨운 사진은 언제나 눈물겨워요.

 

 

 


  옳은 사진이나 그른 사진은 없습니다. 이래야 맞는 사진이란 없습니다. 저렇기에 틀린 사진이란 없습니다. 구도가 흔들리거나 초점이 안 맞은 사진은 구도가 흔들리거나 초점이 안 맞은 사진일 뿐입니다. 구도가 흔들렸어도 내 마음을 애틋하게 담은 사진은 언제나 애틋합니다. 초점이 잘 맞았어도 내 이야기를 들려주지 못하는 사진은 언제나 아무 이야기를 들려주지 못합니다.


  사진은 빈틈없이 찍어야 하지 않습니다. 글은 빈틈없이 써야 하지 않습니다. 책은 빈틈없이 펴내야 하지 않습니다. 어떤 넋과 얼로 찍는 사진인가 제대로 깨달아야 합니다. 어떤 마음과 생각으로 쓰는 글인가 슬기롭게 알아차려야 합니다. 어떤 꿈과 사랑으로 펴내는 책인가 참답게 헤아려야 합니다.


  김수남 님 사진책 《변하지 않는 것은 보석이 된다》를 다룬 사진비평이 하나 있습니다. “시골내기가 사라지는 한국에서는 ‘고유한 한겨레 문화’가 사라집니다. 고유한 한겨레 문화가 사라지는 한국이니까, 한국에서는 이제 더 ‘한겨레 빛과 숨결’을 느끼도록 할 만한 사진을 찍기 어렵고 글을 쓰기 힘듭니다. 도시에서 넘치는 온갖 도시문명과 현대문명을 빗대거나 꼬집거나 뒤트는 행위예술은 있어도, 문화와 삶은 자취를 감춥니다 … 근대문명은 다 다른 겨레한테 자꾸 학교를 세워서 무언가 가르치려 들고, 자꾸 예배당을 세워서 무언가 믿으라고 윽박질러요. 다 다른 겨레 보금자리에 자꾸 병원을 짓고 자꾸 뭔가를 세우려 합니다. 다 다른 겨레는 스스로 삶을 짓고 이제껏 아름답게 사랑했는데, 다 다른 겨레를 찾아오는 근대문명은 다 다른 겨레가 어떤 꿈과 사랑인가를 읽지 않고 교육을 시키려 하고 문화사업을 들이댑니다(96∼97쪽/최종규).”와 같은 이야기를 차근차근 새겨 읽습니다. 그야말로 한국에서 한국문화를 보여주고자 사진을 찍는 일이 드뭅니다. ‘아름다운 강산’을 사진으로 찍거나 담는 분은 한결같이 있으나, ‘한겨레 삶과 문화’를 2014년 오늘날에도 오늘날에 걸맞게 찍거나 담는 분은 좀처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사진은 어디에 있는가요. 사진은 어디로 가는가요. 사진은 어디에 있을 적에 곱게 빛날까요. 사진은 어디로 갈 때 사랑스레 빛날까요.


  “어느 공간이 독특하다고 느껴져 사진을 찍는 게 아니다. 내게 중요한 건 그 공간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이다. 빈 공간을 찍지만 결국 사람에 관한 이야기라고 본다(109쪽/신은경).”와 같은 이야기는 사진쟁이가 사진쟁이 스스로를 돌아보는 모습이겠지요.


  사진에 담는 모습은 ‘내가 살아가는 하루’입니다. 사진으로 찍는 모습은 ‘내가 사랑하는 이야기’입니다. 사진으로 나누려는 모습은 ‘내가 이웃과 어깨를 겯으면서 함께 부르고 싶은 노래’입니다.


  요즈음 한국에서 사진은 어떤 자리를 차지할까 궁금합니다. 요즈음 한국에서 사진길 걷는 사진쟁이는 어떤 자리에서 어떤 대접을 받을는지 궁금합니다. “세계적인 전시들이 안방에서 드라마를 보듯 일상이 된 지금, 국내외 아트페어나 옥션에서 꽤 비싼 가격에 작품들이 팔리는 지금, 돈 많은 기업과 재단의 사진미술관들이 풍요롭게 작가를 지원해 주는 지금, 이 우울함이 가시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125쪽/진동선).”와 같은 이야기마따나, 어느 한쪽은 배부르고 어느 한쪽은 배고플까요. 어느 한쪽은 너무 앞서가고 어느 한쪽은 한 걸음 내디디기조차 벅찰까요.


  사진잡지 《포토닷》 5호를 덮습니다. 삶을 바라보는 새로운 눈길을 사진을 바탕으로 다달이 새삼스레 읽습니다. 삼월을 지나 사월입니다. 삼월바람은 저물고 사월바람이 붑니다. 사월바람은 한결 포근하면서 보드라우리라 생각합니다. 사월에는 개구리가 신나게 노래할 테고, 풀벌레도 조물조물 고개를 내밉니다. 사월에는 제비가 돌아오며, 사월에는 매화꽃 진 자리마다 매화열매 굵습니다. 능금알도 복숭아알도 천천히 굵겠지요. 다 다른 꽃은 다 다르게 아름답듯이, 다 다른 사진쟁이는 다 다른 빛을 사진 하나로 즐겁게 나누리라 믿습니다. 4347.3.30.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사진책 읽는 즐거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