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문화재단 이야기책에 싣는 글입니다. 3-4월호가 나왔기에 이 글을 띄웁니다.
..
말넋 24. 밤하늘 별빛에 아로새긴 무늬
― 넋·얼 가꾸는 글쓰기
어버이를 거들어 논일을 하는 아이는 ‘이삭’을 압니다. 이삭을 아는 아이는 “이삭이 팬다”나 “이삭이 맺힌다” 같은 말을 압니다. 이삭이 패거나 이삭이 맺히는 모습을 아는 아이는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와 같은 옛말을 압니다.
무척 오래된 옛말 가운데 하나인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입니다만, 요즈음은 이런 말을 쓰는 분이 드뭅니다. 이런 말을 쓰는 분이 드물기도 하지만, 이런 말이 왜 생겼고, 이런 말이 무엇을 나타내는 줄 제대로 느끼거나 헤아릴 줄 아는 분도 퍽 드물어요.
벼에도 꽃이 핍니다. 벼꽃입니다. 너무 마땅한 일이기는 한데, 벼에 꽃이 피지 않으면 ‘벼알’인 ‘벼 열매’가 맺지 않습니다. 벼꽃이 피고 수술에서 암술로 꽃가루가 옮겨야 이삭이 팰 수 있습니다. 이삭이 패면 차츰 이삭이 여물지요. 이삭이 여물면 벼알은 단단하고 굵어집니다. 단단하고 굵어지는 벼알은 무게가 늘어나니, 벼꽃이 피려고 볏줄기인 꽃대가 이삭 무게에 차츰 기울어요. 할미꽃마냥 구부정하고 기웁니다. 이리하여,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처럼 이야기해요.
속이 단단하게 들어찬 벼이삭이 있기에 고개를 숙입니다. 속이 단단하게 들어차지 않으면 볏줄기인 꽃대는 뻣뻣이 섭니다. 부추꽃대를 보면 뻣뻣하게 서요. 부추꽃은 아주 작고, 부추씨 또한 아주 작으면서 가볍기 때문에, 부추씨가 단단히 맺어도 부추꽃대는 고개를 숙이지 않습니다. 마늘꽃대도 고개를 숙이지 않아요. 아니, 마늘꽃대는 고개를 숙일 겨를이 없다고 해야 옳습니다. 왜냐하면, 마늘꽃대가 오르면, 마늘뿌리가 굵게 맺히지 않는다면서 다들 마늘꽃대를 뽑거든요. 마늘꽃대는 사람들이 나물로 먹는데, 바로 ‘마늘쫑’입니다.
어릴 적부터 논에서 벼를 가까이하면 벼와 얽힌 낱말과 말마디와 이야기를 온몸과 온마음으로 받아들입니다. 어릴 적부터 밭에서 마늘을 가까이하면 마늘과 얽힌 낱말과 말마디와 이야기를 온몸이며 온마음으로 맞아들입니다.
현병오 님이 쓴 《우리 아이들은 안녕하십니까》(양철북,2013)라는 책을 읽다가 152쪽에서 “진로 문제가 화두가 되고 있다. 부모들이 더 애가 타는 눈치다. 길찾기를 지원한다는 명분으로……”와 같은 대목을 봅니다. 이 글월에 나오는 ‘명분(名分)’은 ‘구실’이나 ‘핑계’나 ‘이름’ 같은 한국말로 손질해야 알맞습니다. 아무튼, 이 글월에서 ‘진로(進路)’와 ‘길찾기’라는 두 가지 낱말을 살핍니다.
하나는 한자말이고 다른 하나는 한국말이라 할 수 있지만, 하나는 우리 어른들이 흔히 쓰는 낱말이고 다른 하나는 우리 어른들이 더러 쓰는 낱말입니다.
아이들은 학교를 마친 뒤 어떤 ‘진로’가 있느냐를 놓고 망설입니다. 어른들도 이녁 아이가 어떤 ‘진로’를 찾을까를 놓고 조마조마합니다. ‘진로’란 아이들이 앞으로 나아갈 길입니다. 이제부터 살아갈 길입니다. 그러니까 길을 찾습니다. 살아갈 길을 찾습니다. 곧, 아이들은 ‘길찾기’를 합니다. 아이들은 스스로 ‘삶찾기’를 합니다. 아이들은 저마다 ‘꿈찾기’를 하고, ‘사랑찾기’를 합니다.
앞으로 살아갈 길이란 ‘일자리를 얻어 돈을 버는 길’뿐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돈을 벌면서도 살아갈 수 있으나, 흙을 일구어 밥을 스스로 얻을 수 있습니다. 돈을 벌어 밥이 될 쌀을 사먹을 수 있지만, 돈을 안 벌고 흙을 지어 손수 쌀을 얻을 수 있어요. 또한, 흙을 일구면 내 밥을 손수 거둘 뿐 아니라, 남는 쌀을 팔아 돈을 더 얻기도 합니다. 아주 많은 돈은 아닐 테지만, 밥 근심이 없습니다.
길찾기란 ‘직업찾기’만이 아니라고 느낍니다. ‘일자리찾기’라 할 ‘직업찾기’에만 머문다면, 길찾기가 너무 애달픕니다. 아이도 어른도 꿈과 사랑을 함께 찾을 때에 한결 즐거우며 아름다우리라 느껴요. 길찾기, 삶찾기, 꿈찾기, 사랑찾기, 넋찾기, 빛찾기, 마음찾기, 이야기찾기, 말찾기, 꽃찾기, 노래찾기, 웃음찾기, 평화찾기, 민주찾기, 통일찾기, …… 이렇게 한 가지씩 생각을 넓힐 때에 참으로 어여쁘면서 기쁘리라 느낍니다.
밤하늘을 올려다보며 생각합니다. 시골에서 올려다보는 밤하늘은 아주 곱습니다. 새까만 하늘에 반짝반짝 빛나는 별물결은 그예 별잔치입니다. 누군가는 별잔치를 보석잔치라고 말하는데, 그분은 ‘보석’을 알기에 보석잔치라 말하겠지요. 아이들은 보석을 모르니 밤별을 보석잔치라 말하지 않아요. 아이들은 시골에서 으레 들꽃을 만나며 아끼기에, 밤별을 만날 적에 ‘꽃잔치’와 같다 말합니다. 커다란 함박꽃이나 장미꽃 같지 않지만, 커다란 동백꽃이나 튤립꽃 같지 않으나, 새봄 부르는 아주 조그마한 ‘별꽃’마냥 밤하늘 별잔치는 온통 꽃잔치입니다.
귀뚜라미가 귀뚜르르 귀뚜르르 노래하는 보금자리에서 지내는 사람은 늘 귀뚜라미 노랫소리가 익숙해서, 다른 곳으로 가더라도 귀뚜라미 소리를 이내 알아챕니다. 자동차가 쉴새없이 지나다니는 동네에서 지내는 사람은 언제나 자동차 소리가 익숙해서, 다른 곳으로 가더라도 자동차 소리를 곧 알아챕니다. 소쩍새 노랫소리를 늘 듣던 사람은 소쩍새 노래가 익숙할 테니, 낯선 마을로 나들이를 가더라도 소쩍새 노래를 들으면 바로 귀를 번쩍 떠요. 그러면, 오늘날 이 땅 아이들은 어떤 소리에 귀가 익숙할까요. 오늘날 이 땅 어른들은 어떤 소리와 빛깔과 냄새와 무늬에 익숙할까요. 우리들은 어떤 말이 익숙할까요. 우리들은 어떤 말을 즐겁게 쓰나요.
새해를 맞이해 일곱 살이 된 아이와 읽을 그림책을 한 권 장만했습니다. 아이하고 읽기 앞서 어버이로서 먼저 찬찬히 살핍니다. 이러다가 “허풍이 너무 심하네.”와 같은 말마디를 봅니다. 가늘게 한숨을 쉽니다. “허풍이 너무 심하네.” 같은 말마디는 일곱 살 어린이한테 알맞춤할까 궁금합니다. 그림책을 창작하거나 번역하는 분들은 일곱 살 어린이한테 이 말마디가 알맞다고 느꼈을까요. 내 일곱 살 적에 둘레 어른들은 ‘심하다’라 말하지 않고 ‘세다’라 말했습니다. “이렇게 허풍이 센 놈을 봤나.”처럼 말씀하셨어요. 넋과 얼을 가꾸는 글은 어떻게 쓰는가를 새롭게 되새깁니다. 어른 스스로 씩씩하게 넋을 찾으면 아이들도 씩씩하게 넋을 찾습니다. 어른 스스로 곱게 얼을 밝히면 아이들도 곱게 얼을 밝힙니다. 4347.1.6.달.ㅎㄲㅅㄱ
(최종규 . 2014 - 우리 말 살려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