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람은 '동무'라는 한국말을

얼마나 제대로 살피거나 알면서

아이와 함께 '말'을 나눌까 하고

곰곰이 돌아봅니다.

 

..

 

 

또래·동무·너나들이
→ 가까이에서 늘 보면서 어울리는 사람이 ‘동무’입니다. ‘친구(親舊)’라는 한자말은 한국사람이 거의 쓸 일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남녘과 북녘이 갈리면서 뜻밖에 ‘동무’라는 낱말이 따돌림을 받았어요. 몇몇 어른들이 ‘동무’라는 낱말은 북녘에서만 쓰는 낱말이라도 되는 듯이 몰아붙였습니다. 그래도 시골에서는 ‘동무’라는 낱말이 제법 쓰였지만, 새마을운동과 함께 싹 자취를 감추어야 했는데, 요즈음 다시 이 낱말이 살아납니다. 정치와 새마을운동이 크게 힘을 떨치던 때에도 아이들은 ‘소꿉동무’와 ‘어깨동무’ 같은 말을 잃지 않았고, ‘놀이동무’와 ‘책동무’와 ‘꿈동무’ 같은 낱말이 새롭게 나타나면서 차츰 제 빛을 되찾습니다. ‘또래’는 나이나 생각이나 마음 가운데 어느 하나가 비슷한 사람들을 아울러 가리킵니다. 여러 가지 가운데 하나만 비슷해도 되고 모두 비슷해도 돼요. 그래서, 나이가 한참 벌어져도 어느 한 가지를 좋아해서 마음이 맞으면 서로 또래가 됩니다. 또래가 되면서 늘 가까이에서 어울리면 ‘또래 동무’가 되지요. 또래 동무에서 한 발 나아가면 ‘너나들이’입니다. 서로 아무런 허물이 없이 가깝게 지내는 사이를 가리키는 ‘너나들이’이니, 또래와 동무를 더한 느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어요.

또래
: 나이나 생각이나 마음이 서로 비슷한 사람들
 - 이 자리에는 우리 또래가 없나 봐
 - 언니 또래는 모두 저쪽에 있어요
동무
1. 늘 가까이 어울리는 사람
 - 옆집에서 찾아온 동무하고 놀았어요
 - 우리 마을에는 좋은 동무가 많다
2. 어떤 일을 함께 하는 사람
 - 함께 놀아 놀이동무, 이야기 나누니 이야기동무
 - 도서관에서 함께 공부할 동무를 찾는다
너나들이
 : 서로 너니 나니 하고 부르며 허물없이 말을 건네는 사이
 - 너하고 나는 마음을 읽는 너나들이로 지내자

(최종규 . 2014 - 새로 쓰는 우리 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