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가 강경옥 님

 


  어느 해였는지 가물가물해졌는데, 1999년이었는지 2000년이었는지, 《작은책》이라는 참 자그마한 잡지에 실리던 만화 〈천하무적 홍대리〉를 표절한 연속극이 나온 적 있다. 연속극 작가와 피디는 ‘구독자 얼마 안 되는 잡지’ 줄거리를 누가 표절하느냐 하면서 배짱을 부렸지만, 변호사를 불러 저작권법으로 이야기를 하니 ‘부분 사과’를 했다. 뒤늦게야 이 작은 잡지에 실린 만화에 나오는 여러 이야기(에피소드)를 따서 연속극을 만들었다고 털어놓고는 손해배상을 했다. 그런데, ‘정식 사과’도 아닌 ‘부분 사과’를 받기까지 여러 달 걸렸고, 방송국 작가와 피디는 그동안 온갖 드센 말과 설레발을 퍼부었다.


  요즈음, 만화가 강경옥 님 작품 《설희》를 표절했다고 하는 연속극이 도마에 오른다. 만화책 《설희》를 즐겨읽고 만화가 강경옥 님을 좋아하는 이들이 연속극을 보고는 ‘아니 어떻게 버젓이 만화 원작이 있는데 이렇게 표절을 해서 방송에 선보일 수 있는가?’ 하고 따지면서, 만화가 강경옥 님도 이를 알았고, 강경옥 님은 이녁 누리사랑방에 이 일을 놓고 글을 남겼다(http://blog.naver.com/kko314/10182176974).


  만화 원작이 있는데 이 만화에 나온 이야기(에피스드)를 슬쩍 따서 몇 가지 상황을 고쳐서 ‘원작과 다르다’라 핑계를 댄다든지 ‘그런 작품 본 적이 없다’고 발뺌을 하는 한국 방송사 작가와 피디를 자꾸 만난다. 참말, 이들은 왜 이렇게 어리숙하고 어처구니없을까. 만화가한테 원작료를 내기가 그렇게 아까울까. 원작이 있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작품을 쓴다고 밝히는 일이 부끄러운가. 요즘 사람들이 ‘표절인지 아닌지’ 모르겠는가. 법정에 가기 앞서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할 노릇 아니겠는가.


  이웃나라 일본을 생각하고 싶지 않다. 일본에서는 만화 원작을 연속극이나 영화로 흔히 만든다. 아주 떳떳하게 밝힐 뿐 아니라, 크게 내세우기까지 한다. ‘인기 만화 ○○를 원작으로 연속극!’이라든지 ‘인기 만화 ○○를 원작으로 영화!’라고 큼지막하게 알린다. 이를테면, 〈노다메 칸타빌레〉는 만화책 《노다메 칸타빌레》를 그대로 옮긴 연속극(2006)이고, 영화(2011)도 따로 만들었다. 연속극과 영화도 살고 만화도 함께 산다. 이와 달리,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방송국 작가와 피디는 만화가를 뭘로 아는지 모르겠으나, 연속극 스스로 죽으려는 길로 치닫는다.


  방송작가 아무개 씨는 이녁이 쓰는 글이 제대로 대접받고 싶으리라 본다. 그런데, 이녁이 쓰는 방송대본이 제대로 대접받거나 사랑받고 싶다면, 이녁이 쓴 작품이 나오도록 밑바탕이 된 원작을 고맙게 여기고 알뜰히 섬길 줄 알아야 한다. 한국 문화에서 만화가 강경옥 님이 걸어온 길을 고맙게 여기면서 이분이 처음 작가로 뛴 날부터 오늘까지 꾸준히 새로운 만화를 빚으면서 이야기밭 넓히는 땀방울을 알뜰히 섬길 줄 알아야 한다.


  방송국 작가와 피디는 부디 강경옥 님 만화책을 하나하나 장만해서 읽어 보기를 바란다. 1980년대와 1990년대와 2000년대뿐 아니라 2010년대까지 씩씩하게 만화 한길을 걸어가면서 만화라는 틀에 새로운 빛과 꿈과 사랑을 담는 고운 손길을 하나하나 느끼기를 바란다.


  가만히 생각해 본다. 《태백산맥》이나 《혼불》이나 《토지》 같은 책을 ‘안 읽었다’고 하면서 이 작품에 나오는 이야기(에피소드)를 슬그머니 따서 소재와 상황과 주인공과 설정을 조금씩 바꾸어 방송대본으로 만들어도 틀림없이 ‘창작’이 되리라. 그런데, “나는 태백산맥도 혼불도 토지도 안 읽었습니다!” 하고 읊는 쓸쓸하고 메마른 말이란 얼마나 슬픈 거울이 될까. ‘강경옥을 읽은 적 없다’고 말하는 가난하며 차가운 말이란 얼마나 아픈 거울이 될까. ‘강경옥을 읽은 적 없다’고 말하는 모습이 얼마나 부끄러운 소리인 줄 모르는 사람은, 우리들한테 어떤 글빛을 드리우려는 생각일까. 4346.12.25.물.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사람과 함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