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으로 가자 - 숲유치원과 숲학교를 위한 자연물 놀이 108가지
안드레아 에르케르트 지음, 장희정 옮김 / 호미 / 2012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랑하는 배움책 20

 


철없는 어른들 살리는 맑은 빛
― 숲으로 가자
 안드레아 에르케르트 글
 장희정 옮김
 호미 펴냄, 2012.10.20.

 


  달빛이 드리웁니다. 달빛은 시골집 마당에도 드리우고, 큰도시 아파트 꼭대기에도 드리웁니다. 달빛은 비무장지대 아닌 무장지대 쇠가시그물과 군인들 총구멍에도 드리우고, 사냥터가 된 시골마을 숲에서 덜덜 떨며 밤잠조차 못 이루는 숲짐승 가녀린 눈망울에도 드리웁니다.


  햇볕이 내리쬡니다. 햇볕은 시골집 아름드리 나무에도 내리쬐고, 큰도시 길가에 줄기 뭉텅뭉텅 잘리는 가녀린 버즘나무 아픈 몸통에도 내리쬡니다. 햇볕은 축구장과 야구장에도 내리쬐고, 농약으로 범벅이 된 시골마을 논밭에도 내리쬡니다.


  겨울이 가면서 봄이 옵니다. 봄이 지나면서 여름입니다. 여름이 흐르면서 가을로 접어듭니다. 가을이 무르익어 겨울이 찾아듭니다.


  가만히 보면, 도시에는 봄도 가을도 없습니다. 도시에서는 여름도 겨울도 없습니다. 도시에는 아무 철이 없습니다. 도시사람은 철을 헤아리지 않습니다. 도시에서는 스물네 절기가 없습니다. 도시에는 낮과 밤이 없고 아침과 저녁이 없습니다. 도시에는 오직 숫자만 있습니다. 하나부터 열둘까지, 하나부터 서른까지, 하나부터 스물넷까지, 도시에는 오로지 숫자만 넘칩니다.


  도시사람은 숫자에 맞추어 숫자를 챙기는 일을 합니다. 도시사람은 숫자에 따라 숫자를 챙기는 교육을 합니다. 도시사람은 숫자를 살펴 숫자로 움직이는 집살림을 꾸립니다. 도시사람은 숫자를 헤아려 숫자로 사귀는 사랑을 속삭입니다.


.. 노래가 끝나면, 술래는 “나는 ○○에게 꽃 인사를 전하고 싶어”라고 말하며 함께 춤추고 싶은 친구 이름을 부른다. 호명된 친구가 원 안으로 들어가 꽃을 받으면 아이들은 다시 노래를 부르고 술래는 춤을 춘다 … 나무와 나무 사이에 아이들 눈높이에 맞게 줄을 치고, 줄에 솔방울 두 개를 매단다. 교사가 신호를 보내면 솔방울 앞에 선 두 아이는 뒷짐을 지고 코로 솔방울을 건드린다 ..  (28, 49쪽)


  섣달 그믐이 가까운 시골마을에서 유채를 뜯습니다. 이 나라 이 땅에서 언제부터 겨울유채가 돋았나 모르겠지만, 제주뿐 아니라 온 나라에서 ‘경관사업’을 한다며 시골마을마다 유채씨를 어마어마하게 뿌립니다. 유채는 자라고 자라 씨를 날립니다. 봄에 논갈이를 할 무렵 모두 목아지 잘리기도 하지만, 유채씨를 건사하려고 하는 시골 흙지기 더러 있어, 유채씨는 바람 따라 고샅에도 마당에도 꽃밭에도 숲속에도 살몃살몃 내려앉아 뿌리를 내립니다. 나라에서는 ‘꽃만 보려’고 뿌리는 씨앗인 유채이지만, 이 씨앗이 들판에서 찬바람 먹으며 농약에 시달리며 자라는 동안 어느덧 들유채로 거듭납니다. 한겨울에도 씩씩하게 돋습니다. 가을걷이 마친 논둑에서 뜬금없다 할 만큼 돋습니다. 시골버스 지나가는 길가에서 돋습니다.


  아이들과 자전거를 타고 들마실을 다니다가 이곳에서 조금 저곳에서 살짝 들유채를 뜯습니다. 웬만한 다른 시골에서는 한겨울에 날푸성귀 얻기 힘들 테지만, 겨울이 포근한 고흥에서는 조금만 걸어다니거나 자전거로 마실을 하더라도 싱그러이 푸른 들풀을 얻습니다. 숲이 있어 푸른 숨결을 베풀고, 들이 있어 푸른 밥을 나누어 줍니다. 숲이 있어 푸르게 우거진 나무가 아름답고, 들이 있어 앙증맞은 작은 들꽃이 알록달록 어여쁩니다.


  날마다 들유채 한 줌씩 뜯어 밥상에 올리기로 합니다. 섣달 막바지까지 씩씩하게 까만 열매 맺는 까마중 있으면 까마중 열매를 훑어 밥상에 함께 올립니다. 봄부터 가을까지 온갖 들풀을 뜯어서 먹을 수 있기에 고맙습니다. 한겨울에는 들유채를 뜯을 수 있기에 반갑습니다.


  누군가는 밭자락에서 배춧잎을 뜯겠지요. 누군가는 밭뙈기에서 무잎을 뜯겠지요. 배추는 배춧잎을 먹어도 맛나고, 배추뿌리를 캐서 먹어도 맛납니다. 무는 무뿌리를 먹어도 맛나지만, 무청을 먹어도 맛나요. 무청은 시래기가 되도록 말리지 않아도 돼요. 그때그때 한 뿌리씩 뽑아서 무잎을 날푸성귀로 맛나게 누릴 수 있어요. 당근과 함께 당근잎을 먹어요. 참말 숲과 들은 우리를 살찌우는 고마운 님입니다.


.. 자연 숲놀이를 즐기기 위해서는, 활발한 움직임 말고도 주변 환경의 변화나 곤충의 움직임이나 식물을 관찰하기 위해 정적인 동작과 함께 정신 집중이 요구된다 … 아이들은 숲에서 다양한 놀잇감을 스스로 발견하고, 그 놀이를 통해 육체와 정신의 한계를 넓혀 간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아이들은 나무뿌리를 뛰어넘고, 그루터기 위를 오르내리기도 하고 네 발로 기어 다닌다 ..  (42, 60쪽)


  바람이 붑니다. 겨울에 겨울바람이 붑니다. 겨울바람 부는 마당이나 들이나 바닷가에 가만히 서면, 온몸이 오들오들 떨립니다. 그렇지만, 이 차가운 겨울바람이 불기에 내 몸은 한결 씩씩하고 튼튼할 수 있습니다. 겨울바람 먹고 봄바람 먹으며 여름바람 먹다가 가을바람 먹고, 다시 겨울바람 먹으면서 즐거운 삶이 되어요. 겨울풀 먹고 봄풀과 여름풀과 가을풀 먹듯이, 바람도 물도 모두 철 따라 새로운 빛으로 맞아들입니다.


  새봄 찾아와 동백나무에 짙붉은 꽃잔치 흐드러질 무렵이면, 발갛고 고운 꽃송이를 줍습니다. 동백꽃은 꽃송이 덩이째 떨어져요. 곱게 떨어진 동백꽃송이를 주으면, 꽃잎을 살살 떼어 꽃부침개를 합니다. 달걀말이를 하면서 살포시 얹습니다. 튀김을 할 수 있습니다. 그대로 날잎을 살살 씹어서 먹어도 돼요. 감꽃을 먹고 참꽃을 먹듯 동백꽃을 먹어요. 찔레꽃을 먹고 민들레꽃을 먹듯 동백꽃을 먹습니다.


  냉이꽃도 먹지요. 봄까지꽃도 먹어요. 별꽃도 먹으며, 꽃다지꽃이랑 꽃마리꽃도 먹습니다. 꽃을 풀잎과 함께 먹으면서 생각합니다. 이 예쁜 꽃이 내 몸으로 들어오면서 내 넋과 삶 또한 꽃처럼 곱고 맑게 거듭나는구나 하고. 이 고운 꽃을 내 몸으로 받아들이면서 내 눈빛과 말 또한 꽃처럼 상냥하고 착하게 추스르는구나 하고.


.. 아이들은 보통 이야기를 많이 한다. 터무니없는 말을 늘어놓기도 하고, 또래끼리 이야기들을 주고받으며 배를 잡고 웃고 즐거워한다. 아이들한테는 이야기를 하는 행위 그 자체가 무척 중요하다 … 아이들의 조그마한 손이 자연물을 가지고 활동하는 것은 전무후무한 위대한 예술가의 독창적 발상과 무생물에 생명을 부여하는 신적 창조성을 발휘하는 것이다 ..  (78, 104쪽)


  숲에서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숲이 있어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숲 아닌 곳에서도 살아가는 사람이 될는지 모르지만, 숲이 없으면 숲 아닌 곳에서 살더라도 제대로 살지 못해요.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서 살아가더라도, 숲이 있어야 살 수 있습니다. 맑은 물 흐르고 싱그러운 바람 부는 시골이 있어야, 도시에서 넘쳐나는 온갖 지저분한 물과 바람을 걸러 내요. 바보스러운 토목건설 공무원과 정치꾼은 인천 앞바다 갯벌을 메워 덩그러니 공항을 지었는데, 인천 앞바다에 갯벌이 있어야 서울사람이 버리는 온갖 쓰레기와 똥오줌을 이곳 갯벌에서 걸러내지요. 갯벌이 없으면 서울과 경기도는 온통 쓰레기밭, 쓰레기구덩이가 되고 말아요. 그리고, 시골이 없으면, 숲이 없으면, 어느 누구도 숨을 쉴 수 없습니다. 시골이 있고 숲이 있기에 숨을 쉬어요. 시골이 있고 숲이 있어 도시사람이 안 굶습니다. 시골이 있고 숲이 있으니 도시사람이 목마르지 않습니다.


  브라질 열대숲만 지켜야 하지 않아요. 이 나라 시골숲도 지켜야 해요. 국립공원에 하늘차를 함부로 놓지 말아야 하는 까닭이라든지 국립공원이 아닌 작은 멧자락이라 하더라도 함부로 구멍을 뚫어 고속철도나 고속도로를 놓지 말아야 하는 까닭을, 도시사람부터 깨달아야 하고 시골사람도 알아야 해요.


  돈으로 사서 다시 심을 수 있는 나무 한 그루가 아닙니다. 우리 숨을 살리는 나무 한 그루입니다. 나무가 없으면 지구별에서 누가 살아갈 수 있겠어요. 나무를 모조리 베어 공장과 도시와 관광지와 골프장과 경기장 따위만 만들면, 참말 도시사람조차 어떻게 문화나 문명을 누리겠어요.


  흙이 있기에 똥과 오줌을 받아들여 삭힙니다. 흙이 있기에 온갖 밥찌꺼기를 맞아들여 삭힙니다. 숲에서 나무가 우거져야 하고, 들에서 흙이 싱그러워야 합니다. 아무리 커다란 도시라 하더라도 동네 곳곳에 작은 숲이나 공원이 있어야 합니다. 시골마을에서는 고샅이나 밭둑이나 논둑을 섣불리 시멘트로 덮지 말아야 합니다. 바닷가에 함부로 해변도로랍시고 시멘트와 아스팔트를 퍼붓지 말아야 합니다. 크고 작은 숲과 멧골에 관광도로랍시고 함부로 나무를 베고 숲을 밀어 찻길 넓히려 하지 말아야 합니다.


.. 자연의 소리는 여러 가지 음이 동시에 조화를 이루고 있어서, 특별히 집중하는 경우만 한 가지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순간순간 다르면서도 항상 들리는 시냇물 소리는 가끔 들리는 새소리와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잎 소리들, 그리고 친구들이 뛰어다니며 노는 소리들과 함께 어우러져 있다 … 숲에서 하는 놀이는 그야말로 끝이 없다. 아이들은 숲에서 끝없이 만지고 보고 듣는데 이러한 감각을 놀이로 가져갈 수 있다. 아이들한테 이렇게 말해 보자. “누가 밝은 초록색 또는 어두운 초록색을 발견할 수 있을까?” ..  (144, 176쪽)


  안드레아 에르케르트 님이 쓴 《숲으로 가자》(호미,2012)를 읽습니다. ‘숲 유치원’에서 아이들과 함께 숲에서 할 수 있는 놀이 108가지를 알려주는 조그마한 이야기책입니다. 이 작은 책에 담긴 백여덟 가지 놀이는 ‘숲 유치원’에서 즐기는 놀이라고 하는데, 꼭 숲 유치원 아니더라도 다른 유치원에서도 할 수 있는 놀이요, 유치원이 아니더라도 어느 집에서나 할 수 있는 놀이입니다. 살짝살짝 바꾸거나 손질해서 새롭게 놀 수 있어요. 깊은 숲이 아닌 자그마한 동네 숲에서도 즐길 수 있어요. 나무 한 그루하고도 놀 수 있습니다. 꽃 한 송이와 풀 한 포기하고도 놀 수 있어요.


.. 자, 이제 눈을 뜨고 두 주먹을 꼭 쥐어 보렴. 그리고 머리 위로 힘차게 기지개를 켜 보렴. 그리고 천천히 일어나 두 팔을 머리 위로 쭉 뻗으며 외쳐 보렴. “나는 꽃으로 가득한 들판처럼 상쾌하다!” ..  (171쪽)


  다 함께 눈을 떠요. 참다운 삶에 다 함께 눈을 떠요. 다 같이 손을 잡아요. 돈과 졸업장은 내려놓고, 다 같이 맨손을 잡아요. 모두 나란히 어깨동무를 하고 걸어요. 자가용은 내려놓고 두 다리로 씩씩하게 걸어요. 다리 아픈 이웃 있으면 업어 주셔요. 바퀴걸상에 앉히고 뒤에서 밀 수 있어요. 흙을 만지고 흙내음을 맡아요. 빗물을 마시고 냇물에 낯을 씻어요.


  아이들이 즐겁게 놀 수 있도록 어른들부터 즐겁게 일해요. 아이들이 즐겁게 뛰놀 만한 보금자리가 되도록 어른들부터 즐겁게 일할 터전을 가꾸어요.


  숲으로 가야지요. 아파트가 아닌 숲으로 가야지요. 숲으로 가야지요. 극장도 경기장도 아닌 숲으로 가야지요. 숲내음을 맡아야지요. 시멘트와 아스팔트 아닌 흙밭 숲길에서 흙내음이랑 숲내음을 맡아야지요.


  철없는 어른들 살리는 맑은 빛이 드리웁니다. 달빛이 포근하게 드리웁니다. 철없는 어른들 살리는 밝은 볕이 내리쬡니다. 햇볕이 따사롭게 내리쬡니다. 4346.12.24.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