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 재우는 재미

 


  아이들을 재우기가 어렵다고들 말하지만, 이 땅 아이들은 먼먼 옛날부터 잘 먹고 잘 자면서 무럭무럭 컸다. 제대로 못 먹고 자란 아이도 있을 테고, 제대로 잠들지 못한 아이도 있으리라 본다. 제대로 사랑받지 못할 뿐 아니라, 제대로 꿈꾸지 못하며 시름시름 앓아야 하는 아이도 있으리라 느낀다. 그런데, 어느 어버이라 하더라도 모두 한마음이리라 본다. 내 아이가 되든 다른 집 아이가 되든, 모두 사랑스럽고 따사롭게 삶을 누릴 수 있기를 비는 한마음이리라 본다.


  어버이가 되고 어버이 마음으로 살아간다면, 아이들 재우는 일이 얼마나 재미있고 보람차며 아름다운가를 늘 새삼스레 깨달으리라 생각한다. 참 그렇다. 잠투정을 하며 안 자려 하는 아이도, 이부자리에 등만 대면 곧바로 곯아떨어지는 아이도, 하나같이 예쁘며 귀엽다. 모두들 사랑스럽고 착하다.


  아이들 재우는 재미에 흠뻑 빠져 자장자장 노래 부르다가 나도 모르게 곯아떨어진다. 아이들이 늦게까지 안 자려 하면서 방을 온통 어지르면 괜히 씩씩거리며 골을 내다가 아이도 나도 나란히 곯아떨어진다. 자는 동안 아이들이 뒹굴며 아버지 몸을 발로 찬다. 자는 동안 아이들이 이불을 걷어차며 춥다. 아이들과 한 이불 덮고 자다 보니, 아이들이 이불을 차면 다 함께 춥다. 썰렁하다고 느껴 잠에서 깨어 아이들부터 이불을 여미고는 나도 목아지까지 이불을 끌어당긴다. 한 놈이든 두 놈이든 낑낑거리는 소리를 내면, 자다가 쉬 마렵다는 뜻이다. 개구지게 놀았으니 몸이 고단하고, 그렇다고 쉬를 안 눌 수도 없고, 낑낑 끙끙 소리를 내며 뒤척인다. 부시시 일어나 아이를 안거나 걸려 쉬를 누인다.


  이렇게 하루를 누리는 재미란 무엇일까. 이렇게 하루를 보내는 삶은 언제까지 이어질까. 아이들 자라 열 살을 넘고 스무 살 되기까지는 아주 빠르리라 본다. 아이들 밤오줌 가리도록 돌보는 햇수란 고작 열 해쯤이지, 열 살 넘어가면 아이들은 스스로 부시시 일어나서 밤오줌을 누고는 혼자서 조용히 이부자리로 파고들리라. 아이들한테 하나하나 마음을 쓰고 손을 쓰며 몸을 써야 하는 나날은 아주 짧을 뿐 아니라, 즐겁고 재미난 이야기가 넘치는 삶이라고 느낀다. 밤에 할 일 있어서 셈틀을 안 끄고 아이들을 재우다가 그만 나도 깜빡 잠이 든다. 퍼뜩 놀라 잠에서 깬 뒤, 살그마니 이불을 들추어 몸만 빠져나가려 하는데, 큰아이가 불쑥 “아버지 어디 가요?” 하고 여쭌다. 옆에서 작은아이도 누나 목소리 흉내를 내며 “어디 가요?” 하고 여쭌다. 아이고, 얘들아, 너희는 잠 안 들고 아버지만 잠들었니? 이제는 그만 자야지. 4346.11.29.쇠.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