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의 아이 5 - 완결
이가라시 다이스케 지음, 김완 옮김 / 애니북스 / 201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278

 


보고 싶어
― 해수의 아이 5
 이가라시 다이스케
 김완 옮김
 애니북스 펴냄, 2013.9.27.

 


  아이들이 눈을 뜹니다. 아침을 맞이해서 새로 놀 여러 가지 즐거운 삶을 찾아 눈을 뜹니다. 내 왼쪽에 누운 큰아이가 잠결에 문득 한 마디를 합니다. “아버지, 잘 자요.” 깊은 밤에 잘 자다가 무슨 소리인가 하며 눈을 뜹니다. 아하, 이 아이가 잠결에 꿈나라에서 아버지를 만나 함께 놀다가 잠드는 이야기를 그리는군요. 그러니, 이런 말을 잠결에 뱉겠지요.


  아이들 오줌그릇을 들고 마당으로 내려섭니다. 별빛이 눈부십니다. 별빛을 가로막으려 하는 마을 고샅 등불은 손으로 가린 채 하늘바라기를 합니다. 이 곱고 밝은 별빛을 보고 싶어 시골에서 살아갑니다. 이 맑으며 따사로운 별빛을 누리고 싶어 고즈넉한 두멧시골에 보금자리를 마련합니다.


  무엇을 보고 싶은가요. 사랑을 보고 싶은가요? 사랑을 보고 싶은 사람은 늘 사랑을 봅니다. 꿈을 보고 싶은가요? 꿈을 보고 싶은 사람은 늘 꿈을 봅니다. 누구나 스스로 보고 싶은 모습을 봅니다. 누구나 스스로 맞이하고 싶은 삶을 맞이합니다.


- “우리는 탄생의 이야기 한가운데 있어…….” (17쪽)
- “네가 해야 할 일은 이곳에 해수가 쏟아져 들어오기 전에 눈을 감는 것뿐. 하기야, 그 전에 너는 운석에서 넘쳐나는 ‘기억’에 빠져들고 말겠지만.” (32쪽)
- “보고 싶어. 앞으로 무슨 일이 일어날지.” (42쪽)

 

 


  과자를 먹으면 과자와 내가 한몸이 됩니다. 술을 마시면 술과 내가 한몸이 됩니다. 맑은 샘물을 길어서 마시면 맑은 샘물과 내가 한몸이 됩니다. 고들빼기를 뜯어서 먹으면 고들빼기와 내가 한몸이 됩니다.


  내 몸속에 어떤 아픈 싹이 자란다면, 나 스스로 아픈 싹을 키웠기 때문입니다. 내 몸속에 아무런 아픈 싹이 없다면, 나 스스로 아픈 싹을 생각조차 안 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아픈 싹이 자라려 하더라도, 나 스스로 즐거우며 사랑스러운 삶을 고운 빛으로 떠올리면, 아픈 싹은 이내 사그라듭니다.


  누군가는 과자를 먹더라도 마음으로 씻어냅니다. 누군가는 맑은 샘물을 마시더라도 마음이 어지러운 탓에 마음이 아픕니다. 다시 말하자면, 가장 정갈하다 싶은 물과 밥을 받아들이더라도 몸이 아플 수 있어요. 그닥 정갈하지 못한 물과 밥을 맞아들이더라도 몸이 튼튼할 수 있어요. 사람은 누구라도 몸과 마음 두 가지로 이루어지는데, 몸은 다스리더라도 마음을 다스리지 못한다면, 거꾸로 마음은 다스리더라도 몸은 다스리지 못한다면, 그만 엇나갑니다.


- “끝까지 지켜봐. 단, 운석이 네게서 떨어지면 번역자는 사라지는 거야. 이제부터 네가 보는 것의 의미는, 네가 생각해야 해. 너 혼자 찾아야만 해 … 네가 눈을 뜨고만 있으면, 언젠가, 전부 이어질 거야.” (44∼45쪽)
- “여기 사는 사람들이 바다를 제일 잘 알죠. 하루하루 생활 속에서 몸으로 바다와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바다를 아는 가장 좋은 방법이 아닐까 해요.” (290쪽)

 

 


  마음속으로 늘 되뇝니다. 아름드리나무를 보고 싶구나. 마음속으로 늘 외칩니다. 사랑스러운 아이들과 사랑스러운 하루를 빚고 싶구나. 마음속으로 늘 노래합니다. 기쁘게 맞이할 일들을 즐겁게 가꾸면서 이 지구별에 맑은 빛줄기를 드리우고 싶구나.


  스스로 마음속으로 되뇌는 이야기가 천천히 이루어집니다. 스스로 마음으로 외치는 소리가 가만히 이루어집니다. 스스로 마음에서 노래하는 이야기가 시나브로 이루어집니다.


  기쁜 일도 궂은 일도, 아름다운 일도 흐리멍덩한 일도, 모두 내 마음이 부르면서 이루어집니다. 내 마음에서 태어난 이야기가 우리 둘레에서 하나둘 펼쳐집니다.


  작은 사랑이 이어지고 잇닿으며 커다란 사랑이 됩니다. 작은 미움이 이어지고 잇닿으며 커다란 미움이 됩니다. 작은 꿈이 이어지고 잇닿아 커다란 꿈이 되어요. 작은 다툼이 이어지고 잇닿아 커다란 다툼이 되지요. 다만, 모든 일과 이야기는 씨앗 한 톨에서 비롯해요. 사람들이 스스로 마음밭에 뿌려서 돌보는 씨앗 한 톨에서 비롯해요.


  어떤 꽃을 보고 싶은지 생각하며 씨앗을 심을 노릇이에요. 어떤 열매를 맺고 싶은지 생각하며 씨앗을 가꿀 노릇이에요. 보고 싶은 꽃을 그리며 씨앗을 심어요. 만나고 싶은 열매를 떠올리며 씨앗을 가꾸어요.


- ‘별?’ (127쪽)
- “눈을 떠.” (174쪽)

 

 


  이가라시 다이스케 님 만화책 《해수의 아이》(애니북스,2013) 다섯째 권을 읽습니다. 바닷마을에서 바다를 바라보며 바다노래 부르던 아이들 이야기는 다섯째 권에서 마무리됩니다. 새로운 숨결이 태어나고, 새로운 숨결이 만나며, 새로운 숨결이 어우러지는 이야기가 조용히 흐릅니다.


  바다에서 별이 태어납니다. 하늘에서 바다가 흐릅니다. 바다에서 춤을 춥니다. 하늘에서 노래를 부릅니다. 바다에서 빛이 샘솟습니다. 하늘에서 바람이 붑니다. 바다와 하늘이 만납니다. 하늘과 바다가 하나로 됩니다. 아이도 어른도 없이, 모두 한 목숨 한 숨결 한 넋으로 거듭납니다.


- “죽는다는 건 다른 세계에서 태어나는 걸까?” (273쪽)
- “누구랑 약속했어?” “이 장소와, 이곳의 빛, 나무들과 풀, 바위, 벌레들, 모든 소리. 이곳의 모든 것들과.” “무슨 약속을 했어?” “생각나질 않는구나.” (324쪽)

 

 


  누가 아이가 되고 누가 어른이 될까요. 나이로 아이와 어른을 가를까요. 겉모습으로 아이와 어른을 가르나요. 오백 살 먹은 나무와 오천 살 먹은 나무 사이에서는 아이와 어른이란 무엇일까요. 오만 해 피고진 꽃과 오십만 해 피고진 꽃 사이에서는 아이와 어른이란 무엇일까요.


  눈을 뜨면 볼 수 있습니다. 보고 싶은 사람은 눈을 뜰 노릇입니다. 눈을 감아도 마음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보고 싶은 사람은 마음으로 눈을 뜰 노릇입니다.


  달빛이 흐르다가 별빛이 스러지면서 햇빛이 온누리를 비춥니다. 햇빛이 스러지면서 달빛이 밝고 어느덧 별빛이 환하게 온누리를 덮습니다. 나무가 자라 숲이 되고, 숲에서 풀이 돋습니다. 나무와 풀이 시들어 죽으면서 흙은 새롭게 살찌고, 새롭게 살찐 흙에서 수많은 씨앗이 뿌리를 내려 숲은 한결 짙푸르게 우거집니다.


  나고 죽는 사람들은 조금씩 슬기로운 빛 더합니다. 한삶 누리며 얻은 슬기를 글로 남기든 책으로 옮기든, 아이들한테 기쁘게 물려줍니다. 글도 책도 모른다 하면, 노래로 아이들한테 물려주고 삶으로 아이들한테 이어줍니다. 먼먼 옛날부터 아이와 어른이라는 금긋기는 따로 없이 오직 사랑 하나로 살아오면서 사랑 하나를 밝힙니다. 삶이란 사랑이고, 사랑이란 삶입니다. 그러니까,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삶을 보고 싶어 사랑을 나눕니다. 먼먼 옛날부터 사람들은 사랑을 보고 싶어 삶을 짓습니다. 4346.11.3.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만화책 즐겨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