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헤아린다 ― 그림책을 누가 읽을까
그림책은 어린이부터 누구나 읽는 책이라고 했습니다. 곧, 그림책은 글을 모르더라도 누구나 읽는 책이 됩니다. 한국사람이 빚은 그림책을 몽골사람이 읽을 수 있습니다. 베트남사람이 빚은 그림책을 일본사람이 읽을 수 있습니다. 러시아사람이 빚은 그림책을 핀란드사람이 읽을 수 있습니다.
사진책은 ‘나라와 겨레가 달라’도 누구나 읽을 수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림책도 이와 엇비슷합니다. 그림책은 어느 나라 어느 겨레라 하더라도 ‘그림을 읽으’면 되니까, 허울도 울타리도 틀도 없습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그림책이라 하더라도, 모든 사람이 알알이 아로새기거나 받아들이거나 헤아리지는 못합니다. 어린이부터 읽을 수 있는 그림책이라 하지만, 막상 어린이가 찬찬히 느끼거나 좋아하거나 맞아들이지 못하기도 합니다.
문은 누구한테나 활짝 엽니다. 다만, 문이 열렸대서 아무나 들어오지는 않아요. 열린 문에 들어가려면 열린 몸과 마음이어야 해요. 그러니까, 그림책은 누구한테나 열린 생각문이지만, 이 생각문으로 들어오자면 어린이가 되든 어른이 되든 먼저 스스로 생각과 마음과 사랑과 꿈과 믿음부터 활짝 열어야 합니다.
읽는이부터 열린 생각이 아닐 때에는 그림책 줄거리조차 옳게 살피지 못합니다. 읽는이 스스로 열린 마음이 아닐 때에는 그림책 고갱이를 하나도 건드리지 못합니다. 읽는이가 열린 사랑이 아닐 때에는 그림책 속살을 맛나게 받아먹지 못합니다. 읽는이한테 열린 꿈이 없을 때에는 그림책 하나가 천천히 빚는 아름다운 누리를 깨닫지 못합니다. 읽는이 나름대로 열린 믿음을 품지 못할 때에는 그림책 하나가 첫 끈이 되어 다 함께 어깨동무하면서 일굴 좋은 보금자리를 건사하지 못합니다.
돈이 있으면 누구라도 책을 살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책을 장만한 사람 누구나 책을 읽지는 않아요. 책을 읽은 사람 누구나 책에 서린 넋을 알뜰히 받아먹지 못해요. 돈이 있으니까 장만하는 책이 아닙니다. 틈을 내어 책을 훑었대서 ‘읽기’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먼저 생각·마음·사랑·꿈·믿음, 이렇게 다섯 가지를 추스를 수 있어야 해요. 이 다섯 가지를 추스른 다음에야 어린이가 되든 어른이 되든, 그림책을 읽는 사람이 됩니다. 이 다섯 가지 모두 알차게 꾸린다면 가장 아름답고, 이 다섯 가지 모두 꾸리지 못하더라도 한 가지라도 꾸린다면, 그림책 한 권으로 나눌 이야기를 조금씩 맛볼 수 있어요.
삶이란 이야기예요. 삶이란 사람들이 사랑하면서 나누는 이야기예요. 그림책이란 삶이면서 이야기예요. 그림책이란 사람들이 서로 사랑하면서 나누는 삶을 담는 이야기예요. 이 그림책 이야기는 지식이나 정보로 삼을 수 없어요. 머리속에 가두는 정보나 지식이 된다면, 그림책을 백 권이나 천 권이나 만 권을 ‘읽었다’고 말하더라도 막상 ‘읽기’가 아닌 ‘지식 쌓기’나 ‘지식 가두기’로 그치고 말아요.
아이들을 학교에 넣어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나 중·고등학교 졸업장을 따도록 했으니, ‘아이 가르치기’를 다 해냈다고 할 수 있을까요? 아이들한테 밥을 차려 주어서 스스로 숟가락질 하도록 시켰으니, ‘아이 키우기’를 다 이루었다고 할 수 있나요?
학교에 넣어 졸업장을 따는 일은 배움(교육)이 아닙니다. 아이들한테 밥을 먹이고 옷을 입히며 잠을 재우는 일은 돌보기(육아)가 아닙니다. 그림책을 마주하는 어른들은 슬기롭게 생각해야 합니다. 그림책을 주머니 털어 장만해서 집안 한쪽에 그럴듯하게 꽂았기에 ‘책을 장만했다’고 할 수 없어요. 날마다 한두 시간 즈음 그림책 몇 가지를 ‘입으로 들려주었다’고 해서 ‘책읽기’를 했다 할 수 없어요.
그림책을 읽었다고 한다면, 그림책마다 다 다르게 감도는 생각·마음·사랑·꿈·믿음이 무엇인가를 찬찬히 그려야 합니다. 내 가슴에 찬찬히 아로새기면서 내 삶을 찬찬히 새롭게 일구어야 합니다. 아이들도 아이들 나름대로 새롭게 꾸리며 거듭나는 하루가 되도록 이끌어야 합니다.
책을 많이 장만해서 아이한테 선물한다고 ‘책을 잘 읽는 한식구’가 되지 않습니다. 그림책 하나란 삶책 하나인 만큼, ‘그림책 읽기 = 삶책 읽기’입니다. 그러니까, 종이에 앉힌 그림으로 엮은 그림책만 들여다본대서 ‘(책)읽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노릇입니다. 넋을 추스르고 얼을 돌보며 꿈을 빚을 때에 ‘(책)읽기’가 이루어져요.
한 평짜리 밭이라도 마련해서 아이와 함께 씨앗을 심어 보셔요. 자그마한 꽃그릇 하나에 흙을 담아 아이와 나란히 씨앗을 심어 보셔요. 자그마한 꽃그릇에 나무씨앗을 심었으면 한두 해나 서너 해 집안에서 키운 다음, 너른 들판이나 멧등성이에 올라 옮겨 심을 수 있습니다. 한 평짜리 밭에서 아이랑 같이 심어 거둔 무, 배추, 당근, 토마토, 오이를 아이하고 즐겁게 먹어 보셔요.
삶을 누리는 나날일 때에는 언제나 ‘(책)읽기’를 해요. 아이와 손을 맞잡고 들길을 거닐어 보셔요. 도시에서라면 골목길을 거닐어 보셔요. 자동차 소리가 들리지 않는 길을 거닐어 보셔요. 풀벌레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들새 소리에 마음을 가누어 보셔요. 바람결에 나뭇잎과 나뭇가지 흔들리는 소리를 살피셔요. 구름이 흐르는 소리와 별이 움직이는 소리를 헤아리셔요. 빗방울이 지붕이나 땅바닥에 닿기까지 하늘에서 어떻게 날았을까 하고 마음속으로 그리셔요.
스스로 삶을 그릴 때에 그림책 이야기를 찬찬히 읽습니다. 스스로 삶을 지을 때에 그림책 이야기를 하나하나 아로새깁니다. 스스로 삶을 일굴 때에 그림책 이야기를 흐뭇하게 누립니다. 2012.4.7.
(최종규 . 2013 - 그림책 헤아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