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살이 일기 25] 배롱나무 곁에서
― 나무이름을 생각한다

 


  전라남도 시골마을에서 살기 앞서까지 ‘배롱나무’라는 이름은 거의 못 들었습니다. 서울이나 다른 도시에서도 ‘배롱나무’라는 이름을 쓰는 분이 제법 있지만, 으레 ‘백일홍나무’나 ‘목백일홍’이라고 말합니다. 백 날 동안 꽃을 붉게 피운다고 해서 ‘백일홍’이요, 이 백일홍이라는 꽃이 나무에서 피어나기에 ‘목백일홍’이라 해요. 그런데, 시골마을 어르신들 어느 누구도 이런 말은 안 써요. 하나같이 ‘배롱나무’라고만 하고 ‘배롱꽃’이라 합니다. 때로는 ‘간지럼나무’라고 이야기해요.


  똑같은 나무를 놓고 사람들이 쓰는 이름이 다르다 보니 처음에는 알쏭달쏭했습니다. 저마다 다른 나무를 가리키는가 하고 여겼는데, 한 해 두 해 지나며 생각하고 살피니, 다 같은 나무를 다 다른 이름으로 가리킬 뿐이었습니다.


  대학교에서 학문을 하는 분들은 어떤 이름으로 이 나무와 꽃을 가리킬까요. 서울이나 도시에서 신문·잡지·책·방송을 만드는 분들은 어떤 이름을 붙이며 글을 쓸까요. 초·중·고등학교 교사로 일하는 분은 어떤 이름으로 아이들한테 가르칠까요.


  예전에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따뜻한 마을에서만 자랐다고 하는 배롱나무라고 하지만, 요사이는 서울까지도 이 나무가 치고 올라간다 합니다. 예전에는 감나무가 충청도를 넘어가지 못했다 하지만, 요새는 서울이나 인천 골목집에서도 감나무를 곧잘 키워요. 서울에서도 고운 꽃나무 구경하니 즐거운 일이 될 수 있으나, 곰곰이 살피면 날씨가 엄청나게 무너졌다는 뜻이에요. 그나저나, 서울에서까지 배롱나무가 자랄 수 있다 하지만, 정작 ‘배롱나무’라는 이름은, 또 ‘간지럼나무’라는 이름은, 남녘에서 북녘으로 얼마나 제대로 퍼지는가 모르겠습니다. 따순 남녘 마을에서만 자라던 고운 꽃나무 가리키는 예쁜 이름을 북녘 마을에서도 살뜰히 아낄 수 있기를 빕니다. 4346.9.17.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