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임수로 세상을 차지한 소별왕 까마득한 이야기 2
편해문 글, 노은정 그림 / 소나무 / 201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 함께 즐기는 그림책 293

 


아름답기에 살기 좋은 온누리
― 속임수로 세상을 차지한 소별왕
 편해문 글
 노은정 그림
 소나무 펴냄, 2013.4.20. 1만 원

 


  거의 한 달만인가 비를 구경합니다. 여름날 비를 이토록 구경하기 어려운 적은 아주 드물었다고 느낍니다. 내 어릴 적부터 돌이키면, 무더운 여름이 찾아오기 무섭게 소나기이며 태풍이며 비바람이며 잔뜩 찾아오곤 했어요. 나는 어릴 적에 덥다 춥다를 가리지 않고, 여름이면 여름놀이 할 생각에 기쁘고, 겨울이면 겨울놀이 할 마음에 즐거웠어요. 더우니까 여름이고, 더운 만큼 물놀이 실컷 누리자고 생각했어요.


  올 2013년 여름 전라남도 고흥 시골마을에서는 비도 구름도 거의 없는 날이 오래 이어집니다. 비가 한두 차례 찾아와도 흩뿌리다 지나갈 뿐입니다.


  새벽에 찾아든 빗줄기가 제법 굵습니다. 아버지 따라 대청마루에서 함께 자는 아이들은 모처럼 찾아든 빗소리를 들으며 새벽잠을 잡니다. 삼십 분쯤 내리던 비는 어느새 그치고, 비가 그치면서 아이들은 하나씩 일어납니다. 비가 더 안 오려나? 비가 아침이나 낮에 다시 오려나? 저녁에 비가 더 오려나?


  바깥을 내다봅니다. 멧자락은 구름으로 휩싸입니다. 큰아이가 문득 아버지를 부릅니다. “아버지 여기 봐요. 큰 개구리 있어요. 내 신발에 있어요.” 얼마나 큰 개구리이기에 부르는가 하고 아이가 가리키는 곳을 바라봅니다. 참개구리 한 마리 섬돌에 올라왔습니다. 섬돌에 큰아이 꽃신을 두었는데, 바로 이곳에 참개구리가 앉아서 쉽니다. 섬돌과 마루를 잇는 모기그물 사이에 모기가 곧잘 찾아드니, 참개구리가 모기를 잡아먹으려고 예까지 왔을까요. 우리 집 마당 한쪽에서 살아가는 참개구리가 모처럼 섬돌까지 올라와서 놀다가 천천히 폴짝폴짝 뛰어 풀밭으로 돌아갑니다.


.. “어머니, 하늘왕만 한 사위가 어디 있겠습니까? 걱정 놓으셔요. 빈속에 나서시려면 시장하실 테니 아침에 밥이라도 한 끼 지어 올려야지요.” “집에 쌀이라고는 한 톨도 없으니 이를 어쩐단 말이냐.” “제가 수명장자 집에 가서 꾸어 오겠습니다.” 서수아미 아기씨가 수명장자를 찾아가 흰쌀 한 되를 가을에 곡식을 거두어 한 말을 주기로 하고 꾸어 집에 돌아와 풀어 보니 흰모래를 쌀에다 섞어 한 되를 맞춰 주었구나 ..  (24쪽)

 


  집 둘레 풀밭에서 고들빼기가 잘 자랍니다. 고들빼기는 물 한 모금 따로 준 적 없어도 씩씩하게 줄기를 올리며 잎사귀를 새로 틔웁니다. 새로 틔우는 잎사귀를 뜯고 또 뜯어도 다시 잎사귀를 틔울 뿐 아니라 줄기를 올려요. 이러더니 어느새 꽃대가 위로 옆으로 뻗으며 하얀 봉오리를 답니다. 봉오리는 어느새 하얗게 터지면서 고운 꽃잎을 한들한들 베풀어요.


  고들빼기 곁에는 부추가 꽃대를 올려 꽃송이를 벌리려 합니다. 고들빼기와 부추 사이에는 까마중이 줄기를 한껏 올려 자그마한 꽃을 피웁니다. 일찍 진 까마중꽃은 어느덧 까만 열매로 바뀌었고, 푸른 알맹이에서 까무잡잡하게 익는 열매가 나란히 있습니다. 까마중 한 포기에 꽃과 까만 알과 푸른 알이 함께 있어요.


  여름철에는 후박잎이 툭툭 집니다. 가을이 오기 앞서 늦여름에 뒤꼍 감나무에서 덜 익은 감알이 지붕을 쿵 때리면서 떨어집니다. 날마다 너덧 알쯤 떨어지는구나 싶어요. 다 익을 때까지 기다리지 뭘 그리 바쁘다고 서둘러 떨어지느냐 싶지만, 풋감은 풋감대로 흙으로 돌아가 흙을 살찌우는 한편, 풀밭에서 살아가는 벌레와 개미한테 맛난 밥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지렁이도 풋감을 즐겁게 먹을 테고요.


  어제는 집 오른편 풀밭에서 고들빼기잎을 뜯다가 풀사마귀 한 마리를 보았습니다. 마침 내가 뜯으려는 잎사귀에 풀사마귀가 거꾸로 붙었더군요. 한동안 사마귀를 들여다봅니다. 사진기를 가져와서 몇 장 찍습니다. 조금 더 지켜보다가, 얘야 나는 이 잎사귀를 조금 얻고 싶어, 네가 살짝 옆으로 갔다가 이따가 다시 이리로 올라오렴, 하고 얘기합니다.


.. 하늘왕, 박씨 두 개를 손에 쥐어 주며 “정월 첫 돼지날에 박씨를 심고 북돋아 줄기가 뻗으면 그 줄기를 따라 하늘나라로 아이들을 보내시오.” 서수아미 아기씨 머리 빗던 얼레빗을 반으로 부러뜨려 하늘왕을 주며, “이 반쪽을 가져가는 아이가 우리 아이들인 줄 아세요.” ..  (36쪽)

 


  뒷간에서 볼일을 보며 모기를 잡으면 숨이 끊어진 모기가 바닥으로 톡 떨어집니다. 날마다 모기를 스무 마리 남짓 잡는데, 이튿날 보면 바닥이 말끔합니다. 모기 주검을 개미가 낱낱이 뜯어서 가져갔기 때문입니다. 열이면 열 스물이면 스물 서른이면 서른, 개미들은 바지런히 모기 주검을 나릅니다.


  풀은 뜯으면 뜯는 대로 다시 돋습니다. 나뭇가지는 꺾이면 꺾이는 대로 다시 납니다. 예부터 사람들은 풀을 뜯으며 살았습니다. 뜯고 또 뜯어도 다 먹지 못할 만큼 풀이 넉넉히 자랐습니다. 이리하여 이 풀로 바구니를 짜고 지붕을 덮으며 실을 얻어 옷을 지었습니다. 풀에서 얻은 바구니는 다 헐면 흙한테 돌려주고 새롭게 새 풀을 얻어 새 바구니를 짜면 됩니다. 낡거나 삭은 지붕은 벗겨 흙한테 돌려주고는 새롭게 새 풀을 얻어 새 지붕을 얹으면 됩니다. 해지고 닳은 옷은 흙한테 돌려주고서 새롭게 새 풀에서 새 실을 얻어 새 옷을 지으면 됩니다.


  풀은 늘 밥이었고 집이었으며 옷이었습니다. 사람은 풀과 함께 살아가면서 푸르게 빛났고, 푸르게 웃었으며, 푸르게 사랑했습니다. 그런데 이제 사람들은 풀과 살아가지 않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풀이 아닌 석유와 화학조합물에서 밥과 집과 옷을 얻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풀웃음이나 풀사랑을 나누기보다는 문명과 문화와 예술과 교육과 정치와 사회에서 웃음과 사랑을 나누려 합니다. 도시뿐 아니라 시골에서도 풀을 멀리하고 싫어합니다.


.. 대별왕과 소별왕은 하늘왕이 시킨 대로 땅에 내려와 대별왕은 앞에 오는 해는 그냥 두고 뒤에 오는 해를 쏘아 동해 바다에 떨어뜨려 북쪽 하늘 숱한 별을 만들고, 소별왕은 앞에 오는 달은 그냥 두고 뒤에 오는 달을 쏘아 서해 바다에 떨어뜨려 남쪽 하늘 숱한 별을 만드니 타는 가뭄과 해일과 홍수가 아주 줄었구나 ..  (46∼47쪽)

 


  편해문 님이 그러모으고 노은정 님이 그림으로 엮은 옛이야기책 《속임수로 세상을 차지한 소별왕》(소나무,2013)을 읽으며 생각합니다. 소별왕은 형 대별왕을 속여서 이승을 차지했다고 하는데, 형 대별왕은 동생 소별왕한테 속으면서 저승으로 갔다고는 느끼지 않아요. 대별왕은 이녁한테 주어진 삶대로 꽃을 아끼고 사랑하는 나날을 보냈고, 동생을 보살피며 사랑하는 나날을 보냈으며, 저승에서는 저승에서대로 저승으로 찾아온 넋을 보듬고 다스리는 나날을 보냈어요. 이와 달리, 소별왕은 이녁 어머니와 아버지와 형을 살뜰히 사랑하는 길을 미처 깨닫지 못했습니다. 이승을 다스리는 일꾼이 될 적에도 이승을 살뜰히 사랑하며 다스리는 길을 처음부터 생각하지 못했어요. 나중이 되어서야 천천히 깨달아 형한테 잘못을 빌면서 하나하나 새롭게 배웁니다. 어떻게 살아갈 때에 즐겁고, 어떻게 삶을 지을 때에 아름다운가 하는 대목을 아주 천천히 느끼며 깨닫습니다.


.. “형님, 저승은 어떻게 다스립니까?” “저승법은 맑고 맑은 법이니라. 고통스럽고 불쌍하게 산 사람은 가엾이 여겨 따듯하게 보살피고, 외롭게 산 사람은 여럿이 함께 살 수 있도록 돌보느니라.” ..  (62쪽)


  아름답기에 살기 좋은 온누리입니다. 살기 좋아서 아름다운 온누리일 수 있는데, ‘살기 좋게’ 되려면, 먼저 아름다울 수 있어야 해요. 아름다울 수 있으려면 사랑스러워야 해요. 사랑스러우려면 참다워야 하고, 참다우려면 착해야 합니다. 내가 너한테 착하고 네가 나한테 착할 적에, 곧 서로서로 착한 눈빛과 말빛과 마음빛일 적에 삶이 착하게 흐릅니다. 서로서로 아끼고 돌보는 삶을 일구면서 차근차근 참다운 이야기 흐르고, 참다운 이야기 흐르면서 사랑스러운 꿈이 지펴요. 사랑스러운 꿈이 널리 퍼지면서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고,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며 비로소 ‘살기 좋구나’ 하는 말이 절로 나옵니다.


  맑고 맑은 눈길로 하루를 짓습니다. 맑고 맑은 말로 생각을 짓습니다. 맑고 맑은 마음으로 삶을 짓습니다. 대별왕은 저승나라에서 맑고 맑은 길을 다스립니다. 소별왕은? 소별왕은 아직 어리숙하다 하는데, 아마 우리들 마음밭이 아직 어리숙한 탓에 소별왕도 우리와 똑같이 어리숙한 채 이승나라를 다스리지 싶어요.


  저 먼 나라에서 찾는 꽃이 아닌, 바로 내 마음속에서 피어나는 꽃을 생각합니다. 저 먼 마을에서 구경하는 꽃이 아닌, 바로 우리 집에서 자라나는 꽃을 아낍니다. 누구나 마음속이 꽃밭입니다. 누구나 마음밭에 사랑씨앗 가득합니다. 누구나 마음자리를 넉넉하고 따스하게 돌볼 때에 아름다운 삶이 됩니다. 4346.8.22.나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시골 아버지 그림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