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또 하나의 한국인 - 혼혈인에 대한 사진 보고서 1992-2005
이재갑 지음 / 눈빛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찾아 읽는 사진책 146
서로 동무가 되었을까
― 또 하나의 한국인, 혼혈인에 대한 사진 보고서 1992∼2005
이재갑 사진
눈빛 펴냄,2005.10.15./15000원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어떤 사람들이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는지 생각해 봅니다. 돈이 없는 사람들이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습니다. 학교에서 시험공부를 못하는 아이들이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습니다. 못생기거나 키가 작을 때에도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고, 가난해서 작은 집에서 살 적에도, 번듯하다는 회사나 공공기관에 일자리를 얻지 못할 적에도, 자가용을 몰지 못할 적에도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아요. 대학교를 못 나왔거나 대학교를 나왔어도 서울 언저리 대학교 아닐 적에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아요. 옷차림이 후줄근해도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아요. 이주노동자일 적에도, 비정규직 노동자일 적에도, 또 시골 흙일꾼이거나 시골에서 소작을 짓거나 도시로 안 가고 시골에 남는 젊은이들이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습니다.
문득 궁금해서 하나하나 따지고 보면,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안 받는 어른이나 아이가 아주 적어요. 거의 모든 어른과 아이가 이런 까닭 저런 구실 때문에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아요.
살빛이 까맣거나 하얄 적에도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곤 해요. 이러면 이래서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고, 저러면 저래서 푸대접이나 따돌림을 받아요. 혼혈이라는 사람만 살결이 까맣거나 하얗지 않아요. 아버지와 어머니가 태어난 나라가 서로 다르다 하지 않아도, 얼굴이나 생김새나 몸매가 다를 수 있어요. 무슨 말인가 하면, 푸대접이나 따돌림에는 아무 까닭이 없어요. 그저 푸대접하고 싶으니 푸대접을 하고, 따돌리고 싶으니 따돌릴 뿐이에요.
이재갑 님 사진책 《또 하나의 한국인, 혼혈인에 대한 사진 보고서 1992∼2005》(눈빛,2005)를 읽으며 생각합니다. 이재갑 님은 “그들의 눈빛을 카메라에 담고자 했다. 시대의 아픔을 간직한 듯 슬프면서도 맑고 순수한, 그러나 때로는 분노의 눈빛까지도.” 하고 말합니다. 혼혈인이 한국에서 겪는 아픔과 슬픔과 생채기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고 여겨, 이들 혼혈인 눈빛을 사진에 담으려 했다고 합니다. 그러면 ‘혼혈인’을 놓고 푸대접하거나 따돌리는 버릇은 언제부터 생겼을까요. 왜 생겼을까요. 한국전쟁 때문에? 한국전쟁이 끝나고도 한국을 떠나지 않는 미국 군대 때문에? 한국전쟁이 있건 말건 늘 가난하거나 고단하게 살림을 꾸려야 하던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이재갑 님은 “그들의 삶 속에서 보고 배운 것은 한국에서의 혼혈이라는 것이 개인적 문제가 아니라 역사와 시대의 아픔으로, 우리 사회가 함께 풀어 가야 할 과제라는 것이다.” 하고 말하며, “우리가 이들의 존재를 부정하거나 감추지 말고 이들이 전쟁이라는 인류의 부끄럽고 아픈 역사 속에서 생겨난 시대의 희생자라는 것을 인식하고, 이들에 대한 편견을 접고, 진정으로 더불어 사는 우리의 이웃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하고 덧붙입니다. 맞는 이야기입니다. 정치권력끼리 다투면서 여느 사람들이 고단합니다. 다투는 쪽은 정치권력인데, 막상 총칼을 들면서 서로 죽이고 죽어야 하는 쪽은 정치권력 아닌 여느 사람들입니다. 여느 사람들은 군인으로 끌려가야 합니다. 여느 사람들은 군수공장에서 총칼이며 탱크이며 미사일이며 만들어야 합니다. 여느 사람들은 군인으로 끌려갈 뿐 아니라, 군인이 먹을 밥과 입을 옷을 지어서 보내야 하고, 군인은 으레 사내들만 있는 터라, 사내들 성욕 풀어주는 노리개도 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한 가지 헤아릴 대목이 있습니다. 혼혈인은 ‘또 하나 있는 한국인’일까요? 혼혈인은 ‘또 다른 한국인’일까요?
늙은 할매와 할배는 한국 사회에서 어떤 대접을 받는지 생각합니다. 이 나라 아이들은 갓 태어날 적부터 어떤 대접을 받는지 생각합니다. 이 나라 어린이와 푸름이는 학교에서 어떤 대접을 받는지 생각합니다. 이 나라 대학생은? 이 나라 회사원과 노동자는? 이 나라 자영업자와 비정규직 노동자는? 이 나라 대학생 가운데 지방대 학생은? 학교에서 시험성적 낮은 아이들과 학교에서 문제아이 이름표 붙는 아이들은? 돈이 없거나 적어 자꾸 집을 옮겨야 하는 사람들은?
가만히 따지면, 이 나라에서 살아가는 사람은 모두 ‘또 다른 한국인’이 되지 싶습니다. 저마다 이런 푸대접과 저런 따돌림을 받으며 고단하게 하루하루 보내지 싶어요. 푸대접을 안 받는다 할 만한 사람 드물고, 따돌림을 안 겪는다 할 만 사람 적어요. 다 함께 이런 슬픔으로 힘겹고 저런 아픔으로 벅찬 나날입니다. 혼혈인은 혼혈인대로 슬프며 아프고, 혼혈인 아닌 사람은 혼혈인 아닌 사람대로 슬프며 아픈 일이 그득그득합니다.
그렇다면, 다시 생각합니다. 저마다 아픔과 슬픔이 있다면, 서로서로 어깨동무를 하면서 다독이고 얼싸안으며 보듬을 때에 삶을 아름다이 누릴 수 있어요. 모두 아픈 사람이니 서로서로 돌보고 감싸야지요. 저마다 슬픈 사람이니 살가이 두 손 맞잡으면서 보금자리와 마을에 웃음과 이야기꽃 피어나도록 힘써야지요.
혼혈인이건 아니건, 날마다 밥을 먹습니다. 혼혈인이건 아니건, 옷을 입고 일자리를 찾으며 살림을 꾸립니다. 혼혈인이건 아니건, 사랑을 나누고 꿈을 꿉니다. 혼혈인이건 아니건, 시를 쓰고 책을 읽으며 노래를 불러요. 혼혈인이건 아니건 짝을 지어 아이를 낳고, 아이들은 어버이한테서 사랑을 물려받으며 무럭무럭 커요. 혼혈인이건 아니건 구름을 바라보며 꽃을 쓰다듬으며 숲바람을 마십니다.
사진책 《또 하나의 한국인》을 다시 넘깁니다. 이 사진책에는 한국 사회에서 혼혈인이라 하는 사람들 어떤 삶을 보여준다 할 만할까요. 이재갑 님이 마주하며 담은 눈빛은 혼혈인이 한국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는 이야기를 보여준다 할 만할까요. 아침에 일어나 저녁에 잠자리에 들기까지, 혼혈인 삶빛을 얼마나 헤아리면서 조곤조곤 서로서로 이야기꽃 피우는 사진 한 장 얻었을까요.
‘혼혈인’을 찍기에 뜻있는 사진이 되지 않습니다. ‘혼혈인’을 찍었기에 값있는 사진으로 자리매기지 않습니다. ‘혼혈인’을 찍은 만큼 더 눈여겨보아야 할 까닭이 없습니다.
이야기를 찍고 삶을 찍으며 빛을 담을 사진입니다. 이재갑 님이 혼혈인 아닌 ‘지방대 학생’이나 ‘도시로 떠나지 않고 시골에 남은 고졸 젊은이’를 사진으로 찍는다고 하면 어떤 모습이 드러나는 사진을 찍을 수 있을까요. ‘또 다른 한국인’으로서, 아이를 홀로 맡아 돌보며 집안일 도맡는 여느 아버지 삶을 사진으로 옮긴다 하면, 이재갑 님은 어떤 몸짓과 말씨로 이녁한테 다가서면서 사진이야기 꾸릴 수 있을까요.
사진책 《또 하나의 한국인》은 1992년부터 2005년 사이에 마주한 혼혈인 삶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1992년부터 2005년 사이에 무엇을 했고 어떤 이야기를 갈무리했는지 잘 안 보입니다. 열네 해라는 시간에 걸쳐 만난 혼혈인하고 어떤 이야기를 나누었고, 혼혈인과 한국 사회는 어떻게 맺고 이어졌는가 하는 대목을 찬찬히 밝히지는 못한다고 느낍니다.
혼혈인이라 하는 분들은 언제 웃고 언제 울까요. 혼혈인이라 하는 분들은 어떤 밥을 먹고 어떤 노래를 부를까요. 사진길 걷는 사람이 사진으로 보여줄 ‘우리 이웃 삶’은 ‘보고서’가 되어서는 안 될 노릇입니다. ‘우리 이웃 삶’을 보여주는 글이나 그림이나 사진은 모두 ‘이야기’가 될 노릇입니다.
슬픔을 달래고 아픔을 삭히는 이야기로 거듭나는 사진일 때에 아름답습니다. 기쁨을 북돋우고 즐거움을 살찌우는 이야기로 자라나는 사진을 때에 사랑스럽습니다.
조금 더 가까이 다가서지 못했기에 이만 한 사진을 찍었다고 할는지 모릅니다. 조금 더 깊이 파고들지 않았기에 이만 한 사진에서 그쳤다고 할는지 모릅니다. 그러나, 조금 더 가까이 다가서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재갑 님 스스로 혼혈인들하고 이웃이 되면 돼요. 조금 더 깊이 파고들지 않더라도 이재갑 님 스스로 혼혈인들과 사이좋은 벗님으로 지내면 돼요. 이웃으로서 만나고 동무로서 사귀면서 천천히 사진빛을 영글면 돼요.
사진으로 보고서를 쓰지 않기를 빌어요. 사진으로 노래를 부르고 시를 쓰며 춤을 추는, 한껏 눈물과 웃음 얼크러진 아름다운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기를 빌어요. 사진은 사진일 때에 사진이지, 보고서가 되거나 작품이 되려 하면 사진으로도 보고서로도 작품으로도 되지 못해요. 4346.8.10.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사진책 읽는 즐거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