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우는 만화영화
여관에서 하룻밤을 묵고 아침에 일어난다. 아이들은 늦게까지 개구지게 놀고도 새벽같이 일어난다. 집에서건 밖에서건 아침에 일어나는 때는 비슷하구나. 여관방은 한 칸짜리이면서 텔레비전이 아주 크다. 가장 눈에 잘 뜨이는 곳에 텔레비전이 있으니 텔레비전을 켜서 만화영화를 보고 싶어 한다.
만화를 보여주는 곳을 찾는다. 이 만화 저 만화 곰곰이 본다. 이 만화도 저 만화도 ‘싸움’투성이라 할 만하다. 또는 ‘운동경기’를 한다. 싸우는 줄거리 나오는 만화에는 싸움 빼고는 아무런 보여줄 것이 없다. 예쁘장하거나 멋들어져 보이는 캐릭터가 나와, 이 캐릭터로 된 장난감을 사도록 부추기는 광고가 이어진다. 운동경기 줄거리 나오는 만화에는 ‘시합’이나 ‘시작’ 같은 일본 한자말이 아무렇지 않게 흐른다. 아이들은 집과 학교에서도 제대로 생각을 안 기울이는 어른들 말투에 길드는데, 이렇게 만화영화를 보면서 캐릭터 장난감에다가 얄궂은 말투에 물드는구나.
숲을 노래하는 이야기 흐르는 만화영화는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는다. 풀을 아끼고 꽃을 보듬으며 나무를 사랑하는 이야기 흐르는 만화영화는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는다. 고무줄놀이나 소꿉놀이나 술래잡기나 온갖 놀이가 나오는 만화영화는 텔레비전에 나오지 않는다. 모두들 손전화 기계를 만지작거리거나 이런저런 기계를 손에 쥔다. 무척 어린 아이들이 만화영화에서 자가용을 모는 모습으로 나오기도 한다.
스스로 밥을 짓거나 옷을 짓거나 집을 짓는 사람들 모습이 만화영화에 나오지 않는다. 삶을 배거나 사랑을 물려주는 일이란 없는 텔레비전 만화영화로구나 싶다. 기계와 컴퓨터가 모든 심부름을 다하고, 돈과 카드가 있으면 살림살이에 마음 하나 안 써도 되는 흐름으로 나오는 만화영화로구나 싶다.
어른들은 어떤 마음이 되어 만화영화를 만들어 아이들한테 보여주려 할까. 어른들은 만화영화를 보는 아이들이 어떤 마음이 되기를 바랄까. 그러고 보면, 어른들은 어떤 마음이 되어 아이들을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나 대학교 같은 데를 보내는가. 아이들은 유치원이나 초등학교나 대학교를 다니며 어떤 마음이 될까. 4346.8.4.해.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아빠 육아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