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 하나되는 녹색도시 이야기
창조문화 어린이환경팀 지음 / 창조문화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환경책 읽기 45

 


개구리 몽땅 죽은 ‘조용한’ 마을
― 자연과 하나되는 녹색도시 이야기
 창조문화 어린이 환경팀 엮음
 창조문화 펴냄,2002.4.20./8000원

 


  하루아침에 개구리 밤노래가 사라집니다. ‘친환경농업단지’라 이름을 붙인 우리 마을 논자락에 ‘친환경농약’을 ‘무인 헬리콥터’로 뿌린 날부터입니다. 해거름이 듣는 저녁부터 이듬날 새벽 네 시까지 펼쳐지던 개구리 밤노래가 가뭇없이 사라집니다.


  개구리 밤노래는 무더위를 식힙니다. 개구리 밤노래는 아이들이 포근하게 자도록 이끕니다. 개구리 밤노래는 한여름 짧은 밤을 한껏 밝힙니다. 개구리 밤노래는 달빛과 별빛을 받으면서 온 마을 따사로이 어루만집니다.


  그러나 이 밤노래를 올해에 더는 누릴 수 없습니다. 모두 숨을 거두었으니까요.


.. 급격하게 늘어나는 도시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산과 숲의 녹지를 파괴하여 집을 짓는 것, 그리고 자동차와 건물에서 배출되는 오염 물질 때문에 공기가 오염되는 것, 그리고 각종 하수와 쓰레기에 의해 바다와 육지가 더럽혀지고 있는 것들이 자연 훼손의 모습들입니다. 또한 도시는 엄청난 양의 자원과 에너지를 소비합니다. 한 예로 서울의 63빌딩이 하루에 소비하는 전기는 청주시 전체의 하루 전기 소비량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  (6쪽)


  달과 별이 밝은 밤에 아이들한테 부채질 해 주며 재웁니다. 두 아이를 나란히 눕힌 뒤 부채 둘을 한손에 하나씩 쥐어 천천히 부칩니다. 시골집은 도시와 달리 여름밤에도 그닥 더울 일 없지만, 바람 한 점 불지 않으면 가만히 드러누워도 땀이 솟습니다. 땡볕이 내리쬐는 하루였다 하더라도 흙과 풀과 나무가 있고, 시내가 흐르며 바다가 있을 적에는 사뭇 다르지만, 바람이 조용한 날에는 시골도 제법 덥습니다.


  그런데, 시골마을 저녁에 왜 바람이 조용할까요. 개구리가 모조리 죽어 조용해진 탓에? 바람도 이 슬픔을 알아 조용히 고개를 떨구며 슬퍼하기 때문에? 

  밤새 틈틈이 깨어 아이들 부채질을 해 주면서 가만히 귀를 기울입니다. 참말 논개구리 몽땅 죽고 말아 밤노래는 조금조차 들을 수 없는가 하고 귀를 기울입니다.


  열두 시 지나고 두 시가 될 무렵, 돌울타리로 이웃한 옆집 밭자락에서 개구리 노랫소리 한 가락 가냘피 들립니다. 올해에 깬 개구리인가 싶습니다. 용하게 넌 살아남았구나. 세 시 지날 무렵, 마을 앞자락 논배미에서 두어 마리 즈음 힘없이 노래하는 소리 들립니다. 그래, 그 엄청난 ‘항공방제’를 여러 날 자꾸자꾸 뿌리고 또 뿌렸는데에도 너희들은 참 대단한 목숨처럼 살아남았구나. 저녁나절부터 밤까지 어떤 개구리 밤노래도 못 들었는데, 깊은 새벽녘이 되어서야 비로소 한 마디 두 마디 이곳과 저곳에서 가늘게 앓는소리 내뱉는구나.


.. 돈이나 편리한 생활보다도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는 깨끗한 자연이 우리 사람들에게 가장 소중하다라는 생각이 녹색도시운동을 펼치는 사람들의 믿음입니다 … 가만히 생각해 보세요. 마음놓고 뛰어놀 수 있는 곳이 주위에 얼마나 있는지. 콘크리트로 된 골목길은 자동차로 꽉 차 있고, 아파타를 제외하면 아이들을 위한 놀이터도 거의 없습니다. 또 생각해 보세요. 도시에서 야생동물을 본 적이 있는지. 다람쥐, 너구리, 개구리, 하늘소, 종달새를 본 적이 있나요? 도시의 하천에서 물놀이를 한 적도 없지요? 사람들이 편리하게 살기 위해 만들어 놓은 도시는 이제 오히려 사람들이 살기에 적합하지 않은 곳으로 변해 가고 있습니다 ..  (9, 16쪽)


  도시는 자동차 때문에 사람이 사람답게 살지 못합니다. 도시에서는 길을 거닐며 이야기 나누기 어렵습니다. 자동차가 드센 물결 이루어 시끄러이 지나다니기에, 도시에서는 어느 곳에서나 귀가 찢어집니다. 한갓진 골목마저 사라진 도시예요. 골목길을 모두 시멘트나 아스팔트로 덮으면서 ‘그리 안 넓은’ 골목마다 자동차가 빼곡하게 섭니다. 좁은 골목길을 자동차가 빵빵거리며 달립니다. 좁은 골목길 따라 배달 오토바이가 무섭게 내달립니다.


  골목동네 아이들조차 골목에서 쉽게 못 놉니다. 자동차 등쌀과 오토바이 주먹다짐에 쫓겨납니다. 자동차는 달리지 않을 때에는 넓은 자리를 차지하고 말아, 아이들이 뛰놀 자리를 빼앗습니다.


  도시는 자동차 문명이 되면서, 흙으로 이루어진 길을 모조리 없앱니다. 도시 어른과 아이는 흙을 밟거나 만지지 못합니다. 아니, 도시에서는 흙을 구경할 수도 없어요. 흙이 어디에 있나요? 꽃그릇 하나 건사할 적에도 흙보다 ‘흙 구실 한다는 화학조합물’을 차곡차곡 담아요. 도시에서는 꽤 예전부터 ‘물을 돈 주고 사다 마셔야’ 했고, 도시에서 흙을 만지려면 돈을 주고 사야 합니다. 그나마 손바닥만 하다 싶은 공원이 있으면 흙을 밟을까 싶지만, 잔디 다친다며 흙 못 밟게 하지요. 더군다나 공원 흙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밟아서 딱딱해진데다가 쓰레기와 담배꽁초 마구 버리고 말아 냄새조차 안 좋습니다.


  수십만 수백만 수천만 사람이 몰려들어 살아가는 도시인데, 막상 사람 숫자는 많지만, 도시에서 사람다운 아름다운 빛 나누면서 살아가는 사람은 많지 않아요. 돈이 있으면 돈이 있는대로 만만하지 않은 삶이고, 돈이 없으면 돈이 없는대로 고단한 삶이에요.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은 돈을 많이 벌어도 사랑스레 나누지 못하고, 돈을 적게 버는 사람은 돈을 적게 버는 나머지 이웃사랑을 홀가분하게 펼치지 못해요.


  무엇보다 도시에서는 하늘을 못 봅니다. 아니, 도시에서는 땅(흙)도 못 보고 하늘도 못 봅니다. 하늘을 못 보는 도시라는 말은, 사람이 10초만 안 마셔도 죽음으로 치닫는 ‘바람’을 아예 생각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생각할 노릇입니다. 돈은 못 벌어도 이럭저럭 살림 꾸릴 수 있어요. 바람을 안 마시면 곧바로 죽어요. 돈을 왕창 벌어 100억이니 1000억이니 쌓았어도 맑은 바람 못 마시면 몸이 망가져서 ‘애써 번 돈 제대로 못 쓰고 죽’겠지요. 돈은 한푼조차 없다지만 맑은 바람 쐬며 살아간다면, 즐겁게 웃으면서 노래하는 하루를 누릴 수 있어요.


.. 우리 나라의 경우 공해의 1/3이 건축물이 배출하는 물질 때문이라고 합니다 … (독일 샤프뢸 마을은) 마을 밖에 주차장을 설치하여 마을 안으로는 자동차가 들어올 수 없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마음놓고 걸어다닐 수 있고, 따라서 소음과 매연도 줄어들었습니다 … 서울의 거리를 생각해 보세요. 거리는 늘 막혀 있습니다. 그 자동차들이 뿜어내는 매연으로 도시의 하늘은 항상 뿌옇습니다. 이 매연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병을 앓고 있습니다. 또한 오염물질이 녹아 있는 산성비로 인해 도시의 문화 유적이 파괴되고 있습니다 ..  (21, 23, 29쪽)


  시골은 농약 때문에 사람이 사람답게 지내지 못합니다. 시골사람 누구나 논밭에 농약을 치지만, 밥을 끓이거나 국을 끓이면서 농약을 뿌리지 않아요. 시골사람 누구나 모기약 파리약 잔뜩 뿌리지만, 옷을 빨래하거나 말릴 적에 옷에 모기약 파리약 뿌리지 않아요.


  시골 떠나 아이(손자) 낳은 딸아들한테 ‘몸에 좋으라’고 푸성귀와 열매와 곡식을 보내려 한다면, 이러한 푸성귀와 열매와 곡식에 농약을 칠 일 없겠지요. 아토피 때문에 아파하는 아이들(손자들)을 바라보아야 하는 시골 할매와 할배는, 이 아이들(손자들) 먹일 푸성귀와 열매와 곡식을 거둔다 할 적에 농약 한 방울조차 안 쓰겠지요. 도시로 떠난 이녁 딸아들이 할매와 할배가 ‘농약 쳐서 거둔 곡식이나 열매나 푸성귀’인 줄 안다면 아이들(손자들)한테 안 먹이리라 생각해요. 적잖은 돈을 들여서 ‘유기농’으로 사다 먹이겠지요. ‘화학성분 없는 연고와 약’을 찾아서 아이들(손자들) 살갗에 발라 주겠지요. 도시로 떠난 시골 딸아들은 도시에서 살더라도 당신 아이를 낳고 난 뒤에는 ‘가장 깨끗하고 가장 정갈하며 가장 좋은’ 것을 찾아 돈을 아낌없이 씁니다.


  그런데, 막상 시골 할매와 할배는 농약을 많이 쓰고 비료도 잔뜩 써요. 시골에 일손이 없다는 말로 농약과 비료를 잔뜩 써요.


  나이든 할매와 할배 몸으로 드넓은 논밭을 건사하기 힘들겠지요. 그렇다고 옛날처럼 논밭에 돋는 온갖 들풀을 들나물 삼아 뜯어서 먹지도 않습니다. 고작 할매 할배 둘뿐인 살림이니, 들나물 잔뜩 돋아도 이 나물 뜯을 일손이 없고, 애써 뜯는들 나물로 무칠 일손이 없어요. 논일 밭일 바쁜데 들나물은 쳐다볼 겨를 없어요. 이제 시골에서는 ‘들나물’이 아닌 ‘잡초’일 뿐입니다. 빨리 농약 쳐서 죽여 없앨 ‘잡초’요 ‘해충’입니다.


  시골 할매와 할배는 농약을 사랑할밖에 없는 얼거리가 되었어요. 시골 할매와 할배는 농약이 아니고는 농사를 지을 수 없는 삶이 되었어요. 1960∼70년대에 밀어닥친 독재정권 새마을운동이 뿌린 농약농사를 어느 시골마을에서건 슬기롭거나 씩씩하게 걷어치우지 못해요. 도시로 떠난 이녁 딸아들은 도시에서 큰돈 들여 ‘농약 안 친 푸성귀와 열매와 곡식’을 사다 먹으려 하는데에도, 정작 시골에 남은 할매와 할배는 농약농사 틀에서 벗어나지 못해요.


.. 도시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나무들이 줄어드는 것은 대기오염에 치명적입니다. 공해로 인해 환경이 나빠지면 나무의 수는 줄어들게 되고, 도시의 나무들이 사라지면 도시의 대기오염은 더욱 심각해지는 식으로 악순환도 반복될 것입니다. 또한, 나무는 도시의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나무가 줄어들면 도시는 여름의 강한 햇빛과 겨울의 차가운 바람을 고스란히 받아내야 하므로, 여름은 더욱 더워지고 겨울은 더욱 추워지게 됩니다 … 서울시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8300만 톤에 이르는데, 이는 일인 당 7.87톤에 해당하는 양입니다. 그런데 서울에 있는 나무가 정화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는 겨우 140만 톤에 불과합니다  도시에는 공해에 강한 나무만이 생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나마 있는 나무들도 공해가 심해지면서 그 숫자가 줄고 있습니다 ..  (37, 39, 51쪽)


  도시사람은 자동차를 없애거나 줄이지 않고서는 사람다운 삶 누리기 어렵습니다. 시골사람은 농약을 없애거나 줄이지 않고서는 사람다운 삶 일구기 어렵습니다.


  도시사람은 시멘트와 아스팔트를 조금이라도 걷어내려고 마음을 기울여야 비로소 사람답게 살 만한 보금자리 이룹니다. 시골사람은 논둑이나 밭둑을 덮은 시멘트를 치우고, 흙으로 된 논도랑을 시멘트도랑으로 바꾸려는 어리석은 짓 그쳐야 비로소 사람답게 일굴 만한 보금자리 누립니다.


  도시사람은 돈벌이 아닌 삶짓기를 생각할 노릇입니다. 시골사람은 돈 되는 농사 아닌 삶을 가꾸는 농사를 헤아릴 노릇입니다. 도시에서나 시골에서나 돈에 매이면 삶을 잃습니다. 도시에서든 시골에서든 돈에 사로잡히면 삶이 힘을 잃습니다.


  맑은 시냇물이 흐르고 시원한 땅밑물(지하수)이 흐르는데, 시골마을 구석구석 수도물 쓰게 하려는 바보스러운 토목공사는 뚝 그쳐야 합니다. 시골사람이 수도물 마시는 삶은 ‘문명’이나 ‘문화’가 아닌 ‘죽음’입니다. 도시사람은 맑은 물 마시려고 시골을 찾아다니는데, 외려 시골사람이 스스로 맑은 물 내다 버리고 집집마다 수도물 이으려 한다면, 어처구니없는 노릇입니다.


  시골 지자체(군청)에서는 ‘시골 수도물 사업’을 하루빨리 그만두어야 합니다. 시골 지자체(군청)에서는 시냇물과 도랑물이 흙바닥과 돌바닥으로 흐르는 물길 그대로 이어가도록 시멘트 퍼붓는 막개발 집어치워야 합니다. 4대강사업만 바보짓이 아니에요. 흙도랑을 시멘트도랑으로 바꾸는 일 또한 바보짓이에요.


  시멘트가 그리 좋으면 논바닥과 밭뙈기에도 시멘트를 뿌려야지요. 시멘트논에 모를 심어 보라지요. 시멘트밭에 콩을 심어 보라지요. 될 턱이 있겠습니까? ‘좋은 흙’에는 석면(슬레트 지붕) 기운이 스미면 안 될 뿐 아니라, 시멘트 기운도 스미면 안 되어요. 비닐쓰레기 태운 논밭에서 키우는 곡식이 사람들 몸에 좋을 수 있겠습니까? 밭둑에서 플라스틱과 농약병 태우더라도 밭자락에 나쁜 기운 스며들어요.


.. 일년에 자동차는 15.1%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자동차 연로는 매년 12.6%씩 증가하고 있습니다. 돈으로 따지면 연간 6조 원이 넘는 돈이 자동차 연료로 소비되고 있습니다  사람보다 자동차가 먼저 지나가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운전자들은 횡단보도를 건너는 사람들에게 경적을 울려댑니다. 이렇게 사람보다 자동차를 우선하다 보니 교통사고도 많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 도로를 건설하기 위해 녹지와 생태계를 파괴한다든가, 교통 체증과 소음으로 인한 사람들의 고통과, 교통쇼ㅏ고로 인한 사망과 재산피해 등은 공해가 없는 자동차가 발명된다고 해도 사라지지 않을 것입니다 ..  (48, 52, 55쪽)


  예부터 쓰레기 없던 시골이지만, 이제 시골은 쓰레기나라 되었습니다. 맨땅에 비닐 안 덮고 고추농사 짓는 사람은 몇 없습니다. 감자도 토마토도 오이도 모두 비닐을 어마어마하게 씁니다. 아예 비닐집 커다랗게 짓기까지 해요. ‘흙’농사는 사라지고 ‘비닐’농사만 남았다 할 만해요. 게다가 ‘농사’란 없이 ‘농약농사’만 있다고 할 판입니다. 흙에서 와서 흙으로 돌아가는 사람 아닌, 농약에서 와서 농약으로 돌아가는 사람 됩니다.


  삶을 짓거나 삶을 낳는 농사는 밀려나요. 돈을 짓거나 돈을 낳는 농사가 아니라면 안 되는 나라입니다. 스스로 삶을 사랑하는 농사로 나아가려는 길은 꽉 막힙니다. ‘마을에서 모두 농약을 쓰는데 당신은 왜 농약을 안 쓰느냐’는 삿대질과 손가락질을 받아야 합니다. 친환경농업이라 하지만, ‘친환경’농약을 논에 뿌리니 논개구리 모조리 죽습니다. 겨우 몇 마리 가까스로 살아남지만, 이들이 앞으로도 살아남을 수는 없다고 느낍니다. 농약은 한 번만 치지 않으니까요. 개구리는 논둑이나 밭둑에 올라서서 한동안 쉬었다가 다시 논으로 들어갈 텐데, 논둑과 밭둑에 농약 잔뜩 뿌려대어 들풀 모조리 죽이면 개구리도 죽을밖에 없습니다. 논둑과 밭둑에 뿌리는 농약은 ‘친환경’농약조차 아니지요. 그러니까, 개구리 잡아먹는 해오라기와 수많은 새들은 농약에 찌든 개구리를 먹고는 그만 뱃속이 뒤집어져서 죽습니다.


  우리 마을과 이웃 마을에 항공방제를 하기 앞서까지 밤에는 우렁찬 개구리 노래잔치였고, 낮에는 수십 마리 해오라기들 하얀 날갯짓잔치였으나, 이제 밤에도 낮에도 아무런 잔치를 맞이하지 못해요. 개구리 사라지고 해오라기 사라져요. 개구리 죽고 해오라기 죽어요.


  고흥 도화면 발포리에는 ‘백로·왜가리 도래지’라는 데가 있어 관광명소로 바깥에 널리 알립니다만, 이렇게 농약 흠뻑 뿌려 개구리 몽땅 죽이면, 해오라기도 왜가리도 그저 죽을 수밖에 없어요. 새가 무엇을 먹나요.


  그리고, 개구리는 무엇을 먹지요? 초등학교 자연(과학) 수업에서도 개구리는 파리와 모기를 잡아서 먹는다고 가르치면서, 정작 개구리가 파리와 모기를 먹도록 잘 지키지 않으니, 파리와 모기가 들끓으면 다시 파리약이니 모기약이니 잔뜩 뿌리겠지요. 농약에 파리약에 모기약에, 다시 농약에 파리약에 모기약에, 이러면 시골이라는 데가 사람이 살 데가 될는지 안 될는지, 시골사람도 도시사람도 스스로 생각해야 합니다.


.. 가만히 귀를 기울이면 개미가 기어가는 소리도 들을 수 있고, 눈 내리는 소리도 들을 수 있습니다. 소음이란, 이 모든 소리 중에서 듣기 싫고, 심지어 불쾌감을 일으킬 정도로 큰 소리를 말합니다 … 조용한 곳에서 사는 어린이들은 시끄러운 곳에 사는 어린이들보다 읽기, 말하기, 듣기를 잘 한다고 합니다 … 우리 나라 하천은 좁고 구불구불한 것이 특징입니다. 구불구불한 하천은 물살의 빠르기가 다양하기 때문에 다양한 생태환경이 들어설 수 있습니다 … 쓰레기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입니다. 쓰레기를 만들어 놓고 어떻게 쓰레기를 처리해야 할지 고민하는 것보다, 처음부터 쓰레기를 만들지 않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지 않을까요 ..  (61, 62, 75, 117쪽)


  아이들 읽을 환경책으로 엮은 《자연과 하나되는 녹색도시 이야기》(창조문화,2002)를 읽습니다. 이 책은 도시에서 살아갈 아이들이 삶을 어떻게 마주하거나 바라보면서 스스로 아름답게 일구도록 도울 만한가 하는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생태 문제이든 환경 문제이든 ‘자연보호’ 문제가 아닙니다. 삶을 얼마나 아름답게 누리도록 스스로 생각과 마음을 가다듬느냐 하는 이야기입니다.


  돈만 많이 버느라 젊은 날에 젊은을 한껏 꽃피우지 못한다면 이녁 삶이 얼마나 아름답겠습니까. 대학입시에 목을 매다느라 어린이와 푸름이가 햇볕조차 못 쬐고 들놀이 숲놀이 물놀이 실컷 즐기지 못한다면, 우리 어린이와 푸름이는 무슨 기쁨과 웃음을 마음에 새기겠습니까. 시골 할매와 할배가 늘그막까지 농약과 비료에 찌든 채 힘겨이 살아야 되지 않아요. 도시에서도 시골에서도 “자연과 하나되는” 삶, 곧 “숲과 하나되는” 삶, 그러니까 풀과 꽃과 나무하고 하나가 되는 삶을 누릴 때에 아름답고 즐겁습니다. 풀과 꽃과 나무를 잊거나 괴롭힐 때에는 우리 스스로 우리 삶을 잊거나 괴롭힌다는 뜻이에요.


  개구리 죽은 마을에 사람이 얼마나 살 만한지 생각해야 해요. 개구리 사라진 마을에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 생각해야 해요. 개구리 살아남을 수 없는 마을에 사람이 어떤 착한 삶 어떤 참된 삶 누릴 수 있는지 생각해야 해요. 4346.7.16.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 환경책 읽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