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살아가는 말 145] 한솥지기

 


  어릴 적에 어른들은 ‘식구(食口)’라는 한자말을 써야 옳고, ‘가족(家族)’이라는 한자말 쓰면 옳지 않다 이야기했습니다. ‘식구’는 한겨레가 예뿌터 쓰던 낱말이요, ‘가족’은 일제강점기에 함부로 들어온 얄궂은 낱말이라 이야기했습니다. 적잖은 학자들도 이 같은 대목을 밝힙니다. 그러나 공공기관이나 학자나 전문가나 작가를 비롯해 참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대목을 살피지 않습니다. 상업광고 물결이 크기도 했겠지만, 오늘날 사람들 입과 손과 눈에 익은 ‘가족’이라는 낱말을 ‘식구’로 바로잡기는 힘드리라 느낍니다. 그런데, 참말 한겨레는 먼먼 옛날부터 ‘식구’라는 한자말로 우리 살붙이를 가리켰을까 궁금해요. 한자가 없던 옛날에도 한겨레 스스로 ‘식구’ 같은 낱말을 썼을까 아리송해요. 시골 할매는 곧잘 “우리 사람”이라고 말씀하곤 합니다. “우리 집”이라는 말마디는 으레 내 살붙이를 가리킵니다. 국어사전에는 안 나오는 “한지붕”이라는 낱말은, “한 지붕” 아닌 “한지붕”이라 느낄 만큼 “한식구”를 일컫는 자리에 씁니다. 옆지기랑 아이들하고 밥을 나란히 먹다가 어느 날 ‘한솥밥’이라는 낱말 생각합니다. 시인 백석 님이 쓴 글 〈개구리네 한솥밥〉을 떠올립니다. 한솥으로 지어서 먹는 밥이니 한솥밥이요, “한지붕 사람들”이 먹는 밥이며, “우리 집 사람들”이 먹는 밥입니다. 한솥밥 사람이란 ‘한솥지기’입니다. 허물없는 이웃이라면 ‘한솥벗’이나 ‘한솥동무’ 됩니다. ‘한솥사랑’ 나누는 사이는 서로 즐겁고, ‘한솥꿈’ 꾸는 사이는 함께 아름답습니다. 4346.4.30.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