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224) -여餘 1 : 3년여의 투병
네 번의 대수술과 고통스럽기 짝이 없는 3년여의 투병 끝에 1970년 2월 그레이스가 결국 숨을 거두었을 때, 페트라는 슬픔을 감당 못해서 여러 번 자살까지 생각했다
《새라 파킨/김재희 옮김-페트라 켈리, 나는 평화를 희망한다》(양문,2002) 75쪽
“네 번의 대(大)수술”은 “네 차례 큰 수술”이나 “큰 수술 네 번”으로 다듬고, ‘고통(苦痛)스럽기’는 ‘괴롭기’나 ‘힘들기’로 다듬으며, “투병(鬪病) 끝에”는 “병과 싸운 끝에”나 “병에 시달린 끝에”나 “병치레 끝에”로 다듬습니다. ‘결국(結局)’은 ‘마침내’나 ‘끝내’나 ‘끝끝내’로 손질하고, “감당(堪當) 못해서”는 “이기지 못해서”나 “견디지 못해서”나 “참지 못해서”로 손질하며, ‘자살(自殺)까지’는 ‘목숨을 끊으려고까지’나 ‘죽으려고까지’로 손질합니다.
‘-여(餘)’는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라고 합니다. “십여”나 “이십여 년”이나 “백여 개”나 “십오 년여의 세월”처럼 쓰는 한자말입니다. 그런데 어떤 수를 넘는다는 뜻을 더하는 뒷가지라 한다면, 한국말에는 ‘남짓’이 있어요. “열 남짓”이나 “스무 해 남짓”이나 “백 개 남짓”이나 “열다섯 해 남짓 한 나날”처럼 적을 수 있어요. 한쪽은 한자말로 적는 말투요, 다른 한쪽은 한국말로 적는 말투입니다. 뜻이 같지만 한국사람은 두 가지 말을 쓰는 셈입니다.
3년여의 투병 끝에
→ 세 해 남짓 병과 싸운 끝에
→ 세 해 넘게 병에 시달린 끝에
→ 세 해씩이나 병치레를 한 끝에
…
한국사람 스스로 한국말을 알맞고 쉬우며 바르게 쓸 수 있기를 빕니다. 차근차근 가다듬으면서 생각을 빛내고 북돋우면 좋겠습니다. 외마디 한자말 ‘-여’를 쓰기 때문에 토씨 ‘-의’까지 붙이는 말투가 퍼집니다. 처음부터 한국말을 슬기롭게 쓰면 토씨 ‘-의’를 함부로 못 붙이리라 느껴요. 그러나 한국말 ‘남짓’을 잘 헤아리며 쓰더라도 “삼 년 남짓의 투병”처럼 글을 쓰면 토씨 ‘-의’가 그대로 남습니다. 얼마 동안 무엇을 어떻게 했느냐 하는 대목을 찬찬히 밝혀서 적어야 비로소 ‘-의’을 안 붙이는 홀가분한 말씨를 가다듬습니다. 4338.8.20.흙/4346.4.7.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큰 수술 네 번과 괴롭기 짝이 없는 세 해에 걸친 병치레 끝에 1970년 2월 그레이스가 끝내 숨을 거두었을 때, 페트라는 슬픔을 이기지 못해서 여러 번 죽으려고까지 생각했다
..
우리 말을 죽이는 외마디 한자말
(1303) -여餘 2 : 한 달여
한 달여를 같이하는 동안 나는 점잖은 척 썼던 탈을 벗고 점차 내 본성을 소탈하게 보이게 되었다
《김영희-엄마를 졸업하다》(샘터,2012) 167쪽
‘점차(漸次)’는 ‘차츰’이나 ‘조금씩’이나 ‘천천히’로 다듬고, “내 본성(本性)”은 “내 모습”이나 “내 참모습”으로 다듬습니다. ‘소탈(疏脫)하게’는 ‘수수하게’나 ‘털털하게’로 손봅니다. 국어사전에서 ‘소탈하다’를 찾아보면 “수수하고 털털하다”로 풀이하는데, ‘털털하다’를 다시 국어사전에서 찾아보면 “까다롭지 아니하고 소탈하다”로 풀이해요. “보이게 되었다”는 “보여주었다”로 손질합니다.
한 달여를
→ 한 달 남짓을
→ 한 달 즈음을
→ 한 달 언저리를
→ 달포를
…
한 달 남짓 같이한다 하니까, 한 달 넘게 같이하는 셈입니다. 한 달 넘는 동안은 따로 ‘달포’라는 낱말로 가리키곤 합니다. 이 자리에서는 “달포를 같이하는 동안”처럼 적으면 군더더기 하나 없습니다. 4346.4.7.해.ㅎㄲㅅㄱ
* 보기글 새로 쓰기
달포를 같이하는 동안 나는 점잖은 척 썼던 탈을 벗고 차츰 내 모습을 털털하게 보여주었다
(최종규 .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