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미꽃 옮겨심다
읍내에 마실 다녀오는데, 읍내 버스역 앞자락에서 할머니 한 분 할미꽃 멧골에서 캐서는 세 꾸러미 바구니에 담아 판다. 응, 할머니꽃이네? 할미꽃 파는 할머니는 우리가 군내버스 타고 읍내에 내릴 즈음 짐을 풀어서 장사판 벌인다. 이제 막 당신 집에서 이것저것 꾸려서 나오신 듯하다. 바구니 가득 뜯어 내놓은 쑥은 우리 집 뒷밭이나 꽃밭에서도 무럭무럭 잘 자라기에 날마다 신나게 뜯어먹으니 눈이 안 가고, 다른 푸성귀나 나물에도 눈이 가지 않는다. 오직 할미꽃한테 눈이 간다. “여기 할미꽃이요. 하나 가져가소.” 할미꽃을 처음 알아볼 때부터 할미꽃한테 눈길을 사로잡힌다. 그래, 할미꽃이로구나. 멧골 어디메쯤 할미꽃이 피었을까. 어느 멧자락에서 캐셨을까. “옮겨심어도 잘 크겠지요?” “하모. 오늘 안에 심으면 잘 크지.” 마침 어젯밤 큰 비바람 몰아친 뒤로 흙은 폭신하며 촉촉하다. 할미꽃 장만해서 옮겨심기에 좋다. 마을 이웃 지난해에 한 뿌리 주신 큰수선화도 지난겨울 잘 나고 올봄에 새잎 틔우며 올라오니, 이 할미꽃도 올 한 해 우리 꽃밭 한쪽에서 씩씩하게 새 뿌리 내리고 씨앗 내려 이듬해에는 새 할미꽃 퍼뜨릴 수 있겠지. 예쁜 할미꽃아, 우리 예쁜 아이들하고 예쁜 하루 누리며 함께 살자. 4346.3.19.불.ㅎㄲㅅㄱ
(최종규 . 2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