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오늘 1
하시바 마오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만화책 즐겨읽기 205

 


나한테 붙이는 이름
― 나의 오늘 1
 하시바 마오 글·그림,이상은 옮김
 시리얼 펴냄,2012.11.25./7000원

 


  작은아이가 낮잠에서 깨자마자 배고프다 울어대기에 가슴으로 폭 안아서 부엌으로 데려갑니다. 그래그래, 배고파서 깼지?


  낮잠에서 깨면 바로 배고프다 할 듯해서 아이가 일어날 즈음을 어림해 밥을 새로 끓이고 국도 새로 끓이며 고등어 한 마리를 굽습니다. 작은아이가 낮잠을 퍽 길게 자기에 큰아이를 먼저 먹인 다음, 작은아이 곁에서 함께 자고 일어난 옆지기더러 밥 먹으라 합니다. 그러고 한참 뒤 작은아이가 퍼뜩 깨더니 울기부터 합니다.


  우는 작은아이 입에 물고기 한 점 넣으니 울음 뚝 그칩니다. 잡곡밥 씹어서 한 숟가락 주니 허둥지둥 먹습니다. 물고기와 국과 반찬과 밥을 아주 바쁘게 집어넣습니다. 곁눈 한 번 안 팔고 아주 빨리 밥 한 그릇 비웁니다. 그러고도 조금 모자란지 밥상에 붙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밥을 더 씹어서 아이한테 주고, 물고기도 더 덜어 살점을 발라 줍니다.


  되게 배고팠나 보네 하고 생각하다가 빙그레 웃습니다. 아이들은 배고프면 그야말로 말없이 아주 빠르게 밥그릇 비웁니다. 게다가 아주 깨끗이 비우지요. 고픈 배를 넉넉히 채우면 다른 주전부리 없어도 됩니다. 그리고 배부르며 즐거우면, 저희끼리 신나게 잘 놀아요. 밥상 치우고 설거지 하면서 한숨 돌립니다. 이제 네 아버지는 살짝 쉬면서 책 조금 읽어도 되지?


- ‘가끔 나 자신이 싫어질 때가 있다.’ (7쪽)
- “몰두하는 게 좋아. 그림을 그리거나, 책을 읽거나, 물건을 만들거나, 뭔가에 집중하고 있으면 주위로부터 차단돼서, 그 세계만 눈에 들어오는 게 즐거워.” (16쪽)

 

 


  밥때를 맞추고 밥을 먹이며 밥상을 치우는 일은 번거롭지 않습니다. 나 스스로 즐겁게 먹을 밥이라 여기면서 하나하나 생각하면 즐겁습니다. 무엇을 먹어 내 몸 살찌우고 돌볼까 하고 헤아리면, 밥하기와 밥상차리기는 기쁜 살림이 됩니다. 같은 국을 끓여도 그때그때 양념이나 건더기를 달리합니다. 어느 날은 다시마 불려서 끓이고, 어느 날은 무를 조금 더 넣습니다. 어느 날은 된장을 조금 풀고, 어느 날은 감자를 굵게 썰어 함께 끓입니다.


  감자국을 끓이면서도 감자볶음을 할 때가 있습니다. 콩나물이나 숙주나물 넣은 국을 끓이면서도 콩나물무침이나 숙주나물버무리를 할 때가 있습니다. 말랑두부국을 끓이면서 두부 반 모 함께 끓여 밥상에 올리기도 합니다. 한편으로 보면 좀 바보스러운 밥차림이로구나 싶은데, 바보스럽더라도 맛있게 즐기면 좋은 끼니가 되리라 느낍니다. 마른멸치 함께 올리고, 집과 들에서 뜯은 풀 나란히 올리며, 곤약도 삶아 송송 썰어 올립니다. 느긋하게 밥을 차리는 날에는 들풀 넣은 달걀말이를 하고, 메추리알이나 달걀을 삶아서 살짝 내놓기도 합니다.


- ‘난 그저 주위를 의식하고, 주위에 맞추고, 자신의 나약함을 미소로 얼버무릴 뿐. 그래서 정작 중요한 순간에 아무 말도 못 해. 그런 내 자신이 가끔 싫어질 때가 있어.’ (25∼26쪽)
- ‘그때부터 난 이리우마를 좋아했는지도 몰라. 사랑이 아닐까? 갈피를 못 잡던 마음에 이름이 생기자, 갑자기 내 자신이 사랑스럽게 느껴졌다.’ (51쪽)


  만두를 손수 빚으면 더 맛있지만, 가게에서 사다 먹으며 즐겁게 누려도 맛있습니다. 양배추랑 양상추를 썰고 소세지도 가늘게 썬 다음 섞어서 먹어도 맛있습니다. 때로는 물고기묵을 가늘게 썰어 섞습니다. 때로는 양배추랑 양상추랑 무만 썰어서 섞습니다. 아침에 먹고 남으면 저녁에 더 먹고, 저녁에도 남으면 이듬날 볶음 한 가지를 하면서 함께 지지거 볶습니다.


  찬밥 남으면 볶음밥 해도 되지요. 뭔가 새로운 볶음밥 있을까 헤아리면서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합니다. 달걀밥을 할 수 있고. 치즈밥을 할 수 있습니다. 달걀을 부치고 나서, 넓적하고 네모난 빵에 밥이랑 달걀이랑 풀이랑 얹어서 먹어도 됩니다. 이렇게 먹어도 되지만, 저렇게 먹어도 돼요. 밥상머리에서 즐겁게 웃으며 먹을 여러 가지를 떠올리면 됩니다.


  굳이 집일을 남녀평등이라든지 가사분담이라는 이름 붙여 갈라야 하지 않다고 느껴요. 서로 스스로 좋아서 할 때에 비로소 집일이라고 느껴요. 저마다 스스로 즐겁게 웃으며 하면 집일은 집살림 되고, 집살림은 집사랑 되겠지요. 그러니까, 집일, 집살림, 집사랑, 집삶, 이렇게 차근차근 흘러요. 겉보기로는 일이지만, 속보기로는 살림입니다. 살림은 사랑으로 일굽니다. 사랑은 삶이 됩니다.


  빨래를 하고 비질과 걸레질 하는 모든 일거리는 시나브로 살림과 사랑과 삶으로 거듭나요. 마음 쓰기에 따라 달라지고, 생각 기울이기에 따라 바뀌어요.

 

 


- “보답을 바란다거나 그런 게 아니라, 그저 좋아할 뿐이야.” (73쪽)
- ‘우메타니를 좋아하고 싶었다. 그럴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무리였다. 문제는 우메타니가 아닌 나. 나는 나한테 전혀 관심이 없는 츠바키만 생각했다.’ (88∼89쪽)


  하시바 마오 님 만화책 《나의 오늘》(시리얼,2012) 첫째 권 읽으며 곰곰이 돌아봅니다. 그저 좋아하는 삶입니다. 그저 즐기는 하루입니다.


  어떤 이름이 붙지 않아도 되는 삶입니다. 어떤 이름으로 금을 그을 까닭 없는 사랑입니다.


  이렇게 해야 사랑이 되지 않아요. 저렇게 해야 육아나 교육이나 문화나 복지가 되지 않아요. 그렇게 해야 예술이지 않겠지요.


  삶이면 되고, 살림이면 넉넉하며, 사랑이면 아름답습니다.


- ‘나도 내 머리 정도는 스스로 묶을 줄 알아야겠다. 나오는 정말 귀여워.’ (115쪽)
- ‘미안해, 아빠. 내 긴 머리를 좋아했는데. 12년간 계속 묶어 줬는데. 하지만 이제 똑같은 리본도, 댕기머리도, 나도, 전부 다 싫증이 났어.’ (134∼135쪽)


  내가 누리는 삶이 곧 내가 나한테 붙이는 이름입니다. 내가 나한테 붙이는 이름이 바로 내가 누리는 삶입니다. 나는 나한테 ‘함께살기’라는 이름을 붙여 주는데, 능금나무라든지 살구나무라든지, 집숲이라든지 보금자리숲이라든지, 딸기꽃이라든지 봄꽃이라든지, 햇살이라든지 여름햇살이라든지, 바람내음이라든지 바람결이라든지, 시골살이라든지 시골마실이라든지, 이런 이름 저런 이름 그때그때 되새기면서 하나둘 붙이곤 합니다. 참말 이런 이름처럼 내 하루가 달라지거든요. 참으로 저런 이름대로 내 삶이 흘러요.


  그래서 ‘매니아’라든지 ‘광’이라 붙이는 이름, 또는 ‘책벌레’ 같은 이름이 달갑지 않아요. ‘즐김이’라는 이름이 보드랍고, ‘살림꾼’이나 ‘살림이’ 같은 이름이 따사롭습니다. ‘육아 전담’이나 ‘가사 전담’ 같은 이름도 내키지 않아요. 즐거이 누리는 삶이고, 기쁘게 맞이하는 하루입니다. ‘여행’이나 ‘투어’나 ‘순례’나 ‘답사’ 같은 이름이 하나도 안 즐거워요. 나는 ‘마실’이나 ‘나들이’라는 이름을 좋아합니다.


  밥을 먹으며 살아가기에 밥을 짓습니다. 아이들과 얼크러져 살아가기에 아이들을 생각합니다. 책을 곁에 두고 살아가기에 책을 사랑합니다. 시골에서 살아가기에 시골자락 아끼고 보듬는 길을 찾습니다. 내 이름은 내 삶입니다. 4346.3.16.흙.ㅎㄲㅅㄱ

 

(최종규 . 20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