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쪽지 2013.3.8.
 : 샛자전거 붙이기

 


- 샛자전거를 붙이기로 한다. 아무래도 큰아이와 작은아이를 수레에 나란히 태우기에는 너무 좁다. 둘 다 버겁다. 큰아이는 곧 혼자서 자전거를 타고 다녀야 하겠구나 싶어, 큰아이가 혼자 자전거 다니는 삶에 익숙할 수 있게끔 ‘연습’을 시켜야겠다고 생각한다. 좋은 이웃한테서 얻은 외발 샛자전거를 내 자전거 뒤에 붙인다. 처음 이 샛자전거를 받을 적에는 큰아이 키보다 많이 컸지만, 이제는 발끝이 닿는다. 아니, 발판에 발을 올려놓고 다닐 만하다. 안장을 낮추고 손잡이도 내리니 이만큼 된다. 큰아이가 앞으로 십 센티미터쯤 더 크면 아버지 뒤에서 함께 발판을 구를 수 있겠지. 큰아이가 샛자전거 발판을 구르며 함께 달려 준다면 한결 수월하게 수레를 끌 수 있을 테고.

 

- 샛자전거이지만, 튼튼해야 하는 만큼 무게가 제법 나간다. 내 자전거와 샛자전거에다가 수레를 붙이니 참말 묵직하다. 그래도 뭐, 잘 달릴 수 있으리라 믿는다. 힘은 더 들 테지만, 잘 달리리라 생각한다.

 

- 처음 수레를 붙이고 달리던 일을 떠올린다. 그때에는 수레 무게라든지 여러모로 낯설어서 퍽 고되었지만, 얼마 안 지나 익숙하게 달렸다. 이제는 수레 안 붙이는 자전거가 외려 안 익숙하기도 하다. 내 자전거 발구르기는 수레 붙인 흐름에 맞추어 굳었다고 할 만하다. 아주 가끔 수레를 떼고 홀몸으로 자전거를 달리고 보면, 자전거질이 너무 가볍다고 할까. 거의 날듯이 자전거질을 한달까.

 

- 도서관에 들러 책을 가져오려 하는 동안 큰아이가 자전거를 붙잡아 준다. 착하고 씩씩하며 대견하다. 작은아이는 곧 잠든다. 작은아이는 느긋하게 잘 잔다. 큰아이는 아아아, 하고 노래를 부르며 좋아한다. 쉬지 않고 조잘조잘 쫑알쫑알 떠든다. 수레에 앉을 때하고, 샛자전거에 앉아 달릴 때에는 사뭇 다르지. 쐬는 바람이 다르고, 바라보는 둘레 모습이 다르다.

 

- 우체국까지 샛자전거 끌고 다녀온다. 다른 때보다 땀이 더 난다. 작은아이는 집에 닿으니 잠에서 깬다. 더 자도 될 텐데. 자전거 바람넣개를 들고 논다. 재미있니? 큰아이는 집으로 돌아오자마자 제 자전거를 타며 마당에서 논다. 샛자전거와 수레 붙인 자전거를 집 한쪽 벽에 기댄다. 마당 있는 집에서 살아가니까, 이렇게 샛자전거랑 수레 붙인 채 고이 둘 수 있구나. 좋다. 참 좋다. 몸이 뻑적지근하지만 다 좋다.

 

(최종규 . 2013 - 시골에서 자전거와 함께 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